돈보다생명

[국감] 고위험병원체 안전관리 '허술'

by 노안부장 posted Oct 13, 200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감] 고위험병원체 안전관리 '허술'
36개 기관 중 53% 보안경고시스템 미설치

질병본부·식약청·국립수의과학검역원 등 국가기관도

 

 탄저균,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바이러스 등 고위험병원체 안전관리에 빨간 불이 켜졌다.
 

 13일 질병관리본부가 국회 보건복지가족위 최영희 의원(민주당)에게 제출한 '2008년 고위험병원체 현장점검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고위험병원체 취급기관 36곳 중 53%인 19곳이 보존시설에 보안경보시스템을 설치하지 않았다.
 

 '고위험병원체'는 사람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가할 수 있는 병원체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탄저균, 보툴리눔균 등 14종의 세균과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바이러스 등 18종의 바이러스가 지정돼 연구개발 목적으로 쓰이고 있다. 도난이나 분실에 대비하지 않을 경우 지난 '01년 미국을 휩쓴 탄저균 테러와 '95년 일본 옴진리교의 보툴리눔 독소 보유 충격이 재현되지 말라는 보장이 없다.

 

 특히 이번 현장점검 결과, 질병관리본부·식약청·국립수의과학검역원 등 국공립 기관 8곳도 일부 시설에 보안경보시스템을 설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고위험병원체 관리감독기관인 질병관리본부가 포함된 것은 등잔 밑이 어두운 격이라는 지적이다.
 

 또한 서울 소재 K병원, J대의대, O대병원 등 3곳의 경우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지적을 받았다.
 

 이 같은 보안경보시스템 문제 외에도 장출혈성 대장균을 보유한 K대는 고위험병원체를 일반병원체와 구별하지 않은 채 보관했으며, 콜레라균을 보유한 O대학교도 실험실의 관계자외 출입규정을 지키지 않았다. 취급 시 인체감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상혈청 채취보관 수칙도 36곳 중 10곳이나 어겼다.
 

 아울러 안전 상의 이유로 고위험병원체를 폐기하거나 타기관에 기탁하는 사례도 발생했다. 보툴리눔균을 보유했던 ㅋ제약의 경우 고위험병원체 생물안전 밀폐등급을 갖추지 못해 지난 7월 균주를 질병관리본부에 기탁했다. 
 

 이와 관련해 최 의원은 "고위험병원체 취급기관들이 도난·분실 등 안전관리에 허점을 보이면 국민은 생물학테러 등 대형 참사에 무방비로 노출되는 거나 마찬가지"라며 "지난 '06년 고시된 고위험병원체 안전관리규정을 구체적인 책임·의무, 처벌조항을 담은 법령으로 뒷받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복지부는 이날 해명자료를 내고 "고위험병원체 보존기관의 실험실은 보안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었으나 냉동고 등의 보관 장소에 대한 보안 시스템은 일부 갖춰지지 않은 상황"이라며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5월 자체 보존하고 있는 고위험병원체를 보안시스템이 완비된 장소로 모두 이동해 이를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일부 대학은 예산 부족등으로 인해 이를 미이행하고 있는 것이 사실임에 따라 계속해서 개선을 촉구하고 있으며 개선이 안될 경우 폐기 또는 국가로 기탁을 유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홍성익 기자 (hongsi@bosa.co.kr)
기사 입력시간 : 2008-10-13 오전 6:15:00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