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보다생명

"간호사 이직률 60~70% 달하는 병원이 문제"

by 노안부장 posted Nov 07, 200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간호사 이직률 60~70% 달하는 병원이 문제"
병원간호사회 실태조사 결과, 평균 이직률 23%
"간호사 면허 갱신제도·야간간호 가산료 도입 등 필요"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평균 이직률이 2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김명애 간호부장은 지난 5일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추계 학술대회’에서 ‘간호사 인력 수급현황 분석과 향후 대책에 관한 제안’을 발표했다.

김 부장은 이날 학술대회에서 지난 9월 한 달 간 병원간호사회가 ▲400~500병상 병원 5개소 ▲200~300병상 병원 55개소 ▲100~200병상 병원 47개소 ▲50~100병상 병원 14개소 ▲50병상 병원 8개소 등 총 70개 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중소병원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간호사 이직률’은 종합병원의 경우 평균 22.7%였으며, 최대 이직률은 76%에 달했다.

병원에 따라서 9월 한 달 동안 근무하는 간호사 10명 중 7명 이상이 이직을 한 것이다.

병원급의 경우 평균 이직률은 24.8%, 최대 이직률은 60%였다. 의원의 경우 평균 이직률이 31%로 조사됐다. 

김 부장은 “평균 이직률은 어쩔 수 없다고 해도 60~70%에 달하는 병원들이 문제”라며 “서울대병원의 경우도 평균 7%대 이직률을 기록했지만 최근 공당과 심평원에서 간호사를 채용하며 이직률이 10%에 달했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것처럼 서울의 대형병원은 간호사 인력문제가 없는 것이 아니라 가려져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이직 사유’로는 ▲타 병원 이직(35.6%) ▲결혼, 출산 및 육아(14.3%) ▲불규칙한 근무시간(10.4%) ▲낮은 임금(6.6%) 등의 순이었다.

‘간호사 초임’ 조사에서는 같은 급의 병원이라고 해도 차이가 많이 났다. 

종합병원의 경우 간호사 초임은 평균 2,230만원이었지만 임금 수준이 최대 3,000만원부터 최소 1,500만원으로 그 격차가 2배까지 벌어졌다. 

병원과 의원의 간호사 초임은 각각 2,200만원과 1,800만원으로 조사됐다.

김 부장은 “간호사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병원 내 불평등 해소와 간호대학 학사편입의 탄력적 운영, 간호사 면허 갱신제도 등의 도입이 시급하다”며 "간호사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30세 이상 의료기관 근무자 수가 적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야간간호 가산료(입원료×25%)’ 신설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곽성순 기자 kss@docdocdoc.co.kr
<저작권자(c) 청년의사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자매지 실버케어뉴스(silvercarenews.com)>
등록 : 2008-11-06 07:27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