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보다생명

본전 장사로 되돌아온 MB

by 노안부장 posted Feb 23,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본전 장사로 되돌아온 MB

[김종배의 it] "우향우 깜박이 켜고 마구 내달려라"

기사입력 2009-02-23 오전 11:02:09

32.7-36.6-33.5-34.1%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 운영 지지도다. <경향신문>, <국민일보>, <조선일보>, <한겨레>가 이명박 대통령 취임 1주년을 맞아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이렇게 나왔다.

참담한 기록이 하나 더 있다. 이탈표다. <경향신문>과 <한겨레>가 지난 대선 때 이명박 대통령을 찍었던 사람들에게 물었다. 지금 다시 대선을 실시하면 이명박 대통령을 지지하겠느냐고 물었다. 그 결과 '투표하지 않겠다'고 응답한 사람이 각각 38.2%, 33.4%였다.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 득표율이 48.7%였던 점, 그리고 이 지지층의 3분의 1이 떨어져 나간 점과 35% 안팎의 현 지지율이 맞아 떨어진다.

노무현 전 대통령과 열린우리당에 실망해 이명박 대통령에 의탁했던 중도층은 이미 떨어져 나갔다. 지금 이명박 대통령 곁에는 보수층만 남아있다. 35% 안팎이라는 전통적인 보수층만이 이명박 대통령을 떠받치고 있는 것이다.

어떨까? 지금이 이렇다면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 앙상한 지지 기반에 살을 붙일 수 있을까? 다시 중도층을 끌어올 수 있을까?

이론적으론 가능하다. 여론은 수시로 변하는 거니까. 게다가 촛불시위 때 10%대로 곤두박질쳤던 지지율을 곱절 가깝게 끌어올린 경험도 있다. 추가 상승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근거는 없다.

하지만 가설이다. 추가 상승 가능성은 백지상태에서나 도출할 수 있는 추상적 가설이다.

현실 영역은 지뢰밭이다. 오늘의 이명박 대통령을 있게 한 '경제'가 시한폭탄으로 매설돼 있다. 그 누구도 단기간에 반전할 것이라고 자신하지 못하는 '경제'가 이명박 대통령의 발목을 잡아당길 게 뻔하다.

이렇게 보면 꼭짓점이다. 이명박 대통령이 획득한 35% 안팎의 지지율은 그가 거둬들일 수 있는 최고의 소출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약간의 여지가 있긴 하다.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지지하지도, 반대하지도 않는 층이 약간 남아있다. 여론조사에서 '모름' 또는 '무응답' 반응을 보인 5∼10%의 국민이다. '유보층'일지도 모를 이들에게 호소하면 지지율이 약간 올라갈지 모른다.

문제는 '약간'의 정도다. 이들에게 호소한다고 해서 모두가 이명박 대통령에게 '감동'을 받을 것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 많아봤자 역시 '약간'이다. 더구나 출발점이 잘못 돼 있는지도 모른다. 이들 모두를 '유보층'으로 묶는 게 잘못된 것인지도 모른다. 1년 동안 보고 겪었는데도 '모름' 또는 '무응답' 반응을 보였다면 오히려 '무관심층'으로 보는 게 더 타당할지 모른다. 이명박 대통령이 국정을 어떻게 운영하든 애당초 관심이 없는 그런 층 말이다.

이명박 대통령이 국정 기반을 넓히려면 이동해야 한다. 정책 기조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살짝 틀어야 한다. 그렇게 해서 이탈한 중도층을 다시 끌어와야 한다.

불가능한 일이다. 이 또한 이론 영역에서나 운위될 수 있는 계획에 지나지 않는다. 이명박 대통령이 현실 영역에서 그렇게 움직이면 반발한다. 35% 안팎의 보수층이 고개를 갸웃거리며 동요한다. 이명박 정부의 정체성에 회의를 품으며 공세를 가한다.

가상 상황이 아니다. 이문열 씨 같은 보수 논객은 지금도 핏대를 세우지 않는가. 이명박 정부가 촛불에 혼비백산해 슬그머니 꼬리를 내렸다고 비난하지 않는가.

잃는 게 더 많다. 제 얼굴에 지우개를 대는 순간 집토끼 우리가 열린다. 더불어 이명박 정부는 죽도 밥도 아닌 정치적 뻘에 갇힌다.

이명박 정부가 택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그냥 내달리는 것이다. 우향우 깜박이를 켜고 마구 내달리는 것이다. 산토끼는 일찌감치 포기하고 집토끼 간수에 전념하는 것이다. 그렇게 해서 본전치기라도 하는 것이다.

/김종배 시사평론가 메일보내기 필자의 다른 기사

<SCRIPT language=javascript src="http://ad.pressian.com/event.ems/site=Pressian&pid=ArticleFX_1"></SCRIPT>

  • MB 취임 1년…"잘한 게 뭔지 모르겠다"
  • MB, '성적조작 파문'에 "일부 문제 있었지만…"
  • "'협치'의 실종, 아직도 정신 못 차렸다"
  • MB 취임 1주년, '소통'은 어디로?




  •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