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보다생명

그래픽 이슈] 가계소득 심화, 하위와 상위 9배 차이

by 관리자 posted Jun 18,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그래픽 이슈] 가계소득 심화, 하위와 상위 9배 차이
2009년 1/4분기 가계동향
2009-06-03이수연/새사연 연구원

<개 요>

지난달 30일 통계청이 2009년 1/4분기 가계동향을 발표했다.

가계동향 조사는 매월 전국 일반가구 중 9,000가구를 대상으로 실시된다.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347만 6,0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0.8퍼센트 증가했고, 지출은 278만 5,0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2퍼센트 감소했다. 그 결과 69만 1,000원의 흑자액을 기록했다.

가계지출 중 소비지출은 213만 8,0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5퍼센트 감소했는데,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와 교육, 보건 부문을 제외한 나머지 소비 부문이 모두 감소했다. 비소비지출은 64만 7,0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3퍼센트 증가했다.

<특 징>

1. 실질 소득 감소했는데 가계 흑자? 허리띠 졸라 맨 결과

어려운 경제상황에도 불구하고 1분기 가계는 69만 1,000원의 흑자액(=소득-소비)을 기록했다. 어려워진 살림살이만큼 허리띠를 졸라 매고 소비를 줄였기 때문이다.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347만 6,000원으로 명목상으로 전년동기대비 0.8퍼센트 증가했지만, 물가 변동을 제외한 실질상으로는 3.0퍼센트 감소했다. 지출은 278만 5,000원으로 명목상으로 전년동기대비 2.2퍼센트 감소했다. 이 중 소비지출은 213만 8,0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명목상으로는 3.5퍼센트 감소, 실질상으로는 6.8퍼센트 감소했다. 



국민경제 차원에서 수출보다 수입이 더 많이 줄어들면서 무역수지가 ’불황형 흑자’를 기록한 것과 마찬가지 현상이다. 현재 위기 극복을 위해 시장에 돈이 돌면서 정상적인 경제흐름이 회복되어야 한다. 그런데 국내외에서 모두 소비가 줄어들고 있는 어려운 형국이다.

2. 교육, 보건 등 필수항목 외의 소비는 모두 줄인 가계

가계지출은 소비지출과 비소비지출로 나뉜다. 소비지출은 가계에서 시장으로 풀리는 돈으로 내수회복을 가늠해볼 수 있다. 비소비지출은 건강보험료나 이자, 세금, 가구간 이전 등의 비용을 뜻한다.

소비지출은 앞서 보았듯이 213만 8,0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5퍼센트 감소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교육(3.9퍼센트 증가)과 보건(5.0퍼센트 증가),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1.1퍼센트 증가) 부문을 제외하고는 모두 감소했다. 불황을 모르는 사교육 시장이 있는 교육과 건강과 직결되는 보건은 아무리 경제가 어려워도 가계가 비용을 많이 줄일 수 없는 항목이다.

특히 교통은 15.7퍼센트 감소, 주류 및 담배는 13.5퍼센트, 기타 상품 및 서비스는 8.2퍼센트 감소하면서 가장 큰 감소율을 보였다. 



3. 하위층 소득 감소, 상위층 소득 증가로 85만 원 vs 742만 원

월소득을 5분위로 나눠 살펴보면 하위 20퍼센트(1분위) 가구의 소득은 85만 5,9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5.1퍼센트 감소했다. 반면 상위 20퍼센트(5분위) 가구의 소득액은 742만 5,1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1퍼센트 증가했다. 소득의 양극화가 더욱 진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처분가능소득으로 비교할 경우 격차는 더욱 커진다. 하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63만 4,1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0.6퍼센트나 감소했다. 상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603만 3,500만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3퍼센트 증가했다.

비소비지출에서의 큰 차이도 눈에 띄었다. 사회보장료와 이자비용, 세금 등이 포함된 비소비지출에서 하위 가구는 전녀동기대비 15.6퍼센트 증가를 보였으나, 상위 가구는 0.4퍼센트 증가에 그쳤다. 가계 대출이 늘어나면서 이자비용이 늘어나면서 하위 가구의 지출은 늘어난 반면 각종 세금 완화 정책으로 상위 가구의 지출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4. 소비 증가하려면 가계소득 양극화 해소해야

소득의 양극화는 소비를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하위 가구의 경우 평균소비성향(처분가능소득 중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179.6퍼센트이지만, 상위 가구의 경우 57.5퍼센트에 그쳤다. 평균소비성향의 증가율 면에서도 하위 가구는 전년동기대비 16.7퍼센트 포인트 증가했지만, 상위 가구는 2.8퍼센트 포인트 감소했다. 따라서 소득의 양극화가 해결되어야 전체적인 소비 증가가 일어나리라 예상할 수 있다.



* 통계청이 발표한 ’2009년 1/4분기 가계동향’ 보도자료 원문 상단에 파일 첨부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