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보다생명

[2017_03호] “촛불의 힘으로 기필코 적폐청산” 지금의 국정농단은 “조폭들의 민주주의 탈취 사건”

by 관리자 posted Jan 19, 20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촛불의 힘으로 기필코 적폐청산”
지금의 국정농단은 “조폭들의 민주주의 탈취 사건” 
대통령 선거는 민주주의 심화로 가는 정거장


김동춘 성공회대 교수(‘다른 백년’대표)가 17일 <중집·지부(지회)장·전임간부 연석회의>에서‘탄핵 이후,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주제로 강연한 내용을 압축하여 싣습니다. <편집자>

김동춘 교수는 한국사회를 뒤흔들고 있는 이번 사건은“세습 권력의 민주주의 농락 사건”이라고 정의했다. 일제 강점기 일본 군인을 지낸 박정희의 딸 박근혜, 일본 순사를 지낸 최태민의 딸 최순실, 그리고 기업세습 재벌권력이 벌인 국정 농락‘국민주권 박탈사건’이라는 것이다.

그 과정을 들여다보면‘조폭들의 민주주의 탈취 사건’과 다를 바 없고 심지어 조폭보다 더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영화‘내부자들’을 찍은 배우 이병헌의 말처럼“현실이 영화를 이긴”사건이다. 


범법자 처벌 및 잘못된 정책폐기+정권의 적폐 청산 반드시 관철시켜야

이어“국정원, 검찰, 조선일보를 위시한 수구 보수세력과 재벌은 박근혜를 퇴진시키고 거국내각-개헌-대선 재승리 구도로 몰아가려고 하는데 이에 빠져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렇게 되면“탄핵이 되더라도 보수세력에게 유리한 국면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대선 국면에서 우리는 범법자 처벌, 잘못된 정책폐기 등 정권의 적폐 청산을 강력히 요구하고 관철해 나가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대통령 선거는 민주주의로 가는 정거장일 뿐 종착역이 아니다.

김 교수는“탄핵 결정은 사실상 국민들의 몫이고 이미 국민이 대통령의 헌법 위반 심판을 내린 상태”라며“헌법 재판소는 단지 제도 장치로서 그것을 확인하는 과정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20170119_00002.jpg


이어“대선 국면에서 대의제 민주주의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국회의원 소환제도와 같은 직접 민주주의 도입을 위한 논의를 벌여 나가야 한다. 또 노동자들의 정치 참여를 넓혀줄 정당비례대표제 등을 실현해야”한다고 제안했다. 


대의제 민주주의 단점 보완+노동자 정치참여 넓혀야

이제 광장에서 밝혀진 촛불 민주주의를 직장과 지역사회로 옮겨 와야 한다. 촛불 시민혁명은 국가, 정당, 시민사회가 모두 재조직되어야 완수될 수 있다. 

20170119_00003.jpg


마지막으로 김 교수는“여러분의 노동이 정의로운 노동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경제민주화(재벌개혁) △직장민주주의의 사회적 의제화 △노동자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폐지 특별법 제정 △기업 내부 고발 활성화 △새로운 청년노조 육성 지원 △노조의 지역운동 및 지역정치 참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20170119_00004.jpg





Articles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