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돈보다생명

조순 서울대 명예교수 “세계경제 ‘시장 만능주의’ 환상은 깨졌다”

by 노안부장 posted Jan 06,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조순 서울대 명예교수 “세계경제 ‘시장 만능주의’ 환상은 깨졌다”
 오창민기자 riski@kyunghyang.com
ㆍ[2009 신년 특별인터뷰]

이명박 대통령의 신년 국정연설이 있었던 지난 2일 조순 서울대 명예교수는 “이 대통령이 국민 여론에 귀를 기울이고, 쉬운 일부터 찾아서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조 명예교수는 이날 경향신문과의 새해 특별 인터뷰에서 “잘 찾아보면 국민과 야당이 원하는 일 중에서도 정부와 여당이 찬성하는 일이 있을 것”이라며 “이런 일을 먼저 해서 정부에 대한 신뢰를 쌓으면 더 어려운 일도 쉽게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조순 서울대 명예교수는 “전세계 경제위기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통해 극복할 수 있다”며 “국내 경제는 올해 하반기부터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김기남기자


그는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는 그동안 실용주의로 포장돼 있었다”며 “전 세계적인 경제위기를 통해 ‘시장은 만능’이라는 환상이 깨졌다”고 말했다. 조 명예교수는 “실물경제가 부실해지고, 금융이 과도하게 비대해진 것이 금융위기의 본질”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이번 위기는 전 세계 경제의 패러다임 변화를 통해서만 극복할 수 있다”며 “올해 말쯤에는 국내 경제가 진정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조 교수는 새해 망구(望九·81세)가 됐다. 그러나 한 치의 흐트러짐이 없었다. 목소리 톤은 낮았지만 또렷했고, 정확한 문장을 구사했다. 산책과 요가·기공(氣功) 등이 건강유지 비결이라고 했다.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를 지냈고, 경제부총리(1988~90년), 한국은행 총재(93~94년), 초대 민선 서울특별시장(95~97년), 국회의원(1998~2000년) 등을 거쳤지만 그는 서울대 명예교수로 불리기를 원했다.

-“부실해진 실물경제 비대해진 금융이 이번 위기의 본질”-

- 경제가 언제쯤 회복될까요.

“모든 나라가 강한 독감에 걸렸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금융위기가 실물부문으로 넘어가면서 전 세계로 독감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올해 상반기에는 경제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고, 경기가 더 하강할 우려가 있다고 봅니다. 아직까지는 경기가 바닥을 치고 ‘턴 어라운드’할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는 상태입니다. 각 나라가 처한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우리나라는 연말쯤 되면 경제가 진정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이번 경제위기의 원인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단순히 파생금융상품의 과다 공급 때문에 경제위기가 발생했다고는 보지 않습니다. 실물경제가 부실해지고 금융은 과도하게 비대해진 것이 이번 금융위기의 본질입니다. 90년부터 미국의 금융화가 본격 진행되면서 실물경제가 점점 사각지대로 몰렸습니다. 독감에 걸리기 쉬운 경제 체질이 된 것이지요. 금융 시스템의 중심인 미국에서 문제가 터졌기 때문에 경제위기가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됐습니다. 97년 외환위기 때는 우리나라와 일부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위기였습니다. 당시에는 미국 등 다른 나라에 수출을 많이 해서 경제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지요. 그러나 지금은 상황이 다릅니다. 전 세계 경제의 패러다임 변화를 통해서만 극복할 수 있습니다.”

- 전 세계적인 경제위기로 자본주의가 어떤 식으로든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그동안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가 실용주의로 포장돼 있었습니다. 시장이 만능이라는 환상은 이번 경제위기로 깨졌습니다. 시장 만능주의는 지속가능한 시스템이 아닙니다. 미국 월가에서 시작된 금융위기가 세계를 큰 틀에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그동안 작은 정부에 대한 강조는 정부 능력을 약화시켰습니다. 정부와 시장의 역할을 어떻게 나누고 조화시켜 나갈지 고민해야 합니다.”

- 우리나라 경제구조나 시스템의 문제는 없습니까.

“국내 경제에서 차지하는 수출 비중이 지나치게 큽니다. 국내 시장이 대외부문에 비해 너무 작아진 탓에 외부 충격에 대한 대응력이 취약해졌습니다. 국내 시장을 키우려면 결국 중소기업을 살려야 합니다. 농업부문에 대한 투자도 필요합니다.”

-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한국은행이 많은 돈을 풀고 있고, 정부도 재정지출을 늘리고 있습니다. 한은과 정부의 정책을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재정과 유동성을 늘리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봅니다. 다른 나라도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유동성 과잉으로 후유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미국이 통화량을 늘리고 이자율을 낮추며 재정 지출을 확대하는 것은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 하락) 우려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 국민의 소비지출 성향과 기업의 투자지출 성향을 볼 때 우리나라는 디플레이션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 미국 대선에서 민주당이 승리하면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중대 변수가 생겼습니다. 국회에서는 한·미 FTA 비준안을 놓고 여야가 대립하고 있는데요.

“한·미 FTA 비준동의안이 처리된다고 해도 미국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할 것입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 당선자는 후보 시절부터 한·미 FTA 외에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콜롬비아와의 FTA도 재고해야 한다는 입장이었습니다. 오바마 당선자는 취임한 후 당분간은 경제 문제 때문에 한·미 FTA에 관심을 가질 여유가 없을 것입니다. 자동차산업에 관심이 많으니 한국에 미국 자동차를 사 가라는 얘기 정도는 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우리나라의 야당이 국회에서 농성까지 해가며 반대하는데 굳이 현 시점에서 비준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무리할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 이명박 정부가 내세운 7% 경제성장률 달성이 가능하다고 보십니까.

“70~80년대처럼 높은 경제성장률을 달성하는 것이 이제는 어렵습니다. 우리나라도 저성장 기조로 갈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지금 같은 상태에서 연 7% 경제성장률 달성은 세계적으로도 중국 정도가 적극적으로 내수진작책을 쓸 때나 가능합니다. 경제성장률이 과거 개발시대보다 낮다고 해서 이를 경제위기로 규정해 재정지출을 늘리면 안됩니다.”

- 고용 문제, 특히 청년 실업이 큰 문제입니다. 정정길 대통령실장은 오는 2월에 대졸 실업자들이 쏟아지고, 3~4월 기업 구조조정으로 실업자들이 생기면 정부에 위협세력이 될 수 있다는 말까지 했습니다.

“돈을 얼마 쏟아부으면 일자리가 몇 개 생긴다는 식으로 고용 문제를 접근해서는 안됩니다. 경제 전체의 큰 틀에서 봐야 해답이 나옵니다.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여건)과 패러다임을 바꾼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기업주나 노동자들의 희생도 필요합니다. 조직을 살린다는 명목으로 나이든 사람이나 사회적 약자를 해고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임금 삭감을 해서라도 함께 생존해야 할 생각을 해야 합니다.”

-“연 7% 성장 불가능 유동성·재정확대는 후유증 생각해야”-

- 한은 총재와 경제부총리를 모두 역임하셨습니다. 한은이 경제위기 상황에서 소극적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은은 정부로부터 독립하기가 참 어렵습니다. 제가 한은 총재일 때도 그랬습니다. 특히 지금과 같은 경제위기 상황에는 한은의 자율성을 논의하기가 더욱 어려운 분위기입니다. 미국이나 영국의 중앙은행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나 정상적인 경제상황이라면 중앙은행의 독립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 우리 사회가 시급히 고쳐야 할 부분이 있다면 어떤 것이 있겠습니까.

“정치인과 언론인들이 ‘좌파’ ‘우파’ 등과 같은 말을 쓰지 않았으면 합니다. 상대방에게 좌파다, 우파다 하면서 색깔을 구분하면 감정이 섞이게 마련입니다. 말은 부드럽게 하고, 나와 생각이 다른 상대방을 존중해주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교육도 큰 문제입니다. 우리 사회는 빨리 영어 배워서 좋은 곳에 취직해 돈 벌어 잘 살자는 식의 사고가 너무 팽배해 있습니다. 정치와 언론, 교육이 하루빨리 정상화돼야 합니다.”

- 제자인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과 사제간의 정이 각별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은 제자이지만 인품이 참으로 훌륭한 사람입니다. 군자지교담여수(君子之交淡如水)라는 말이 있습니다. 군자의 사귐은 물과 같이 담담하다는 의미인데 정 전 총장과의 관계가 그렇습니다.”

<오창민기자 riski@kyunghyang.com>
?

  1. 지방의료원, 수익성이 아니라 공공성으로 평가해야

    1일, 충남 지방의료원 공공의료 확립과 발전방안을 위한 정책 토론회…보건의료노조 대충본부 주최로 충남 지방의료원 발전방향 모색 ⓒ 보건의료노조 대전충남지역본부 ⓒ 보건의료노조 대전충남지역본부 ⓒ 보건의료노조 대전충남지역본부 ⓒ 보건의료노조 대전충...
    Date2011.07.08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642
    Read More
  2. 지방의료원 3차 중앙교섭, 연합회장 사퇴문제로 교섭 파행!

    사측, “교섭단장 사임으로 교섭할 수 없다. 신임 연합회장 선출 후 교섭단 새로 구성해 다시 교섭하자.”고 주장…노조, “연합회장 사임 안타까운 일이나, 교섭은 형식에 구애없이 계속해야 한다. 중앙교섭 못하면 전체 원장이 교섭에 다 참석해야 하는 상황 발...
    Date2011.07.08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671
    Read More
  3. No Image

    지난해 병원급 의료기관 매출 40% 증가

    지난해 병원급 의료기관 매출 40% 증가 통계청 '서비스업 통계조사' 결과…매출 5조5492억 기록 등록 : 2008-12-29 10:54 지난해 병원급 의료기관과 의원급 치과가 전년도에 비해 30%가량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07년 기준 서비스업 ...
    Date2008.12.29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318
    Read More
  4. No Image

    중소병원 도산, "금년 병원 목표, 건강하게 생존하는거" ??

    "금년 병원 목표, 건강하게 생존하는거" 구포성심병원 박홍근 원장 올해로 개원 26주년을 맞는 구포성심병원은 부산광역시 북구에 자리 잡고 있는 257병상 규모의 지방 중소병원이다. 총 9개 진료과 22명의 전문의가 있으며 지난 2007년 2차병원으로는 부산 ...
    Date2009.06.01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453
    Read More
  5. No Image

    중소병원 간호사 인력난 해소 물꼬 트나

    중소병원 간호사 인력난 해소 물꼬 트나 복지부, 시간제간호사 간호관리료 인정기준 확대 근무시간 따라 최대 0.8명까지…종합전문·서울 종합병원 제외 정부가 지방 중소병원의 간호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간제간호사의 건강보험 인정기준을 대폭 ...
    Date2009.06.2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491
    Read More
  6. No Image

    중소 지방의료원 순조…사립대병원만 난항

    중소 지방의료원 순조…사립대병원만 난항 전체 103개 병원 중 51곳 잠정 합의 도출 보건의료 노사의 병원 특성별 교섭이 서서히 성과를 내고 있다. 11일부터 12일 오전까지 마라톤 교섭을 벌인 27개 지방의료원과 보건의료노조는 ▲임금총액 5% 인상 ▲병원 급...
    Date2008.08.13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667
    Read More
  7. No Image

    중무장 경찰병력, 촛불시위대 폭력진압

    중무장 경찰병력, 촛불시위대 폭력진압 (2008-05-26 09:20:53) 26일 새벽 신촌로터리 일대 중무장 경찰병력 풀어 촛불시위대 기습 폭력진압 △26일 새벽 반광우병 반이명박을 외치며 신촌로터리로 행진한 촛불시위대를 폭력진압한 경찰. 사진=2MB탄핵연대 "울면...
    Date2008.05.26 Category돈보다생명 By마징가 Views1212
    Read More
  8. No Image

    중대의료원→두산의료원 어때요?

    중대의료원→두산의료원 어때요? 두산그룹, 병원 발전전략 수립 위한 전직원대상 설문 실시 최근 중앙대학교를 인수한 두산그룹이 의료원의 발전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의료원 전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재단으로부터 중대...
    Date2008.09.05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747
    Read More
  9. No Image

    중대의료원, 성과급 급여제 도입 파장 클 듯

    중대의료원, 성과급 급여제 도입 파장 클 듯 대학교수들, "평가지표 마련없이 시행안돼"...2010년 실시   중앙대의료원에도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성과급형 연봉제' 도입 추진이 대학교수진들의 반발로 시기가 늦어지게 됐다. 이에 따라 보수적인 의료계...
    Date2008.09.2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544
    Read More
  10. No Image

    중대의료원 노사, '연봉제' 팽팽한 신경전

    중대의료원 노사, '연봉제' 팽팽한 신경전 7차 교섭 등 난항…"노조 무력화 정책" 반발감 커 최근 중앙대학교를 인수한 두산그룹이 교직원을 대상으로 성과 위주의 연봉제를 도입한 가운데, 이 사안이 의료원 내에 끊임없는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어 관심이 ...
    Date2008.10.16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358
    Read More
  11. 중국산 과자·빵, 발암물질 검출

    중국산 과자·빵, 발암물질 검출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사이클라메이트’와 ‘니트로퓨란’ 발견 이성호 기자 lee@medifonews.com 등록일: 2008-09-22 오전 10:08:15 최근 중국에서 멜라민 성분이 포함된 분유제품으로 인해 영·유아가 사망하는 등 세계적인 논란...
    Date2008.09.23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673
    Read More
  12. No Image

    중국 의료시장 빠르게 성장하나 공급능력은 부족

    중국 의료시장 빠르게 성장하나 공급능력은 부족 중국의 의료비지출은 2000년 이후 연평균 12.9% 증가하여 1인당 GDP 증가율(연평균 12.3%)을 상회하고, 2005년 의료보건비 지출총액은 GDP의 4.7%인 8,660억 위안으로 상승 추세 주로 도시지역에 분포된 병의...
    Date2009.05.04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645
    Read More
  13. No Image

    주요 사립대병원 부분 넘어 총파업 임박

    주요 사립대병원 부분 넘어 총파업 임박 오늘 전야제후 돌입…대각선 교섭 난항 일부 대형병원 불가피 사립대병원을 중심으로 한 보건의료노조의 파업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파업 예정 사업장이 대부분 대규모 사립대병원이어서 파장이 예상된다. 보건노조...
    Date2008.08.26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672
    Read More
  14. 주간주요일정(6차 산별교섭, 전국노동자대회, 평화통일범국민대회)

    8월 8일 일정 - 11:00 지방의료원지부장 보건복지부 면담 - 13:00 보건의료노조 중앙위원회 - 14:00 6차 산별중앙교섭 - 15:00 특성별협의, 이화의료원 산별대각선교섭 - 17:30 8월 산별투쟁 승리 결의
    Date2012.08.07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260
    Read More
  15. 종합병원, 치료재료 최근 5년새 103.5% 껑충

    종합병원, 치료재료 최근 5년새 103.5% 껑충 공단 “치료재료 등재에서부터 관리 철저할 필요있다” 이철영 기자 paris177@medifonews.com 등록일: 2009-04-01 오전 11:17:36 최근 5년간 종합병원의 치료재료비 증가율이 무려 103.5%에 달하고 있어 이에 대한 ...
    Date2009.04.0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577
    Read More
  16. No Image

    종합병원 5곳중 4곳 지진피해 무방비 노출

    종합병원 5곳중 4곳 지진피해 무방비 노출 이애주의원, 52개 종합병원 내진설계없이 건축   국내 종합병원 5곳중 4곳은 내진설계없이 건축돼 지진피해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나라당 이애주 의원(보건복지가족위원회)이 최근 보건복지...
    Date2008.09.29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580
    Read More
  17. No Image

    조중동은 쓰레기 PD수첩 탄압반대!

    50만 명(주최측 추산)의 시민들은 '촛불이 승리한다! 국민이 승리한다!'는 59차 촛불문화제를 마치고 5일 밤 9시부터 행진을 시작했다. 서울 숭례문-명동-을지로를 거쳐 밤 10시20분께 종각 네거리에 도착한 시민들은 조계사를 지나 안국동 삼거리로 향하는 ...
    Date2008.07.06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1025
    Read More
  18. No Image

    조중동­, MBC 파업 물타기

    조중동­, MBC 파업 물타기 [아침신문 솎아보기] 경향·한겨레와 '지면 전쟁' 양상... 밥그릇 싸움으로 폄훼 2008년 12월 30일 (화) 08:20:13 김종화 기자 ( sdpress@mediatoday.co.kr) 전국언론노동조합의 총파업이 오늘(30일)로 닷새 째를 맞는다. MBC의 ...
    Date2008.12.30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387
    Read More
  19. No Image

    조영제 부작용 의료사고에 방사선사들 촉각

    조영제 부작용 의료사고에 방사선사들 촉각 경찰 "의사 지시없이 독단으로 투여" 발표에 발끈…"임의 투여 불가능" 방사선사協, 회원 권익보호 대책 마련키로…"명확한 업무지침 필요" 서울의 한 병원에서 CT 촬영을 위해 투여한 조영제로 인해 7세 어린이가 사...
    Date2009.08.28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3393
    Read More
  20. 조순 서울대 명예교수 “세계경제 ‘시장 만능주의’ 환상은 깨졌다”

    조순 서울대 명예교수 “세계경제 ‘시장 만능주의’ 환상은 깨졌다” 오창민기자 riski@kyunghyang.comㅣ경향신문 ㆍ[2009 신년 특별인터뷰] 조순 서울대 명예교수는 “전세계 경제위기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통해 극복할 수 있다”며 “국내 경제는 올해 하반기부터 ...
    Date2009.01.06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61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7 Next
/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