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돈보다생명

4강(强) 4색(色) 대형병원 충성환자 얼마

by 노안부장 posted Jan 07, 200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4강(强) 4색(色) 대형병원 충성환자 얼마
전운(戰雲) 감도는 미리 들여다 본 전도(戰圖)
[기획 4]메가톤급 병원의 대형화 바람은 올해도 예외없이 진행된다. 현장에서는 ‘전국구 병원’과 ‘지역 거점 병원’을 표방하며 충성환자를 확보하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데일리메디는 지난 2005년~2007년 각 병원 연보 통계자료를 분석, 외래 및 입원환자 분포 및 추이를 살펴봤다. 단, 외래 및 입원 환자 합산 기준은 각 병원별로 차이가 있음을 전제한다(표와 같다). 입원환자에서 실 인원은 병원에 새로 등록수속을 밟은 환자를 합한 수이고 년 인원은 그날 병원에 입원해 있는 실제 환자수의 합이다. 각 병원 입원과 퇴원은 통계상 대동소이해 '입원환자'로 통일해 표기했음을 밝힌다.(EDI청구액은 2007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서울아산병원은 2007년 전체 외래환자가 215만4858명으로 2006년 198만9890명보다 16만4968명 늘었으며, 연인원 입원환자는 75만3045명으로 조사됐다.

<IFRAME border=0 marginWidth=0 marginHeight=0 src="/news/opad/js/tb3.html" frameBorder=0 width=540 scrolling=no height=90></IFRAME>



특히 전국구 병원으로 변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05년~2007년 환자 추이를 살펴보면 서울 외래환자는 113만3651명(59.0%), 113만4802명(57.0%), 115만2224명(53.47%)으로 낮아지고 있는 반면 지방은 78만7423명(40.9%), 85만5088명(43.0%), 100만2634명(46.52%)로 그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입원환자 추이에서도 확인된다.

서울 지역 외래환자는 115만2224명, 지방은 100만2634명을 기록했다. 서울지역에서는 역시 송파구가 33만4046명(28.99%)으로 1위를 차지했고, 인접지역인 강동구 21만1471명(18.35%), 광진구 12만6539명(10.98%) 순이다. 특히 강남구·서초구는 2005년~2007년 11만2154명(9.89%), 11만5263명(10.15%), 12만9423명(11.23%)으로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2007년 입원환자는 서울 27만5151명(36.53%), 지방 47만7894명(63.46%)으로 외래환자와 마찬가지로 전국구 병원의 위상을 자랑했다. 서울지역 입원환자 중 송파구는 6만5065명(23.6%), 강동구 4만2365명(15.39%), 광진구 2만5884명(9.4%) 순이다.

삼성서울병원은 2007년 신환 외래환자가 11만837명으로 서울 4만7384명(42.8%), 지방 6만3453명(57.2%)을 기록해 전국구 병원의 위상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실인원 입원환자 5만4841명도 외래와 마찬가지로 서울(2만127명, 36.7%)보다 지방(3만4712명, 63.3%)이 1만4585명 많았다.



서울지역에서는 강남구·송파구·서초구 쏠림현상이 뚜렷했다. 강남구가 1만3906명(29.3%)으로 가장 많았으며, 송파구 8931명, 서초구 4872명으로 2007년 외래환자 11만837명 중 2만7709명(58.5%)으로 과반수를 넘게 차지했다. 성동구는 서초구와 동일하게 4872명, 관악구 1901명이 뒤를 이었다.

삼성을 찾은 환자 가운데 서울을 제외한 지방에서는 경기도와 부산·경상도 지역이 두각을 보였다. 경기도는 지방 환자 총 6만3453명 중 2만9467명으로 46.4%였고, 부산과 경남도는 9590명으로(15.1%) 뒤를 이었다.

입원도 외래환자와 마찬가지로 강남구·송파구·서초구 지역이 2007년 서울지역 입원환자 총 2만127명 중 1만1119명(55.2%)을 기록했다. 이어 관악구 924명, 강동구 704명 순이다. 지방 입원 환자는 경기가 1만4462명(41.6%), 부산과 경남도는 6786명(19.5%)을 보였다.

강남성모병원은 2007년 전체 외래환자가 104만3222명으로 집계됐으며, 실인원 입원환자는 3만6325명으로 조사됐다.



연간 외래환자 중 서울지역 환자는 70만1685명(67.3%)이며, 지방 환자는 34만1537명(32.7%)이다. 특히 서울지역에서는 병원이 위치한 서초구 환자가 37.9%를 차지, 압도적으로 많았다. 서초구는 2005년 25만2687명에서 2007년 26만6036명으로 2년만에 1만2249명이 증가했다.

중앙대병원과 '환자갈림' 현상을 벌이고 있는 동작구가 서울지역에서 2위로 8만9942명, 12.8%를 보였다. 강남구 6만3943명, 관악구 6만3757명, 용산구 2만1572명 순으로 나타났다.

지방은 경기도 환자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2005년~2007년 16만9084명, 19만2335명, 19만5475명으로 매년 전체 외래환자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16.9%, 18.5%, 18.7%로 증가추세다. 뒤로는 충청남도 2만6145명, 인천광역시 1만8763명 순이다.

2007년 실인원 입원환자는 서울지역 2만1136명(58.1%), 지방 1만5189명(41.8%)으로 전체 3만6325명을 기록했다. 특히 외래환자와 마찬가지로 서울지역 중 서초구가 7325명(34%)으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동작구 2967명, 관악구 2241명, 강남구 1831명, 용산구 606명 순이다.

중앙대병원은 2007년 전체 외래환자가 44만8118명, 연인원 입원환자가 18만8479명으로 조사됐다.



연간 외래환자 중 서울지역 환자는 37만1036명(82.79%)이며, 지방 환자는 7만7082명(17.2%)이다. 특히 서울지역에서는 병원이 위치한 동작구 환자가 50.48%를 차지, 압도적으로 많았다. 동작구는 2005년 12만7947명에서 2007년 18만7305명으로 2년만에 무려 5만9358명이 증가했다.

지방은 경기도 환자가 4만4950명(58.3%)로 과반수 이상으로 많았다. 충청도권이 7298명(9.46%), 부산·경상도 5531명(7.17%), 호남권이 4893명(6.34%) 순이다.

2007년 연인원 입원환자는 서울지역 13만8548명(73.5%), 지방 4만9931명(26.49%)으로 전체 18만8479명을 기록했다. 특히 외래환자와 마찬가지로 서울지역 중 동작구가 6만2873명(45.37%)으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관악구 2만4437명(17.63%), 용산구 7860명, 서초구 7816명, 영등포구 3909명 순이다.

중앙대병원 역시 서울을 제외한 지방 입원환자는 경기도가 2만1926명(43.91%)으로 1위며, 대전·충청도가 7263명(14.5%), 부산·경상도 6438명(12.89%) 순을 보였다.

[위 내용은 데일리메디 오프라인 9호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노은지기자 (nej331@dailymedi.com)  기사등록 : 2009-04-03 06:55
관련 기사
아산·삼성·가톨릭·중대병원의 '知彼知己' 승전보 향한 병법(兵法)에 비춰진 병원들
서울 강남권 대형병원 '新적벽대전' 돌입
?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35 돈보다생명 메디시티 대구 "세계적인 의료허브 자신있다" 노안부장 2002.01.07 2126
2734 돈보다생명 암전문병원 올 하반기 첫 삽…수술실 20개 추가 등 일부 설계 변경 노안부장 2002.01.07 1504
» 돈보다생명 4강(强) 4색(色) 대형병원 충성환자 얼마 노안부장 2002.01.07 3140
2732 돈보다생명 [경향신문]국민건강 위협하는 MB정부 의료정책 노안부장 2008.05.02 5720
2731 돈보다생명 [경향신문]네덜란드 모델, 대안 될 수 있을까? 노안부장 2008.05.02 5052
2730 돈보다생명 [경향신문]의보 민영화 찬성론 잠잠한 이유는? 노안부장 2008.05.02 4385
2729 돈보다생명 [경향신문]美쇠고기 ‘인터넷 민란’…무효화 서명운동 하루만에 15만명 참여 노안부장 2008.05.02 3115
2728 돈보다생명 우리 손으로 '미친소' 운반하고 싶지 않다 관리자 2008.05.07 3433
2727 돈보다생명 카툰..당신이 버린것 file 관리자 2008.05.07 2347
2726 돈보다생명 [데일리메디]병원계 노사 만남 잇단 불발…갈등 점화 노안부장 2008.05.09 2731
2725 돈보다생명 [데일리메디]"고대 안산병원, 3차기관 진입 긍정적" 노안부장 2008.05.09 6544
2724 돈보다생명 [청년의사]"수입쇠고기, 병원급식에 사용될 가능성 커" 노안부장 2008.05.09 2003
2723 돈보다생명 [의료전문뉴스]보건의료노조, 전 조합원 헌혈운동 나서 노안부장 2008.05.09 1950
2722 돈보다생명 [건강세상네트워크] 보건의료뉴스5/6 노안부장 2008.05.09 18292
2721 돈보다생명 美 FDA “화장품, 광우병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 노안부장 2008.05.09 2792
2720 돈보다생명 [마이데일리]'소규모 개봉' 식코, 5만관객 돌파 노안부장 2008.05.09 2626
2719 돈보다생명 [건강세상네트워크] 보건의료뉴스5/12 노안부장 2008.05.13 1660
2718 돈보다생명 [건강세상네트워크] 보건의료뉴스5/13 노안부장 2008.05.13 1645
2717 돈보다생명 [레디앙] FTA청문회 - “외통부 장관 자격이 없다구요? 그럼 퇴장할까요?” 노안부장 2008.05.13 1774
2716 돈보다생명 [데일리메디]'병원 파업' 합법 or 불법 갈림길 '첨예' 관리자 2008.05.14 167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7 Next
/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