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돈보다생명

4강(强) 4색(色) 대형병원 충성환자 얼마

by 노안부장 posted Jan 07, 200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4강(强) 4색(色) 대형병원 충성환자 얼마
전운(戰雲) 감도는 미리 들여다 본 전도(戰圖)
[기획 4]메가톤급 병원의 대형화 바람은 올해도 예외없이 진행된다. 현장에서는 ‘전국구 병원’과 ‘지역 거점 병원’을 표방하며 충성환자를 확보하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데일리메디는 지난 2005년~2007년 각 병원 연보 통계자료를 분석, 외래 및 입원환자 분포 및 추이를 살펴봤다. 단, 외래 및 입원 환자 합산 기준은 각 병원별로 차이가 있음을 전제한다(표와 같다). 입원환자에서 실 인원은 병원에 새로 등록수속을 밟은 환자를 합한 수이고 년 인원은 그날 병원에 입원해 있는 실제 환자수의 합이다. 각 병원 입원과 퇴원은 통계상 대동소이해 '입원환자'로 통일해 표기했음을 밝힌다.(EDI청구액은 2007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서울아산병원은 2007년 전체 외래환자가 215만4858명으로 2006년 198만9890명보다 16만4968명 늘었으며, 연인원 입원환자는 75만3045명으로 조사됐다.

<IFRAME border=0 marginWidth=0 marginHeight=0 src="/news/opad/js/tb3.html" frameBorder=0 width=540 scrolling=no height=90></IFRAME>



특히 전국구 병원으로 변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05년~2007년 환자 추이를 살펴보면 서울 외래환자는 113만3651명(59.0%), 113만4802명(57.0%), 115만2224명(53.47%)으로 낮아지고 있는 반면 지방은 78만7423명(40.9%), 85만5088명(43.0%), 100만2634명(46.52%)로 그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입원환자 추이에서도 확인된다.

서울 지역 외래환자는 115만2224명, 지방은 100만2634명을 기록했다. 서울지역에서는 역시 송파구가 33만4046명(28.99%)으로 1위를 차지했고, 인접지역인 강동구 21만1471명(18.35%), 광진구 12만6539명(10.98%) 순이다. 특히 강남구·서초구는 2005년~2007년 11만2154명(9.89%), 11만5263명(10.15%), 12만9423명(11.23%)으로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2007년 입원환자는 서울 27만5151명(36.53%), 지방 47만7894명(63.46%)으로 외래환자와 마찬가지로 전국구 병원의 위상을 자랑했다. 서울지역 입원환자 중 송파구는 6만5065명(23.6%), 강동구 4만2365명(15.39%), 광진구 2만5884명(9.4%) 순이다.

삼성서울병원은 2007년 신환 외래환자가 11만837명으로 서울 4만7384명(42.8%), 지방 6만3453명(57.2%)을 기록해 전국구 병원의 위상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실인원 입원환자 5만4841명도 외래와 마찬가지로 서울(2만127명, 36.7%)보다 지방(3만4712명, 63.3%)이 1만4585명 많았다.



서울지역에서는 강남구·송파구·서초구 쏠림현상이 뚜렷했다. 강남구가 1만3906명(29.3%)으로 가장 많았으며, 송파구 8931명, 서초구 4872명으로 2007년 외래환자 11만837명 중 2만7709명(58.5%)으로 과반수를 넘게 차지했다. 성동구는 서초구와 동일하게 4872명, 관악구 1901명이 뒤를 이었다.

삼성을 찾은 환자 가운데 서울을 제외한 지방에서는 경기도와 부산·경상도 지역이 두각을 보였다. 경기도는 지방 환자 총 6만3453명 중 2만9467명으로 46.4%였고, 부산과 경남도는 9590명으로(15.1%) 뒤를 이었다.

입원도 외래환자와 마찬가지로 강남구·송파구·서초구 지역이 2007년 서울지역 입원환자 총 2만127명 중 1만1119명(55.2%)을 기록했다. 이어 관악구 924명, 강동구 704명 순이다. 지방 입원 환자는 경기가 1만4462명(41.6%), 부산과 경남도는 6786명(19.5%)을 보였다.

강남성모병원은 2007년 전체 외래환자가 104만3222명으로 집계됐으며, 실인원 입원환자는 3만6325명으로 조사됐다.



연간 외래환자 중 서울지역 환자는 70만1685명(67.3%)이며, 지방 환자는 34만1537명(32.7%)이다. 특히 서울지역에서는 병원이 위치한 서초구 환자가 37.9%를 차지, 압도적으로 많았다. 서초구는 2005년 25만2687명에서 2007년 26만6036명으로 2년만에 1만2249명이 증가했다.

중앙대병원과 '환자갈림' 현상을 벌이고 있는 동작구가 서울지역에서 2위로 8만9942명, 12.8%를 보였다. 강남구 6만3943명, 관악구 6만3757명, 용산구 2만1572명 순으로 나타났다.

지방은 경기도 환자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2005년~2007년 16만9084명, 19만2335명, 19만5475명으로 매년 전체 외래환자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16.9%, 18.5%, 18.7%로 증가추세다. 뒤로는 충청남도 2만6145명, 인천광역시 1만8763명 순이다.

2007년 실인원 입원환자는 서울지역 2만1136명(58.1%), 지방 1만5189명(41.8%)으로 전체 3만6325명을 기록했다. 특히 외래환자와 마찬가지로 서울지역 중 서초구가 7325명(34%)으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동작구 2967명, 관악구 2241명, 강남구 1831명, 용산구 606명 순이다.

중앙대병원은 2007년 전체 외래환자가 44만8118명, 연인원 입원환자가 18만8479명으로 조사됐다.



연간 외래환자 중 서울지역 환자는 37만1036명(82.79%)이며, 지방 환자는 7만7082명(17.2%)이다. 특히 서울지역에서는 병원이 위치한 동작구 환자가 50.48%를 차지, 압도적으로 많았다. 동작구는 2005년 12만7947명에서 2007년 18만7305명으로 2년만에 무려 5만9358명이 증가했다.

지방은 경기도 환자가 4만4950명(58.3%)로 과반수 이상으로 많았다. 충청도권이 7298명(9.46%), 부산·경상도 5531명(7.17%), 호남권이 4893명(6.34%) 순이다.

2007년 연인원 입원환자는 서울지역 13만8548명(73.5%), 지방 4만9931명(26.49%)으로 전체 18만8479명을 기록했다. 특히 외래환자와 마찬가지로 서울지역 중 동작구가 6만2873명(45.37%)으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관악구 2만4437명(17.63%), 용산구 7860명, 서초구 7816명, 영등포구 3909명 순이다.

중앙대병원 역시 서울을 제외한 지방 입원환자는 경기도가 2만1926명(43.91%)으로 1위며, 대전·충청도가 7263명(14.5%), 부산·경상도 6438명(12.89%) 순을 보였다.

[위 내용은 데일리메디 오프라인 9호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노은지기자 (nej331@dailymedi.com)  기사등록 : 2009-04-03 06:55
관련 기사
아산·삼성·가톨릭·중대병원의 '知彼知己' 승전보 향한 병법(兵法)에 비춰진 병원들
서울 강남권 대형병원 '新적벽대전' 돌입
?

  1. No Image

    공룡 병원들 "앞으로 앞으로"…신규 환자 유치 '사활'

    서울 강남권 대형병원 '新적벽대전' 돌입 공룡 병원들 "앞으로 앞으로"…신규 환자 유치 '사활' [기획 1]“아! 절박하고 한 치 앞을 가늠하기 힘들다.” ‘눈 깜짝할 사이’ 변화하는 의료환경과 무한경쟁 시대. 오늘날 병원계가 처한 상황은 후한 말 혼란을 틈타 ...
    Date2009.04.0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33693
    Read More
  2. [건강세상네트워크] 보건의료뉴스5/6

    <5월 6일 보건의료뉴스> 주치의제’ 필요성 醫-政-시민단체 공감대 형성 ‘주치의법’ 필요성 제기돼…건강세상 '주치의 갖기 운동’ 전개 복지부 "의료계 내에서 먼저 필요성 제기돼야 가능" 대한가정의학회에서 주치의제도 도입을 위해 ‘주치의법 제정’ 운동의 ...
    Date2008.05.09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18292
    Read More
  3. No Image

    서울성모병원 "응급실 스트레스 끝" 자신감

    서울성모병원 "응급실 스트레스 끝" 자신감 7개 진료구역에 24시간 응급의학전문의 상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응급센터[사진]를 방문하는 환자는 중증도와 질환별로 나뉜 진료구역에서 보다 신속하고 질 높은 진료를 받게 될 전망이다. 6일 응급센터 관...
    Date2008.10.07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7245
    Read More
  4. No Image

    [데일리메디]"고대 안산병원, 3차기관 진입 긍정적"

    "고대 안산병원, 3차기관 진입 긍정적" 최재현 원장 "중증질환 진료 등 경쟁력 갖춰-5년내 JCI 인증" “고대 안산병원은 다가올 3차 의료기관 인정평가에서 좋은 성적을 획득, 종합전문요양기관으로 선정될 가능성이 높다.” 7일 고대 안산병원 최재현 원장[사...
    Date2008.05.09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6544
    Read More
  5. [2012_41호] 이번주 주요일정

    이번주 주요일정 산별교섭 성사와 8월 총파업 승리를 위한 보건의료노조 전국순회투쟁 실천단 마지막 일정 7월19일~20일 대전충남, 서울지역본부 단국대의료원/경희의료원/고대의료원/서울성모병원 영남대의료원 해고자 복직 촉구를 위한 기자회견 일시_ 7월 ...
    Date2012.07.19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6297
    Read More
  6. 산별 8대 지부장.수석부지부장 선거 홍보물

    2012 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서울본부 고대의료원지부 산별8대 지부장.수석부지부장선거 후보자(김진용.송은옥) 홍보물입니다 고대의료원지부 선거관리위원회
    Date2012.03.06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6266
    Read More
  7. No Image

    [경향신문]국민건강 위협하는 MB정부 의료정책

    [커버스토리]국민건강 위협하는 MB정부 의료정책 2008 05/06 뉴스메이커 773호 의료 산업화로 병원이용 양극화 우려…“건보 기본틀 지키겠다” 해명불구 논란 “100%” 현재 정부가 추진 의도를 내비치고 있는 의료 산업화가 궁극적으로 미국식 보건의료체제로 귀...
    Date2008.05.0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5720
    Read More
  8. No Image

    민영화…누가, 어떻게, 얼마나 이득을 보나

    민영화…누가, 어떻게, 얼마나 이득을 보나 [밥&돈]공기업 민영화, '공공성' 논의 넘어서야 이명박 정부 들어서서 민영화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물론 김대중 노무현 정권의 시기에도 민영화는 지속적으로 또 큰 규모로 계속되어왔으나, 현 정권에 들어서...
    Date2008.08.07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5200
    Read More
  9. [경향신문]네덜란드 모델, 대안 될 수 있을까?

    [커버스토리]네덜란드 모델, 대안 될 수 있을까? 2008 05/06 뉴스메이커 773호 ‘전 국민 의료보장 가능’ 장점 불구 ‘특별의료비 지출’ 부담 의료 매개로 한 경제활성화가 목적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의료민영화의 내용과 형식은 의료 서비스 산업의 ...
    Date2008.05.0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5052
    Read More
  10. [2014_39호]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후보 아들 조상훈_아버지는 늘 약자 생각하는 사람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후보 아들 조상훈 아버지는 늘 약자 생각하는 사람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후보의 차남 조상훈씨가 인터넷에 올린 글이 화재다. 조상훈 씨는 포털사이트 다음 아고라방에 “아버지의 이름을 알리는데 도움이 되고자 외람됨을 무릅쓰고 글을 ...
    Date2014.06.02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4816
    Read More
  11. No Image

    [경향신문]의보 민영화 찬성론 잠잠한 이유는?

    [커버스토리]의보 민영화 찬성론 잠잠한 이유는? 2008 05/06 뉴스메이커 773호 “결정된 것 아무것도 없다” vs “의료불평등 심화 명약관화” 영화 ‘식코(Sicko)’의 위력은 막강했다. ‘식코’가 개봉 전후로 인터넷의 ‘민영의료보험 활성화, 당연지정제 폐지, 영...
    Date2008.05.0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4385
    Read More
  12. 우리 손으로 '미친소' 운반하고 싶지 않다

    "우리 손으로 '미친소' 운반하고 싶지 않다" 민주노총 운수노조 '미국산 쇠고기' 운반 거부 불사 예고 정호희 (kctwf) ▲ 2004년 6월 화물연대의 부산역 집회 모습(자료사진) ⓒ 오마이뉴스 윤성효 민심을 우습게 알고 미국을 두려워하며 한 입으로 두 말 하기...
    Date2008.05.07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3433
    Read More
  13. No Image

    [충격] 국민 여러분! 지금 당장 두통약 버리세요!!

    [충격] 국민 여러분! 지금 당장 두통약 버리세요!! 외국에서 시판금지된 성분 들어간 두통약, 식약청 허가로 국내에서 제조.시판 되어와!! 국민 여러분 급합니다!! 당신의 건강과 머리가 위협받고 있습니다!! 우선 여러분이 복용중이거나 사둔 두통약들은 모두...
    Date2008.12.17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3395
    Read More
  14. No Image

    조영제 부작용 의료사고에 방사선사들 촉각

    조영제 부작용 의료사고에 방사선사들 촉각 경찰 "의사 지시없이 독단으로 투여" 발표에 발끈…"임의 투여 불가능" 방사선사協, 회원 권익보호 대책 마련키로…"명확한 업무지침 필요" 서울의 한 병원에서 CT 촬영을 위해 투여한 조영제로 인해 7세 어린이가 사...
    Date2009.08.28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3393
    Read More
  15. No Image

    4강(强) 4색(色) 대형병원 충성환자 얼마

    4강(强) 4색(色) 대형병원 충성환자 얼마 전운(戰雲) 감도는 미리 들여다 본 전도(戰圖) [기획 4]메가톤급 병원의 대형화 바람은 올해도 예외없이 진행된다. 현장에서는 ‘전국구 병원’과 ‘지역 거점 병원’을 표방하며 충성환자를 확보하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Date2002.01.07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3140
    Read More
  16. No Image

    [경향신문]美쇠고기 ‘인터넷 민란’…무효화 서명운동 하루만에 15만명 참여

    美쇠고기 ‘인터넷 민란’…무효화 서명운동 하루만에 15만명 참여 입력: 2008년 05월 01일 18:52:49 ㆍ李대통령 탄핵요구도 급증 40만명 돌파 - 내손안의 모바일 경향 “상상” 1223+NATE -
    Date2008.05.0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3115
    Read More
  17. No Image

    서울성모병원 "의사 1명당 하루 평균 외래환자 50명으로 제한"

    ‘3시간대기, 3분진료' 서울성모병원엔 없다! 23일부터 본격 진료 개시…총 1조 투입 국내 최대 규모 갖춰 "의사 1명당 하루 평균 외래환자 50명으로 제한" 오는 23일부터 첫 진료에 들어가는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이 강남성모병원 등의 환자 이송을 시작으로 ...
    Date2009.03.20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2987
    Read More
  18. No Image

    아산·삼성·가톨릭·중대병원의 '知彼知己'

    아산·삼성·가톨릭·중대병원의 '知彼知己' 범강남권 제2의 혈전 서막 올라…'백전백승(百戰百勝)' 승부수는 [기획 3]범강남권에는 1000병상을 훌쩍 넘는 초대형병원이 잇달아 출현했다. 초일류 기업을 발판으로 무섭게 성장한 삼성서울병원과 새 병원을 건립한 ...
    Date2009.04.0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2981
    Read More
  19. No Image

    "외과 수술실 간호사 역할 더 중요해져"

    "외과 수술실 간호사 역할 더 중요해져" 삼성서울병원 윤계숙 수술간호팀장 "직무만족도 측정 도구 개발 연구" "의사들의 비신사적인 말과 행동을 참으며 일할 때가 자주 있다", "수술 간호의 전문성을 위해 수술실 간호사를 특정과에 고정, 배치해야 한다고 ...
    Date2009.06.05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2979
    Read More
  20. No Image

    美 FDA “화장품, 광우병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

    美 FDA “화장품, 광우병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 피부 조직 뿐 아니라 눈 등 통해 침투 가능성 밝혀… 한국 정부 주장과 달라 논란 입력 :2008-05-08 14:13:00 ‘인터넷 괴담’ 중 “소의 부산물을 원료로 만든 화장품이 광우병 위험이 있다”는 소문이 사실일 수도...
    Date2008.05.09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279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7 Next
/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