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64.39.6) 조회 수 1830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 시점 공기업 구조조정 정말 바람직한가?

정부는 공기업 선진화 일환으로  일률적으로 15% 인력 구조조정을 하겠다고 발표 했다

정부는 09년도 성장2.4%(정부는 3%)에 5만 8천명의 고용증가를 기대한다고 한다

그러나 현 통계상 일주일 이상 고용자와 비정규직도 고용숫자에 잡히고

09년도 비정규직 고용감소가 17만을 상회 할 것으로 전망했다

생산은 파급효과가 있다  생산은 고용과 관련되어 있다


공기업에서 인건비 비중은 2%미만이다.

매출의 80%가 직접비이고 나머지 20%가 관리비용과 경비이다

이상황에서 2%중 15% 즉 0.3% 원가개선을 위해 15%의 강제 구조조정을 한다는 것이다

매출원가는 고정비용이라 치고 20% 관리비용의 15%를 줄이면 3%의 원가개선효과가 있다

그래서 돌대가리란 것이다


경제가 무엇인가 살기위함이다. 사람이 사는일이다

경제는 삶의 수단이다. 금융위기, 기업부실, 성장률저하,물가상승.... 이런 것은  경제란 것의 부속일 뿐이다

문제는 고용인 것이다.


고학력 유능한 인재들이 대기업,공기업,공무원을 위해서 3수 4수....... 백수놀음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백수란 백번 원서를 내도 빈손이란 뜻이다

근데 하필 꼭 이시점에 강제 구조조정인가이다

“신이내린직장!!!????” 열받은 사람 많다는 것은 안다.

국민을 대신해서 분풀이 해주겠다는  정치인의 입장도 안다- 이명박 대통령이 제일 잘한일이 공기업 선진화라는 여론조사가 말해준다


그러나 반대 급부로 공기업의 노동 불안은  사회전반의 고용불안 도미노가 된다는 것이다

이를 들어 소탐대실이라 한다

중소기업, 대기업, 은행 없이  고용주는 이 심리를 이용해  고용축소의 정당성 논리로 활용하고 있다. 심리를 주었거나 빌비를 준것이다


 


정부예산을 고정 시켜놓고  목표를 늘려주면 되는 것이다

그럼 생산비용을 줄이든 인건비용을 줄이든  자신들의 창의력을 총동원하여

그야 말로 살기 위해서 그리 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정부가 인력 숫자를  강제할당하여 공기업선진화의 카타르시스 효과만을 의식해서는 안된다

효율이라면  진정성 높은 효율이 중요하다

정치는 껍데기 치장이 중요하지만  국민은 실물이 중요하다. 거시경제나 경제지표보단 실물경제가 중요하듯이


고용은 곧 국민의 소득이다  소득이 곧 소비이고 

소비는 즉 생산이고 생산은 곧 성장이다

경제성장이고 환란이고 금융위기 이건 간에 최종적인 것은 고용이다

고용이 경제정책의 전부 인 것이다

모든 재정의 집행은 고용관점에서 정책이 이루어 져야 한다

기업의 문제 보다는 국민 개개인의 문제가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건전한 경제 구조로 개혁되기 위해서는

외국은 미래성장동력이 기대되는 부분에 재정 지출을 통해 경제 부양을 시도하고 있다

예를들어 에너지 절감형 주택개발이나 환경복원 신기술,첨단산업육성등에 투자 계획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어떠한가?

많은 인력 유발과 기술개발을 전제하는  강 상류부의 오염원차단과 오염개선보다는 강하류부의 대형장비를 통한 대형건설사 중심의 사업이 더 중요 한 것이다


국민은 고용이 처음이고 전부이다

기업이 효율적이어야 기업이 잘돼고 기업이 잘돼야 고용이 늘어난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기업 보단 사람이다

공기업 공공서비스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공기업은 매출 직접비용과 관리비를 줄이고  인건비를 늘리고 늘어난 인건비로 더 많은 고용을 창출하도록 하는 것이 공익이다

고용을 늘리고 질높은 서비스는 곧 소비자인 국민의 혜택으로 돌아오기 때문이다

?
  • ?
    zzz 2009.01.07 17:39 (*.152.151.7)
    공기업의 인건비 비율이 2%미만 이라고 하는 것은 어디서 나온 자료인지 궁금하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88 [기호1번] 이갑용, 강진수 후보의 순회 투쟁 file 이갑용강진수 2013.03.15 2041
587 [민주노총7기임원선거 기호1번 이갑용, 강진수의 전략5] file 이갑용강진수 2013.03.14 1978
586 [이번주 토요일(3/16)] 『미래의 시를 향하여』 출간기념 저자와의 만남에 초대합니다! 신청하세요 도서출판 갈무리 2013.03.14 1996
585 기호1번 이갑용, 강진수의 전략4 "비정규불안정노동사회를 철폐하기 위해 투쟁하는 총연맹" file 이갑용강진수 2013.03.13 1921
584 기호1번 이갑용, 강진수의 전략3 "박근혜 정권에 맞서는 총연맹과 새로운 노동자 정치세력화" file 이갑용강진수 2013.03.13 1911
583 기호1번 이갑용, 강진수의 전략2 "지역본부 중심으로의 조직 구조 혁신" file 이갑용강진수 2013.03.13 1858
582 기호1번 이갑용, 강진수의 전략1 "투쟁의 복원과 집중" file 이갑용강진수 2013.03.13 1872
581 [제7기민주노총위원장선거] 기호1번 이갑용, 강진수 "빵꾸 난 민주노총을 용접하겠습니다." file 이갑용강진수 2013.03.13 1874
580 [인문학강좌] 과학, 논쟁, 불확실성 (김명진) - 4월 1일 시작합니다! 다중지성의정원 2013.03.07 2014
579 참고바랍니다 직원 2013.03.04 2043
578 [새책] 노동시와 아방가르드 예술운동의 공명을 밝힌다, 『미래의 시를 향하여』(이성혁 지음)가 출간되었습니다! 도서출판 갈무리 2013.02.27 2054
577 3/2 토 오후 2시>> "공통적인 것을 구성하라!" 21세기 대안총서 시리즈 완간기념 집단서평회에 초대합니다. 도서출판 갈무리 2013.02.22 2051
576 [새책] 자본주의에 균열을 내자 - <크랙 캐피털리즘>(존 홀러웨이 지음, 조정환 옮김)이 출간되었습니다. 도서출판 갈무리 2013.01.29 2042
575 [새책] 금융독재에 대한 대항행동, <봉기>(프랑코 베라르디 지음)가 출간되었습니다! 도서출판 갈무리 2012.12.21 2108
574 [12/15 오후 2시] <과학, 기술, 민주주의> 출간기념 김병윤 역자와의 대화에 초대합니다! 도서출판 갈무리 2012.12.09 1984
573 [새책] 민주적 시민참여 과학은 어떻게 가능한가? <과학, 기술, 민주주의>가 출간되었습니다! 도서출판 갈무리 2012.11.28 1931
572 대기업·대형병원 비정규직 차별 ‘앞장’ 조합원 2012.11.25 1938
571 [새책] 자본주의의 직선을 벗어나는 파선을 긋자,『우애의 미디올로지』(임태훈 지음)가 출간되었습니다! 도서출판 갈무리 2012.11.14 2288
570 노동법률학교에 초대합니다. file 구로근로자복지센터 2012.11.06 2049
569 낚시인의희소식>>낚시인만보시고대어하세요%% 어신 2012.11.04 2048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38 Next
/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