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enu

(*.126.96.202) 點閱 200 推薦 0 回覆 0
?

Shortcut

Prev上一頁 文章

Next下一頁 文章

Larger Font Smaller Font 向上 向下 Go comment 列印 修改 刪除
?

Shortcut

Prev上一頁 文章

Next下一頁 文章

Larger Font Smaller Font 向上 向下 Go comment 列印 修改 刪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고대의료원지부 회원님께 드리는 글

 

   회원! 안녕하세요.

교대근무제는 인류와 함께 발전해온 공식적 핵심 조직이며, 더욱이 국가의 발전과 국민의 미래의 운명을 걸머진 모든 산업의 생산조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대근무조직에 대하여는 이제까지 정책적 그늘에 가려져 있고, 학문적 연구대상이 아니었다. 그리고 사회적으로 멸시의 대상이고, 아무도 그들의 목소리에 대해 귀담아 들으려하지 않는다. 이제, 우리는 새롭게 변해야 되는 시점에 와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제가 2014년 말 40 여년의 교대근무제 직장생활을 마치고, 2015년에는 우리나라 최초로 교대근무제와 관련된 기초적인 이론들을 엮어서 지난 연말에 교대근무라는 한 권의 책을 역사적으로 출간하여 그들에게 등불을 밝혀주는 한 알의 작은 씨앗을 뿌렸습니다.

   이 책은 첫째 마당, ‘교대근무제는 비정형적 근무제도이다.’

            둘째 마당, ‘교대근무제는 야간근무를 수반한다.’

            셋째 마당, ‘교대근무는 바이오리듬을 교란시킨다.’

            넷째 마당, ‘교대근무자는 감정노동자이다.’

            다섯째 마당, ‘교대근무제는 미래지향적이다.’ 주제로 엮었습니다.

   이 책은 개인적으로 지난 40여 년간 재직했던 교대근무제 직장의 혼이 고스란히 스며든 결과물이라고 자부하며, 교대근무자에 대해 국가와 사회적, 그리고 개인적인 측면에서 필요로 하는 3가지 역할(의의)을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지금까지 교대근무제는 일반(통상)근무 중심 일변도의 정책적 그늘에 가려져 있어 제도적으로 풀어야 할 과제들이 빙산처럼 잠재되고 너무나 많이 산적해 있습니다. 국가의 올바른 정책적 해결방안을 공론화하는데 촉매제 역할과 방향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둘째, 교대근무자들은 국민의 편익과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해 매진하고 있습니다. 그들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어서, 이를 이론적으로 새롭게 조명하여 그들에게 누적된 사회적인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사회적으로 국민들의 새로운 시민의식의 전환점이 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셋째, 교대근무제 산업체에 종사하는 교대근무자는 400만 명이 넘습니다(추산). 지금까지 그들은 자연의 섭리를 거슬러가면서 맡은 바 업무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이제까지 자신들을 돌아볼 기회가 없었습니다. 이제라도 그들 자신들이 교대근무제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토양에 작은 밀알을 뿌렸으니, 그들이 잘 가꾸어 개인으로 나아가 가정적으로 건강한 직장인과 가장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교대근무제 분야에서 처음 시도하는 학문적 이론이라고 하기엔 비록 미약할지라도, 비정상적인 근무제도에 대한 학술적 열정이 모든 분야에 들불처럼 확산되면 교대근무자들에게 미치는 꿈은 장대해 지리라 믿습니다. 따라서 이 책에 대하여 회원님의 아낌없는 고언과 채찍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사료됩니다. 그러할 때 교대근무제에 의한 그들의 누적된 수면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건강 등 삶의 질적인 측면이빠르게 개선될 것으로 확신합니다.

    회원님! 올 한해에도 가정에 행복과 행운이 함께 하시고, 건강에 더욱 유의하시기를 두 손 모아 간절히 합장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6년 새해 元旦

 

저자   김 진 해  배상


2146774C5690745523C406



 
?

  1. 원직복직합니다.

    Date2010.06.04 By추카 Views2183
    Read More
  2. 원거리 발령 관련 법원 판결 기사

    Date2009.06.02 By참고인 Views1578
    Read More
  3. 워싱턴포스트> 부시의 애완견 유력후보 이명박

    Date2008.06.30 By마징가 Views1600
    Read More
  4. 웃자 웃어

    Date2009.02.01 By웃자 Views1612
    Read More
  5. 웃기는 자유!정의!진리!

    Date2008.09.17 By부끄러운놈 Views7103
    Read More
  6. 우리들의 일그러진 자화상

    Date2015.05.26 By몰개 Views1650
    Read More
  7. 우리는 안티조중동안하나요?

    Date2008.06.02 By가막가치 Views1856
    Read More
  8.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

    Date2008.07.20 By사람인 Views1969
    Read More
  9. 우리나라 최초로 교대근무분야의 이론서인 '교대근무' 출간

    Date2016.01.17 By김진해 Views200
    Read More
  10. 우리가 모르는 사이 병원은..

    Date2010.10.11 By나그네 Views2592
    Read More
  11. 우리 시대 가장 슬픈 외침 "삼성 불매!"

    Date2010.10.30 By삼성공화국 Views2033
    Read More
  12. 용산철거민 희생자 부산시민 추모대회

    Date2009.02.01 By안티경찰 Views2107
    Read More
  13. 용산참사]2차 추모대회 큰 충돌 없이 마무리

    Date2009.02.01 By안티경찰 Views2060
    Read More
  14. 용산 참사 현장, KBS 촬영 기자의 고백

    Date2009.02.17 By한심 Views1486
    Read More
  15. 왠지 우리 병원얘기 같네요..

    Date2012.05.09 By고고짱 Views2330
    Read More
  16. 왜곡보도 이런

    Date2010.10.11 By김재원 Views2732
    Read More
  17. 왜곡된 민주주의

    Date2009.09.09 By2pm Views1550
    Read More
  18. 왜 이리 씁쓸할까요??

    Date2009.08.07 By고대직원 Views1790
    Read More
  19. 왜 신문 보면 5만 원을 주는 거예요?

    Date2010.04.02 By그건 Views1506
    Read More
  20. 올해는 제발...

    Date2010.08.15 By이름에 걸맞게 Views302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38 Next
/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