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52.151.7) 조회 수 229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현대자동차 하청업체 소속 비정규 노동자들이 어제까지 25일 동안 울산공장 점거 파업을 벌였다. 노동자들은 지난달 15일 기습적으로 공장을 점거했고 이 바람에 공장의 기계들은 맥없이 멈춰섰다. 노동자 없인 기계가 돌아갈 수 없다는 걸 다시 확인시켜주면서 말이다. 점거 파업이 한달 가까이 흔들리지 않은 건, 경험 많고 조직 잘 갖춘 노조한테도 쉽지 않은 일이다. 더는 못 참겠다는 분노와 우직함만으로 그들은 버텨냈다.

뜻밖의 일은 이뿐 아니다. 이들은 농성을 시작하고 며칠 뒤 트위터로 치고 들어왔다. 점거 농성 조합원들이 각자 트위터 계정을 만들어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것이다. 이들은 회사 쪽의 일방적인 주장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면 즉각 반박하는 등 적극 대응했다. 파업하는 노조들이 보통 대변인을 통해서 틀에 박힌 이야기만 전하는 것과는 꽤 다른 양상이다.


하지만 더 주목할 일은 트위터를 통해 농성 현장과 외부 사이의 거리감이 크게 줄었다는 점이다. 노동자들은 시시각각 안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어떻게 추위와 배고픔을 견뎌내는지, 사진까지 덧붙여 생생하게 알렸다. 그러다 보니 이들의 글이 뜸해지면 혹시 무슨 일이 있나 걱정하는 사람도 하나둘이 아니다. 어느새 그들의 충실한 ‘추종자’(팔로어)가 된 것이다. 농성 노동자들은 트위터를 통해 외부 소식도 접하고 사람들의 반응도 알아본다. 이들이 각자 자신의 생각과 소신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것도 그전과는 다른 모습이다. 이러다 보면 집행부만 바라보는 대신 각자 상황을 판단하고 의견을 모아 일을 결정하는 게 가능해진다. 자연히 자발성도 생기게 마련이다. 이런 자발성이야말로 흔들림 없는 파업의 비결이 아닐까 싶다.


새로운 파업 양상은 트위터라는 인터넷 매체 덕분에 가능해진 일만은 아니다. 시대만 변한 게 아니라 노동자들도 변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그들은 이전 세대와는 확연히 다른 듯하다. 트위터 자기소개 항목에 ‘아직은 어려서 노는 걸 좋아하지만…’이라고 쓴 20대 후반의 농성 노동자를 보면 변화의 단면을 엿볼 수 있다. 그는 추위와 배고픔 속에서도 지치거나 기가 꺾이지 않고 여느 트위터 이용자들과 자연스럽게 섞였다. ‘현대차비정규직파업’이 인터넷 포털사이트 인기 검색어로 뜨는 게 소원이라며 열심히 동참을 호소하고, 파업 끝나면 먹고 싶은 음식들을 늘어놓기도 한다. 트위터에서 만난 파업 지지자들을 찾아다니며 맛난 음식을 얻어먹을 계획까지 세워놨다.


이 청년은 자기 소신을 밝히는 데도 거침이 없다. “농성 포기하고 내려가고 싶습니다. 하지만! 전 대한민국의 20대 청년입니다. 저 자신이 이 나라를 이끌어갈 미래입니다.” “왜 파업하냐는 질문 받아봤습니다. 여러분의 꿈은 무엇입니까? 그 꿈… 꿈을 위해 무언가를 한다는 게 힘들고 지칠수록 뿌듯한 기분 아십니까? 이게 제 답입니다.” 놀기 좋아하는 이 청년한테서 “우리 때는 그러지 않았는데, 요즘 애들은 짱돌도 들지 않는다”며 훈수나 두는 기성세대가 얼마나 어리석은지 배운다. 이 청년 덕분에 아름다운 삶이 어떤 모습인지도 봤다.


우스개처럼 하는 말 가운데 ‘세상은 파업해 본 노조와 그렇지 않은 노조로 나뉜다’는 게 있다. 실제로 파업을 겪은 노동자들은 눈빛부터 다르다. 파업을 하려면 목숨을 걸다시피 해야 하는 한국의 현실 탓이다. 파업 노동자들은 권력이 얼마나 자신들한테 적대적인지 그 진실에 눈을 뜬다. 현대차 비정규직들도 똑같다. “(공장) 출입증 반납하고 사원증 받아 내려가겠다”던 그들이 이제 “우리가 지면 자식들도 영원히 비정규직 딱지를 달고 살게 된다”고 말하게 된 까닭이 여기에 있을 것이다. 이번 싸움이 어떻게 마무리되든 그들이 지금의 마음가짐을 지켰으면 좋겠다. 그들은 이미 그전에 살던 세상과 다른 세상에 들어섰고 그 힘이면 세상 전체를 바꾸는 것도 한낱 꿈만은 아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48 보수교육비 노동자 2012.02.21 2248
547 마트 노동자의 이야기와 대학병원 간호 노동자의 감정노동 에피소드 공감 2012.02.09 2017
546 직무수당에 대하여 삐눈 2012.01.02 3774
545 홈페이지 잘보고 가요. 소봉곽유 2011.12.17 2292
544 홈페이지 잘보고 가요. 방돈애 2011.12.17 2209
543 사회복지사2급/보육교사2급 쉽고 편하고 빠르게!!취득방법!!? 성공 2011.12.13 2836
542 [봉사활동] 2011 사랑의 몰래산타 가 되어주세요^^ file 구로사랑 2011.12.08 2755
541 쉬고 싶습니다 1 자유인 2011.12.01 2921
540 치과기공사, 3년마다 면허 신고 교육 2011.11.21 2264
539 평균 인상률은 5.4% 1 고대는 2011.11.20 2280
538 서울아산 진출설에 화들짝 이화의료원 화들짝 2011.11.10 2005
537 노동조합은 어린이집 사태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대처해주세요 허걱 2011.11.10 2045
536 개혁의 깃발을 들었다??? 나도 개혁 2011.11.09 1899
535 고대안암병원 어린이집은 과연 아이들의 안전을 생각하는가? 엄마 2011.11.08 2894
534 개혁 깃발 올린 고대의대 교수들(데일리메디 펌) 1 바우총각 2011.10.26 2194
533 "이래서는 고대의료원 내일 없다. 새 판 짜야"(데일리 메디 펌글) 바우총각 2011.10.25 2217
532 노동조합? 노동자 2011.10.19 2058
531 고대의료원장 선거 최대 변수 '재단' 데일리메디 2011.10.19 1804
530 두 번째 고대의료원 김창덕 내정자 정견 발표 메디파나 2011.10.19 1784
529 월스트리트 시위에 연대하자! 1퍼센트에 맞서는 99퍼센트! 10월 15일 시청광장에 모이자! 1 몌야 2011.10.14 2012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38 Next
/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