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명퇴시행에 따른 노조 입장

by 노동조합 posted Oct 29, 200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의료원의 명예퇴직 시행에 따른 노동조합의 입장

지난 9월부터 의료원은 20년 이상 근속자 189명을 대상으로 명예퇴직 신청을 받고 있다.
이를 통해 몇몇 보직자와 20년이상 근속자 중심의 31명이 명퇴신청을 했으며, 승진 및 보직해임 그리고 전보인사를 단행하며, 명예퇴직신청 기간을 10월말로 재차 연장시키고 있다.
여기에 더해 현재 의료원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명예퇴직을 둘러싸고 각종 유언비어가 나돌고 있으며 이는 명예퇴직이 사실상 반강제성의 형태로 진행되어, 남아있는 직원들의 고용불안과 노동강도 강화 등의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노동조합은 명예퇴직이 누가 보더라도 자명하고 올바르게, 직원들이 자긍심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미래가 보장되는 의료원의 정책이 되기 바라며 현재 명예퇴직을 진행하면서 우려되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노동조합의 입장을 밝히고자 한다.

첫째, 재단과 의료원의 지시가 아무리 준엄하다해도 법보다 우선할 수는 없으며 노사신뢰로 약속한 단체협약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단체협약 제30조에 의하면 “명예퇴직은 본인이 원하지 않을시는 적용할 수 없다” 라고 못박혀 있다. 그러나 현재 의료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명예퇴직은 분위기와 상황에 몰려 어쩔 수 없다는 소문이 무성하다. 만약 의료원이 일반직원들에게까지 단체협약을 위반하면서 이를 진행한다면 이로 인해 발생할 모든 문제는 의료원이 책임져야 할 것이다.

둘째, 명예퇴직으로 인한 빈자리가 그대로 정원축소로 이어져 남아있는 직원들의 노동강도 강화가 예견되고 있다. 이미 어느 부서의 경우 명퇴로 인한 빈자리를 채울 계획은커녕 남아있는 직원들로 하여금 근무를 할 것을 강요하고 있다. 이는 분명 단체협약 제24조 “자연감소 및 결원시 30일내에 충원하도록 노력한다”로 되어 있는 단체협약을 위반한 것이다.

셋째, 고용불안이다. 얼마전 한국통신에서 진행한 명예퇴직으로 직장을 나왔던 50대 노동자가 명예퇴직을 비관하여 사랑하는 가족들을 뒤로한 채 자신이 살던 14층 아파트에서 투신하여 소중한 생명을 버리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많은 직원들은 비록 월급봉투가 얄팍해도 계획적인 생활을 꾸릴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정을 찾는다. 한참 일할 나이에 자의든, 타의든 직장 문을 나서는 것은 가정이나 사회의 불안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 언제든 직장에서 밀려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의 확산은 의료원 발전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의료원이 진정 21세기 선도의료기관의 청사진을 실현하고자 한다면, 그리고 3400여 직원들을 동료로 가족으로 생각한다면 이 시기에 직원들의 고용불안을 해소하고 의료원을 신뢰할 수 있는 고용보장 약속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의료원에 새로운 집행부가 들어선 이후 어찌됐든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뼈빠지게 일해바야 어차피 버림받을텐데...” , “이제는 정년도 보장 못 받겠네” 라는 실망과 한숨들이 흘러나오고 있으며 직원들의 사기를 높이지 못하는 바람은 의료원 발전에 순풍이 아닌, 역풍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제 의료원은 알아야 할 것이다.
경영악화와 개혁이란 이유로 구조조정의 칼날을 치켜세우며 명예퇴직을 통한 인력감축, 필요인력의 비정규직 확대, 용역도입 등으로 고대의료원이 공공의료기관으로서 최소한의 책임과 의무조차 포기하고 민간 기업처럼 수익성 중심으로 인건비 절감이라는 정책만을 몰아가서는 안될 것이다. 이제 의료원은 그동안 잘못된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일반적인 의료서비스에서 공공의료를 통한 국민의 건강권을 책임지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노력하여야하며 노동조합을 의료원 발전의 동반자로 인식하고 전직원이 동의하고 함께 갈 수 있는 정책을 펼쳐야 할 것이다.
노동조합은 “명예퇴직”이 퇴직자들의 명예를 지켜주고, 남은 직원들의 사기를 진작시키는 말 그대로의 “명예 퇴직”이 되길 바란다.
그러나 의료원이 단체협약을 위반하면서까지 구조조정이란 폭풍을 몰아친다면 노동조합은 더 이상 좌시하지 않을 것이며, 이는 1800조합원들의 커다란 저항과 투쟁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2003년 10월 29일

민주노총 보건의료노조 고대의료원지부

?

  1. 할말은 한다 11호 - 2019 고대의료원지부 산별현장교섭 조인식

    Date2019.09.05 By관리자 Views1553
    Read More
  2. No Image

    2005 산별교섭 및 지부교섭 쟁위행위 찬반투표

    2005 산별교섭 및 지부교섭 쟁위행위 찬반투표가 안암 구로 안산 3개병원 직원식당 앞에서 6월 29일(수) 07시부터 ~ 7월 1일(금) 19시까지 진행됩니다. 압도적인 투표율과 찬성으로 2005년 투쟁을 잘 마무리지을 수 있도록 조합원 여러분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Date2005.06.29 By노동조합 Views1555
    Read More
  3. 할말은_한다_1호_2021_3_4분기_노사협의회_보고

    Date2022.01.24 By관리자 Views1561
    Read More
  4. No Image

    대의원대회 소집공고

    고대의료원지부 대의원대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간부 대의원 여러분의 많은 참석 바랍니다. 일시 : 2004년 10월 7일(목), 8일(금) 양일간 장소 : 구로병원 (7일 : 별관 3층 세미나실 / 8일 : 1층 대강당) 안건 : 1. 주요 현안문제 2. 기타 보건의료노조 ...
    Date2004.09.07 By노동조합 Views1568
    Read More
  5. No Image

    [성명서] 강남성모병원 한용문 지부장에 법정구속을 규탄한다.

    법원의 법정구속을 강력히 규탄하며 강남성모병원 한용문 지부장을 즉각 석방하라! 2002년 가톨릭중앙의료원(이하 CMC) 산하 강남성모병원, 여의도성모병원, 의정부성모병원파업과 관련하여 명동성당 구내에서의 집회를 이유로 2003년 7월 16일(수) 오전 10시...
    Date2003.07.23 By노동조합 Views1586
    Read More
  6. No Image

    명퇴시행에 따른 노조 입장

    의료원의 명예퇴직 시행에 따른 노동조합의 입장 지난 9월부터 의료원은 20년 이상 근속자 189명을 대상으로 명예퇴직 신청을 받고 있다. 이를 통해 몇몇 보직자와 20년이상 근속자 중심의 31명이 명퇴신청을 했으며, 승진 및 보직해임 그리고 전보인사를 단행...
    Date2003.10.29 By노동조합 Views1604
    Read More
  7. No Image

    3/4분기 노사협의회 결과

    ■ 2003년도 3/4분기 노사협의회 결과 보고 의료원의 새로운 집행부 구성 후 처음으로 노사가 한 자리에 모였다. 어제(13일) 오후 3시 제 3회의실에서 열린 2003년도 3/4분기 노사협의회는 오후 7시까지 무려 4시간 동안이나 다소 어수선하지만 진지하게 진행됐...
    Date2003.11.14 By노동조합 Views1606
    Read More
  8. No Image

    소식바이러스 7호

    소식바이러스 7호 08년 3월 24일 배포 2008년 1/4분기 산업안전보건위원회 2008년 1/4분기 산업안전보건위원회가 병원별로 개최될 예정입니다. 산안위원회는 산업안전보건법과 그 시행령에 따라 분기별 정기회의와 임시회의로 운영되는데 고대의료원 지부에서...
    Date2008.04.27 By관리자 Views1610
    Read More
  9. 공감플러스 - 1호

    Date2012.06.15 By관리자 Views1610
    Read More
  10. 할말은 한다 8호 - 고대의료원지부 4차 임시대의원대회 보고 [코로나19로 고생한 조합원 위해 격려금 지급하기로]

    Date2020.10.30 By관리자 Views1624
    Read More
  11. No Image

    안산병원> 조합원 자녀를 위한 공부방 신청하세요

    민주노총 조합원 자녀와 함께하는 > 1. 목적 - 본 프로그램은 전교조 안산시회가 주관하며, 민주노총 조합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계획하였습니다. 2. 운영 - 과목별 계획에 의해 운영, 수강료 없는 공부방입니다. 3. 개설 과목 및 대상 학년 - 외국어...
    Date2008.01.04 By노동조합 Views1630
    Read More
  12. No Image

    회견-양대노총 주5일제 단일안 발표 기자회견문

    - 2003.8.6 오전11시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회관 9층 정부, 여야정당, 경영계는 근기법 개악안 강행처리를 중단하고, 여성·중소영세·비정규노동자 보호를 기본정신으로 하는 노동계 단일안을 적극 수용하라 지난 1997년부터 노동자들은 노동시간단축을 요구해 ...
    Date2003.08.07 By노동조합 Views1654
    Read More
  13. No Image

    2006년 보건의료산업 산별교섭 노사 잠정합의서

    민주노총 전국병원노동조합연맹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하 ‘조합’이라 한다)과 보건의료산업 관계 사용자(보건의료산업 산별교섭에 참가하는 사용자일동, 이하 ‘사용자’라 한다)는 국민 건강권 실현과 새로운 노사관계 정립을 위해 헌법과 노동관계법의 ...
    Date2006.08.27 By노동조합 Views1677
    Read More
  14. No Image

    소식바이러스 5호

    소식바이러스 5호 08년 3월 10일 배포 1/4분기 노사협의회 ● 개최 날짜 : 2008년 3월 20일(목) ● 안건 ① 합의사항 이행 점검에 관한 건 - 정규직 퇴직(사직)자리 인력충원 건 - 안암병원 육아시설 보육료 지급 건 - 구로 및 안산병원 육아시설 진행 건 - 비정...
    Date2008.04.27 By관리자 Views1679
    Read More
  15. No Image

    투쟁기금 대여

    투쟁기금 대여합니다!! 2004 총파업투쟁을 힘있게 마무리하며 부서로 복귀하신 조합원에게, 의료원은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들이대며 이미 6월 급여에서 파업한 일수만큼의 임금을 삭감 처리했고, 7월 상여에서도 삭감할 것이라고 일방적으로 통보해 왔습니다....
    Date2004.06.25 By노동조합 Views1688
    Read More
  16. No Image

    지부 합의안

    2004년 임·단협(지부) 노·사 합의서(안) -의료 공공성 강화 요구 :의료원은 국민의 건강을 책임지는 의료기관으로서 공공적 역할을 강화하기 위하여 노동조합에서 지정하는 안암, 구로, 안산병원 각 지역에 위치한 사회복지시설에 위탁된 무의탁독거노인, 소녀...
    Date2004.06.25 By노동조합 Views1716
    Read More
  17. No Image

    2002년 투쟁채권상환안내

    2002년 경희의료원지부와 CMC지부의 파업투쟁승리를 위해 함께 하고자 투쟁채권(1장당 5만원)을 구입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11월 25일이후 채권을 현금으로 직접 상환해 드립니다. 투쟁채권을 구입하신 분들은 각 병원 노조사무실을 직접 방문하시거...
    Date2003.11.21 By노동조합 Views1724
    Read More
  18. No Image

    알림장 3호

    알림장 3호 08년 2월 25일 배포 구로 어린이집 미달, 운영 노사합의 후 추가모집 안산 어린이집 수요조사 완료, 6월 개원 예정 지난 2월 20일 구로병원 어린이집 1차 모집결과 정원 32(만1세 5명, 만2세 10명, 만3,4세 17명 추가 2명/총 34명)명에 18명이 지원...
    Date2008.04.27 By관리자 Views1730
    Read More
  19. 2012 두근두근 낙농체험~~~♥

    Date2012.06.08 By관리자 Views1733
    Read More
  20. 공감플러스 - 2호

    Date2012.06.15 By관리자 Views173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