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53.112.198) 조회 수 295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나라당이 후쿠시마 방사능 사태에 대한 정부의 안이한 갈팡질팡 대응이 국민적 불신을 사자, 방사능 사태가 자칫 '제2의 광우병 사태'로 발전하면서 민심 이반을 더욱 가속화시키는 게 아니냐는 두려움을 숨기지 못하고 있다.

한나라당 수뇌부는 공식적으로 방사능 사태에 대해 노코멘트로 일관하고 있다. 후쿠시마 사태 초기에 정부와 함께 "우리에겐 편서풍이 있다"며 '편서풍 안전신화'를 외치며 국민 우려를 '괴담'으로 치부하다가 후쿠시마 방사능이 캄차카 반도를 거쳐 북극까지 갔다가 남하해 한반도 전역에서 방사능이 검출되면서, 국민들의 비난 여론이 빗발친 쓰라린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최근 들어 독일 기상청, 노르웨이 대기연구소 등이 후쿠시마 방사능이 일본 남부를 거쳐 곧바로 오는 6~7일 한반도에 진입할 것이란 충격적 전망을 내놓자 처음에는 이를 극구 부인하던 기상청이 막판에 유입 가능성을 시인하면서 '편서풍 안전신화'가 완전히 확인사살되자, 한나라당 수뇌부는 아예 꿀 먹은 벙어리가 됐다.

야당들은 당연히 연일 정부여당의 안이한 대응을 질타하고 있고, 각종 여론조사에서도 국민의 90% 가까이가 정부 발표에 불신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자 한나라당은 3주 앞으로 다가온 4.27 재보선은 물론 내년 총선·대선에 치명적 악재로 작용할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한나라당 의원은 "어찌 돌아가는 형국이 점점 정권 초기의 광우병 사태를 닮아가는 것 같다"며 "국민들이 가장 민감한 게 먹거리와 가족의 안전인데 정부가 방사능 사태에 너무 안이하게 대응하는 것 같다"고 정부에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그는 "가뜩이나 물가대란·전세대란으로 민심이 흉흉한 마당에 방사능 사태까지 겹치면서 국민적 불만이 폭발하면 <조선일보>가 우려하는 제2 촛불사태가 발생하지 말라는 법도 없을 것"이라며 "정권말기에 또다시 이런 일이 벌어진다면 한나라당은 회복 불능의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고 걱정했다.

안형환 한나라당 대변인이 오랜 침묵을 깨고 5일 발표한 논평은 한나라당이 지금 속으로 느끼고 있는 당혹감이 그대로 녹아 있다.

안 대변인은 "오는 7일경 일본 방사성 물질이 한반도에 도달할 수 있다는 전망과 함께 전국적으로 비가 예보돼 방사능비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한나라당은 국민들께서 염려하시는 부분이 무엇인지 잘 알고 있는 만큼, 국민들의 안전을 지키고 국민 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극 대비해 나갈 것"이라며 국민 불안을 진정시키기 위해 부심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일부 보도에 따르면 소금, 미역 등에 대한 사재기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인터넷을 중심으로 ‘방사능에 좋다’는 확인되지 않은 광고 글도 올랐다고 한다"며 "전문가들은 설사 방사능비가 내린다 하더라도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방사성물질 농도가 점점 옅어지고 있어, 인체에는 영향이 없을 정도로 미미한 수준이라고 설명하고 있다"며 국민 불안이 과잉반응임을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정부에 대해 "다만 정부는 국민들의 불안 심리를 감안해 방사능 관련 정보를 보다 신속정확하게 전달하고, 혹시 있을지도 모를 작은 피해에도 예의주시해야 할 것"이라며 보다 능동적 대응을 주문한 뒤, "국민들께서도 허위, 과장된 정보에 휘둘리기 보다는 객관적인 사실에 입각해 의연하게 대처해 나갈 것을 당부 드리고, 야당에서는 침소봉대를 지양하고 언론에서도 확인된 사실에 근거해 합리적으로 대응해 줄 것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나라당은 이처럼 대외적으론 국민적 진정을 호소하면서도 오는 6~7일 후쿠시마에 직상륙할 방사능의 수치가 급속히 높아질 경우 국민적 불안과 불만이 폭발할 것을 우려하며 상황 전개를 긴장 속에 예의주시하고 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 감사는 어떻게 하시나요? 1 조합원 2020.10.19 1168
27 의료원 간부 야유회에 대하여. 1 화난이. 2020.10.20 1494
26 정책마당 노동상담 글이 안열리네요 1 아가까망뀨 2020.12.01 918
25 휴가사용률 3 다람쥐 2021.01.28 1370
24 노조 마사.지 건 언제 받을 수 있나요? 1 만두 2021.02.23 1040
23 억울하게 벌금딱지받았습니다. 1 억울합니다 2021.04.29 1399
22 기본급 인상 1 2021.05.17 1190
21 2021년 노동조합지부장 선생님께 3 노동조합 2021.06.08 1472
20 백신후유증 대단하네요.. 최은지 2021.07.01 968
19 기본급 인상 3 ㄱㄹㄷ 2021.07.06 1598
18 파업 2 투쟁 2021.09.14 1133
17 노동조합 탈퇴를 요합니다 10 file 안산병원 간호사 이하림 2021.09.16 2577
16 이번 10/25 급여에 하계 휴가비 포함된건가요? 1 2021.10.24 1093
15 회의 내용 중에서 병원 답변에 ..... 3 file .... 2021.12.29 1034
14 작년 합의안 진행상황에 대하여 질문있습니다. 1 file 3교대 2022.01.16 1068
13 가족 간병을 위한 휴가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1 2022.03.26 1210
12 올해 타업종별로 임금상승율이 높네요 ... 2 노조원 2022.04.26 1277
11 각병원 헬스장 오픈하나요?? 헬스인 2022.04.27 1062
10 N다음 투오프 2 조합원 2022.07.27 462
9 주차지원비 3 주차 2022.07.28 638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Next
/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