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부소식

의료민영화 3대 악법, 국회 졸속 처리 시도

by 관리자 posted Feb 25,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의료민영화 3대 악법, 국회 졸속 처리 시도
교육선전실  
 
조회수: 17 / 추천: 0 이번 주 국회 상임위가 속속 열리고 있는 청와대와 한나라당이 의료공공성을 파괴하는 의료민영화 3대 악법을 졸속적으로 처리하려 하고 있다.


의료채권법은 25일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 상정 예정이고, 제주특별법은 23일 행정안전위원회에 상정됐으나 심의는 이뤄지지 않았다. 또 다른 악법인 경제특구법은 보건복지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에 상정을 앞두고 있다.


보건의료노조를 비롯한 건강연대, 각 시민사회단체들은 보건의료체계를 뒤흔드는 3대 악법의 근본적인 문제점과 국민 여론 수렴 없이 비민주적인 처리 절차를 비판하며, 법안 처리 저지 입장을 분명히 밝히고 나섰다.

 

의료채권법, 25일 복지위 전체회의 상정 예정


미국식 영리병원으로 가는 전초 단계인 '의료채권 발행에 관한 법률안' (의료채권법)은 25일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 상정될 예정이다.

의료채권법은 의료기관을 개설한 비영리법인이 의료기관 순자산액의 4배까지 의료채권을 발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번 국회에서 의료채권법이 처리된다면, 현재도 극심한 병원의 돈벌이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것이다. 

외부에서 자금을 조달 받은 의료법인은 이자를 고려해 돈벌이를 일삼아 의료서비스가 상품으로 전락하고 경쟁적 시설 투자에 대한 채무부담은 고스란히 환자인 국민의 몫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인건비 절감에 따른 고용불안과 노동 강도 강화 등 근로조건 후퇴는 고스란히 직원들이 감당해야 한다. 

 

의료기관의 채권발행은 미국식 의료상업화를 의미한다. 이 경우 병원의 거대화 및 프랜차이즈화가 가속화 돼 중소병원 및 영세 개원가의 피해는 심화되고 1차 의료기관의 잠식 및 의료전달체계의 붕괴로 이어질 것이다. 자금 동원이 힘든 공공병원의 경쟁력 또한 급격히 약화될 것이며 대형병원의 독점력이 강화되는 결과를 낳을 것이다.

 

보건복지가족부는 이번 채권법이 ‘중소병원 살리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국회의원들을 설득하고 있으나, 이 법이야말로 중소병원을 더욱 치열한 경쟁과 대형화로 내몰아 결국 중소병원의 몰락의 길을 앞당길 것이다.

 중소병원을 살리는 길은 병원을 자본 투자와 영리추구의 시장으로 내모는 것이 아니라, 병원과 병상에 대한 지역별 총량을 설정하여 지역에 필수적인 중소병원의 경우 공공적 투자를 통해 건전한 발전을 할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제주특별법, 23일 행안위에 상정됐으나 심의는 안돼


 

제주 도민들의 반대에도 강행하고 있는 '제주도 특별법 개정안' (제주특별법)은 23일 오전 11시 행정안전위원회 법안심사소위에 상정돼 논의될 예정이었으나, 다른 안건들에 밀려 심의는 이뤄지지 못했다.


법안심사소위가 열렸던 23일 김태화 제주도지사와 도 관계자, 김용하 제주도의회 의장을 비롯한 상임위원장단은 국회를 찾아 국회의원들을 대상으로 제주특별법 개정안 처리를 촉구하는 등 법안 처리를 위한
정치권 압박이 대단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제주특별법은 10일 열린 행정안전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에서 <외국 영리병원 설립 완화>와 <제주도 내 의료광고 허용> 조항들이 삭제됐다.
현재 남은 독소조항은 ▲외국의료기관의 전문의 수련기관 지정 ▲ 의약품 및 의료기기의 수입 완화 및 면제 ▲외국 면허 소지자 종사 인정 특례의 범위 확대 등이다.

 

보건의료노조는 외국 영리병원 설립 완화와 제주도 내 환자유치(홍보활동) 허용 등이 삭제된 것에 대해서는 일단 환영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나머지 3개 조항에 대해서는 여전히 우려가 크다.


<의료기관의 전문의 수련기관 지정>은 양질의 교육 훈련이 목적이 아니라 인건비자 저렴한 수련의를 고용해 활용하려는 의도이므로, 이는 의료서비스 질 하락을 가져올 것이다.

 

<의약품 및 의료기기의 수입 완화 및 면제>는 무허가 의약품과 건강식품이 제주도 외국영리병원을 통해 국내로 납입해 국민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의료면허 소지자 인정 범위 확대>는 국내 외국의료기관에 종사할 수 있는 외국인 면허소지자 인정 범위를 의사, 간호사에 이어 의료기사까지 확대하려는 조항인데, 주로 인건비가 저렴한 동남아 인력이 대거 유입될 것을 예상된다. 이는 의료서비스 질 하락과 국내 보건의료 노동자들의 고용불안을 초래할 것이다.

 


경제특구법, 복지위 법안소위 상정 예정


 

20일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 상정됐던 '경제자유구역의 외국의료기관 등 설립 운영에 관한 특별법' (경제특구법)은 현재 보건복지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를 앞두고 있다.

 

경제특구법안은 제주특별자치도법 개정안에 포함된 내용과 동일한 규제완화 조항을 두고 있다.

 

외국 영리병원의 의약품과 의료기기의 수입을 완화하거나 면제하고 내국인에게도 처방할 수 있도록 한 조항은 국가가 검증하는 절차를 생략함으로써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도외시하는 것으로, 부적절한 의약품이 외국의료기관을 통해 국내에 유통될 위험이 있는 독소조항이다.

 

경제특구법안이 국회에서 처리된다면 국내 의료기관 역시 동등한 혜택을 요구하게 될 것이고, 이는 국내 의료체계 전반의 규제 완화로 이어지게 될 것이다. 이미 병원협회는 경제자유구역내 병원의 민간보험 도입, 국내 병원 역차별 논리를 내세우기 시작했다.

 

위와 같은 규제 완화는 경제자유구역 일부 지역에 한정하여 실시된다고 하더라도 전국이 일일생활권이라는 점과 제주와 6개 경제자유구역은 권역을 포괄하고 있으므로 그 효과는 전국적으로 발생할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

 

정부는 경제특구의 규제 완화가 지역경제발전과 고용창출로 연결된다는 허황된 논리를 내세울 것이 아니라 ‘돈 걱정없이’ 치료받을 수 있는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국민들과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만약, 청와대와 한나라당이 국민의 뜻을 무시하고 의료민영화 3대 악법을 이번 국회에서 처리하려 한다면, 보건의료노조를 비롯한 각 단체들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힐 것임을 엄중히 경고한다.

 

@ 2월 24일 보건의료노조 교육선전실

 

?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69 돈보다생명 [2015_57호] 민주노총 창립 20년을 맞으며 조합원들께 드리는 글 관리자 2015.11.10 89
2868 돈보다생명 [2016_2호] “부당해고 철회하라!” 관리자 2016.01.12 89
2867 돈보다생명 [2016_9호] (환영합니다!)‘강원도재활병원지부’ 설립 총회 개최 관리자 2016.03.08 89
2866 돈보다생명 [2016_30호] 국제성모ㆍ인천성모병원사태 해결하라! 관리자 2016.06.28 89
2865 돈보다생명 [2016_43호] 조합원 90% 총파업 찬성 모이자! 9.28 총파업 총력투쟁 관리자 2016.09.26 89
2864 돈보다생명 [2017_08호] “즉각 퇴진, 특검 연장!” 2017 첫 민중총궐기, 107만 촛불 지펴 관리자 2017.02.28 89
2863 돈보다생명 [2018_03] “최저임금 인상 무력화 꼼수 중단하라” 관리자 2018.01.22 89
2862 돈보다생명 [2018_05호] “밀양 세종병원 사태를 계기로 인력문제 해결해야” 관리자 2018.02.01 89
2861 지부소식 안암병원 노사, 상호존중 실천 선포식 가져 file 관리자 2022.03.14 89
2860 돈보다생명 [2015년_6호] ‘진주의료원 주민투표’는 공공의료 살리는 생명투표입니다. 관리자 2015.02.04 90
2859 돈보다생명 [2015_22호] “진주의료원 재개원”14만 주민투표 성사 위해 매진 관리자 2015.05.27 90
2858 돈보다생명 [2015_31호] 속초의료원장 퇴진! 속초의료원 정상화! 촉구 관리자 2015.07.21 90
2857 돈보다생명 [2015_37호] 2015 보건의료노동자 실태조사 결과 ① 모성보호 관리자 2015.08.20 90
2856 돈보다생명 [2016_4호] ‘쉬운 해고’‘맘대로 취업규칙 변경’지침 앞으로 우리에게 어떤 일이? 관리자 2016.01.25 90
2855 돈보다생명 [2016_6호] 2월 27일은 보건의료노조 18번째 생일입니다! 관리자 2016.02.17 90
2854 돈보다생명 [2016_9호] 인천성모병원은 성평등 ‘걸림돌’ 인천성모병원지부는 성평등 ‘모범조직’ 관리자 2016.03.08 90
2853 돈보다생명 [2016_34호] 7.20 민주노총 전국 8만 조합원 파업 관리자 2016.07.22 90
2852 돈보다생명 [2016_52호] 산별현장교섭 승리 위한 3차 파업 총력 투쟁...11/9 을지대병원 집중투쟁, 보훈병원지부 파업 전야제 관리자 2016.11.08 90
2851 돈보다생명 [2016_54호] ‘박근혜-최순실-차움' 의료민영화 판도라 상자 열려 의료민영화정책 개입 의혹 철저히 밝혀야 관리자 2016.11.23 90
2850 돈보다생명 [2017_12호] 지방의료원 노사공동포럼 첫 정책워크숍 개최! ‘공익적 적자’ 해결 위해 정부의 재정 및 인력지원 확대 시급해 관리자 2017.03.28 90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5 Next
/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