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52.151.6) 조회 수 166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의료윤리학회 고윤석 회장, "의사-제약사, 윤리문제 해결로 공생"

 

“이제 병원 규모 경쟁의 시대는 갔다. 국민들 입장에서는 진료는 물론 윤리적인 곳인지를 따지는 시대가 왔다.”

한국의료윤리학회 고윤석 회장(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은 16일 저녁 경희대학교 법학관에서 열린 9월 월례학술집담회에서 ‘의사-제약산업체 관계윤리’라는 주제를 통해 이 같은 입장을 피력했다.

국민들 입장에서 보면 과거에는 병원 규모가 크고 시설이 좋은 곳이 선호됐지만 이젠 국민인식 변화에 따라, 자신이 진료를 받는 곳이 윤리적으로 타당한 곳인지까지 인식하게 됐다는 것이다.


특히 의사와 제약사들 간의 은밀히 거래되는 ‘리베이트’는 윤리성의 잣대가 되기 때문에 이 부분에 있어 의료진은 스스로 윤리적 의식을 함양해야 한다는 것이 고윤석 회장의 주장이다.

고윤석 회장은 다만 스스로만 이뤄내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의사와 제약업체 간 윤리지침서를 마련 중에 있는 가운데 ‘제도적 접근’과 ‘단계적 접근’을 제시했다.

먼저, 현재 의료진들의 의료윤리 문제점에 대해 고윤석 회장은 의과대학의 교육 실태를 꼬집었다.

고 회장은 “우리는 의과대학에 진학하고 졸업할 때까지 의료윤리에 대해 배운 적이 없다. 지금도 수 많은 대학병원에서 이를 교육하는 곳이 거의 없어 의료인 개개인이 지닌 윤리성에 대해 민감도가 낮은 상태”라고 일침했다. 선배들이 행하고 있는 관행을 쉽게 받아들일 수 밖에 없는 구조적 매커니즘 이라는 것이다.

그는 또한 "의료인들에게 가장 밀접한 의약품도 학교에서 배우는 것에는 한계가 있어 제약사 마케팅 사원들 또는 심포지엄을 통해 1차적으로 새 약품 정보를 접하기 때문에 의료윤리를 정립하기 위한 의사와 제약사 간 윤리적인 공생관계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제도적 접근
이를 위해 고 회장은 제도적 접근을 해야 제안했다. 예컨대, 종합병원의 경우 이해상충관리위원회를 두면서 기관 윤리 수준과 문화를 위해 엄격히 다뤄야 한다는 관점이다.

고 회장은 “실례를 들자면 서울아산병원이 처음 시작했을 때 당시 병원 모토가 ‘환자를 위한 병원’이었다. 그러나 교육과 지식적인 면을 손상시킨다는 질타가 많았지만 20여년이 지난 지금은 이러한 모토를 내걸은 병원들이 대다수로 많이 바뀌었다”고 밝혔다. 그 만큼 점차 병원 내 제도적 장치를 통한 엄격한 잣대가 필수적 상황이라는 관측이다.

단계적 접근
다음으로 고 회장은 단계적 접근을 살폈다. 그는 “첫번째 단계로 의사들 스스로 윤리적인 민감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혹자는 자신이 받는 것이 리베이트인지 마케팅 비용인지 구분을 못하겠다고 하지만 솔직히 받는 사람 입장에서 충분히 구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민감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 회장은 이해상충 관리 윤리지침 마련의 필요성도 주장했다. 그는 “의료 기관내 이해상충위원회 등의 설립이 하나의 방편이 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세 번째 단계로 기관 윤리문화 증진을 기본으로 하되 정부 지원이 하루 빨리 현실화돼야 한다는 점을 꼽았다.

고 회장은 “의료진들에 대한 수가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보다 윤리적인 의식 함양에 있어 이 부분도 무시할 수는 없다는 관점이다.

고 회장은 “현행 리베이트 쌍벌제는 근본적 원인에 대한 고민이 전혀 없는 제도”라며 “결국 지금 상황은 예컨대, 의사들이 의약품 도매상을 개설하고 이를 통해 약을 처방하는 등 법적으로 정당하지만 윤리적으로는 합당하지 않은 상황 등도 나올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결과적으로 고윤석 회장은 “부당한 관계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 원인에 대한 대책 마련이 이뤄져야 하고 제약산업과의 관계에 있어 의료인들과 의료기관들은 공공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영성기자 (lys@dailymedi.com)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8 서울남부지역 노동자와 함께하는 노동법 강좌에 초대합니다. file 구로구근로자복지센터 2012.05.30 2490
447 서울 마포, 중랑, 서초구 시민노동법률학교 무료 수강생 모집 서울비정규노동센터 2013.11.18 3205
446 서글픕니다 1 조합원 2010.06.30 2798
445 생활의지혜 file 홍보부 2010.04.19 3512
444 생활속 작은 아이디어 반짝 2009.02.01 1910
443 생매장돼지들의절규 고돌이 2011.02.24 3471
442 생각나는 얼굴이 되고 싶습니다 3 얼굴 2009.01.25 1543
441 새해벽두의 인사를 바라보며 8 울렁증 2009.01.11 2068
440 새책! 『빚의 마법』 - 빚은 속박인가 유대인가? 갈무리 2015.08.04 155
439 새책! 『9월, 도쿄의 거리에서』― 1923년 9월 1일 간토대지진 직후 조선인 대학살에 대한 생생한 보고문학! 갈무리 2015.09.05 159
438 새롭게 투쟁준비 하신다고요 3 나일팅게일 2008.11.14 2525
437 새로운 노동자정당 추진위원회 발족식 새노추 2011.05.17 3016
436 새로 나온 소책자 - 임금, 임금 격차, 연대 노동자연대 2016.06.22 166
435 상급종합병원 지정에 50개 대형병원 '도전장 관심2 2011.08.06 2639
434 삽질이야... 쥐빡 2009.01.29 1416
433 삼풍백화점 폭파범 김영우(당시 기무사 대원)자유한국당 의원 1 file 허준 2019.03.16 546
432 삼일회계법인 3 삼일이 2009.05.07 2777
431 삼성전자서비스 노사 협상 타결 질긴놈이 이긴다 2014.06.27 3488
430 삼성전자, 잇따른 자살 왜? 아오지 2011.01.14 2900
429 삼성에 다니는 사람 부러워 하지말지어다. 칼라tv 2010.05.09 1539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38 Next
/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