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52.151.6) 조회 수 180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노골적 관여 교수들 불만…김창덕 "화합 가능 방법 찾겠다"
고대의료원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후보로 지명된 김창덕 교수(고대안암병원장)의 당락 여부를 가리는 열쇠로 재단과의 관계 설정이 떠올랐다.

이미 일부 교수들을 중심으로 학교법인에 대한 불만을 노골적으로 표출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하라는 의료원 내부의 요구가 거센 탓이다.

더욱이 앞서 후보로 나섰다 낙마했던 서성옥 고대의대 학장 역시 일련의 과정을 살펴봤을 때 이러한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던 만큼, 김창덕 교수의 가장 큰 고민도 바로 재단과의 관계를 정상화하는 데 있다.


정견발표를 통해 교수들을 만나 지지를 호소하고 있는 김창덕 교수가 ‘합심하여 힘차게 도약하는 고대의료원을 만들겠다’는 구호를 만든 것도 그래서다.

김 교수는 “소통과 화합하지 않고서는 발전을 꾀하기 힘들다”며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내부단결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를 위한 해법으로 김 교수는 고대의대를 시작으로 고대의료원, 학교본부, 재단 등이 참여하는 고대의료원 발전위원회 미래전략위원회 설치하겠다고 약속했다.

재단으로부터 일방향적 흐르고 있는 탓에 정체돼 있는 소통구조를 풀기 위해 자신이 중간 다리 역할을 하겠다는 의미다.

하지만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김 교수를 바라보는 시선은 아직 유보적이다.  

김 교수가 후보로 오르기까지 서성옥 학장과 마찬가지로 재단의 입김이 주요하게 작용했다는 이야기가 교수들 사이에 널리 퍼져있는 탓이다.

실제로 의료원 내 일부 교수들은 김창덕 후보자에 대한 개인적 호감도를 떠나 재단에 대한 불신이 표출하기 위해 반대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하는 사람들이 하나 둘 생겨나고 있다.

고대의료원 주요 보직을 거쳤던 한 교수는 “지금 상황에서는 재단에 대해 분명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사람을 필요로 하지만 김창덕 교수가 그럴 수 있을지 확신이 서지 않는 것은 사실”이라며 “서 학장과 마찬가지 움직임을 보이자는 요구가 나오는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전했다.

또 다른 교수 역시 “앞서 의료원장을 지냈던 사람들 비슷한 공약을 내놨었지만 매번 재단이라는 벽을 넘지 못해 성사시키지 못하지 않았느냐”며 “이번 선거를 교수들의 이러한 불만을 제대로 보여줄 수 있는 기회로 여기는 분들이 많다”고 전했다.

이번 선거가 끝난 뒤에도 한동안 고대의료원이 후유증에 시달리며 진통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대목이다.

이와 관련 선거를 지켜보고 있는 고대의료원 한 교수는 “선거가 어떤 식으로 결론이 나든 고대가 개혁을 필요로 하는 시점에 왔다는 점은 변함이 없을 것”이라며 “누가 되든지 하루 빨리 고대의료원이 안정을 되찾고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 있게 되기를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김수성기자 (sskim@dailymedi.com)  기사등록 : 2011-10-19 06:4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48 "공유인으로 사고하기가 중요한 이유" ― 『공유인으로 사고하라』 출간기념 저자 데이비드 볼리어 화상특강! (10/31 토 저녁 7시) 갈무리 2015.10.27 163
747 "맑시즘2009" 노동자들도 함께~ 단순무식 2009.07.31 1507
746 "맑시즘2009" 대박기원!! 몌야 2009.07.21 1525
745 "명퇴" 이제는, 노조가 나서야 한다.!!! 9 명퇴부활 2009.06.15 6752
744 "무상의료 재원 8조, 충분히 조성 가능" 실현가능 2011.01.11 3048
743 "법은 도덕적 인간에게 불가능한 것을 명령해선 안 된다" 프레시안 2011.09.23 1661
742 "병원 규모 아닌 윤리 따지는 시대 도래" 이기자 2011.09.21 1667
741 "보건노조 조합원 50% 간호사" 관계자 2011.08.14 2807
740 "삼성과 정부는 왜 영리병원에 목을 매나?" 프레시안 2011.04.16 2851
739 "의료원장 '노조 척결' 발언은 부당노동행위" 조합원 2011.01.24 3353
738 "이래서는 고대의료원 내일 없다. 새 판 짜야"(데일리 메디 펌글) 바우총각 2011.10.25 2217
737 "일본의 나쁜 제도 수출되지 않도록 하겠다" 곽정숙의원실 2010.11.08 2165
736 "제주 영리병원·학교 빗장 풀리면 전국으로 확산" 핵포탄 2009.02.22 1385
735 "중소병원 간호사 인력난, 노동의 질 문제" 인력문제 2008.11.06 1527
734 "파업지지" 오바마 vs "파업저지" 이명박 화이부동 2008.12.09 1430
733 'MB의 모델’ 두바이, 드디어 무너지나? 환상 2008.12.08 1356
732 '가십(Gossip)'으로 끝난 MB와 부시의 만남 마징가 2008.06.30 1578
731 '가장'을 늑대로 만드는 체제 박노자 2010.04.18 1743
730 '고가 영상검사' 건강보험 수가 인하 추진 바우총각 2010.07.26 1999
729 '메디칼 한국' 명품브랜드로 띄운다! 노안부장 2009.02.27 198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8 Next
/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