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돈보다생명

근로빈곤층 세계 최고 수준

by 관리자 posted May 14, 200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근로빈곤층 세계 최고 수준
윤진호 교수 “빈곤문제 사회적·경제적 맥락에서 다뤄야”
한국의 ‘근로빈곤층’(전체 임금노동자 중위임금의 3분의 2 이하) 비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고임금계층으로 이동할 확률도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번 빈곤층은 영원한 빈곤층’이라는 얘기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결론이다.

윤진호 인하대 경제학부 교수는 지난 2일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주최로 개최된 토론회에서 이같은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윤 교수의 조사결과는 연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를 이용해 산출한 것이다.

윤 교수는 “빈곤상태가 지속될 경우 이혼, 질병, 범죄, 알콜·약물중독, 청소년 문제 등 각종 사회적·정치적 문제를 야기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며 “저임금·고용문제는 개인문제일 뿐 아니라 광범위한 사회적·경제적 맥락에서 취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윤진호 교수와 황선자 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정인섭 숭실대 교수가 발제자로 참석했고, 정이환 서울산업대 교수, 이병훈 중앙대 교수, 김승택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소장, 이기권 노동부 근로기준국장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3명 중 1명 저임금노동자=2007년 현재 우리나라 저임금 고용비중은 32.3%. 2000년 28%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중위임금의 50% 이하인 초저임금 노동자의 비중도 2000년 12.2%에서 2007년 16.3%로 증가했다. 외환위기 이후 한국경제가 급속하게 회복됐지만 그 성과가 공평하게 분배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임금노동자 비율은 13개 OECD회원국 중 가장 높다. 게다가 대부분의 국가에서 저임금 고용비중이 거의 안정 상태를 보인 반면 한국은 상승추세에 있다.

저임금노동자 중 여성·고령자·저학력·미조직 노동자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저임금 가운데 3분의 2는 여성노동자인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별로는 서비스업, 음식·숙박업, 도·소매업 등 저부가가치형 3차 산업에 집중돼 있다. 또 직종별로는 단순노무직과 서비스직에, 고용형태별로는 임시직·일용직 등 비정규직에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소득이동률 저조=소득이동률도 미미한 수준이다. 저임금계층(저임금+초저임금)에서 1년 후 고임금계층(고임금+상위중간임금계층)으로 전환할 확률은 5.7%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비경제활동인구로 18.2%, 하위중간임금계층으로 14.3%, 실업자로 3.3%가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번 저임금계층에 포함되면 소득이 높아질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결론이다.

OECD국가의 경우 약 20%만이 저임금 계층에 머물러 있고, 33.9%가 하위중간임금계층으로, 14.5%가 고임금계층으로 이동했다. 비경제활동인구·실업자·자영업자로 이동한 확률은 23.4%였다. 한국의 저임금계층 유지확률은 39.8%로 선진국의 두 배에 달했고, 고임금계층 이동확률도 절반에 못 미쳤다.

◇EITC 확대·최저임금 현실화=윤진호 교수는 “저임금고용 해소를 위해 무엇보다도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회서비스부문 일자리 창출, 혁신형 중소기업 설립과 지원, 고용서비스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근로장려세제(EITC) 확대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근로장려세제는 국가가 근로빈민에게 직접적으로 소득을 이전하는 제도로 올해 1월부터 시행됐다. 그러나 수혜요건이 엄격하고 대상범위가 협소할 뿐 아니라 급여수준이 낮아 제도의 실효성이 제한돼 있다. 따라서 수혜요건 완화와 대상 확대, 급여수준 상향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최저임금 현실화 △저임금노동자 고용안정과 근로조건 개선 △교육훈련 강화 △여성노동자들의 일과 양육 양립 지원 강화 등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매일노동뉴스> 2008년 5월 6일
 
?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 돈보다생명 "외과 수술실 간호사 역할 더 중요해져" 관리자 2009.06.05 2979
48 돈보다생명 "왜 재개발지역 서민들은 화염병을 들게 되나" 관리자 2009.01.30 388
47 돈보다생명 "오바마 보건의료개혁, 국내 의료제도에 영향" 노안부장 2009.02.23 286
46 돈보다생명 "영리의료법인, 과잉 진료로 의료비 상승" 노안부장 2009.03.20 364
45 돈보다생명 "영리병원 도입 저지, 한미FTA 비준 저지" 상경투쟁 관리자 2011.10.24 401
44 돈보다생명 "영남대병원이 찬물 끼얹어 첫 집중타격" 노안부장 2008.07.29 1079
43 돈보다생명 "언론법 날치기 상정·불법표결은 원천무효" 관리자 2009.07.24 493
42 돈보다생명 "어디에도 회색 버섯구름만 보이고" 팔레스타인에서 전하는 소식 노안부장 2009.01.07 366
41 돈보다생명 "쌍용공장 상공에 2급 발암물질 살포" 관리자 2009.08.04 1312
40 돈보다생명 "신경민 교체반대... 제작거부"... MBC 기자회 사상 첫 집단행동 관리자 2009.04.09 407
39 돈보다생명 "수가협상 못참겠다" 파업 등 강경론 고조 노안부장 2008.10.14 257
38 돈보다생명 "쇠고기 보관창고 노동자가 봉쇄" [레디앙] 노안부장 2008.05.27 1365
37 돈보다생명 "소금과 효소도 끊습니다 병원 후송도 응급조치도 거부합니다" 노안부장 2008.08.13 776
36 돈보다생명 "생산 않는 기생자본이 공황 불러" 노안부장 2008.10.17 656
35 돈보다생명 "삼성, 완벽한 의료 디지털 이뤄 나갈 터" 노안부장 2008.09.25 527
34 돈보다생명 "사회연대전략, 대정부 교섭 제안" 노안부장 2009.05.04 459
33 돈보다생명 "사립대병원, 흑자 재정…5년간 6600억 이익" 노안부장 2009.03.09 365
32 돈보다생명 "부끄럽고, 부끄럽고, 부끄럽다" 서울대 수의대 우희종 기고[프레시안] 노안부장 2008.05.26 1412
31 돈보다생명 "복지부, 국민건강 담보로 경제부처와 물밑거래" 노안부장 2009.04.09 318
30 돈보다생명 "보험업법 개정안, 영리병원 허용과 한 묶음" 노안부장 2009.03.20 384
Board Pagination Prev 1 ...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Next
/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