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enu

돈보다생명

극도의 혼돈으로 접어든 자본주의 세계체제

by 노안부장 posted Sep 22, 2008
?

Shortcut

PrevAnterior Documento

NextSiguiente Documento

Larger Font Smaller Font Arriba Abajo Go comment Imprimir
?

Shortcut

PrevAnterior Documento

NextSiguiente Documento

Larger Font Smaller Font Arriba Abajo Go comment Imprimir

극도의 혼돈으로 접어든 자본주의 세계체제

2008년: 신자유주의 세계화 종언

이매뉴얼 월러스틴 예일대 석좌교수(노동과세계)




서브프라임 사태와 투자은행 리먼브러더스와 베어스턴스의 파산에 이어 AIG구제금융 등으로 미국이 주도하는 신자유주의 기조 속 금융 자본주의가 파산위기에 처했다. 다음 글은 지난 2월 미국 예일대 이매뉴얼 월러스틴(Immanuel Wallerstein) 석좌교수가 발표한 '2008 신자유주의 세계화 종언(
원문보기 "2008:The Demise of Neoliberal Globalization") 글 전문이다. 그는 이글을 통해 신자유주의 종언과 범세계적 혼돈을 점쳤다. <편집자주>


신자유주의 세계화라는 이데올로기가 뜬 건 1980년대 초반부터였다.

스스로 새로운 발상인 양 떠벌렸지만, 사실 그건 근대 세계체제 역사에서 새로울 게 없었다. 오히려 매우 낡은 발상에 기초했다. 이에 따르면 정부, 아니 현존하는 모든 정부는 세계시장에서 자신의 오지랖 넓히기에 진력하는, 큰 덩치와 효율성을 겸비한 기업들한테 길을 내줘야 했다.

이 이데올로기가 지닌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았는데 첫째, 정부, 아니 모든 정부에선 기업법인들이 자신들이 생산한 상품과 자본으로 모든 변경을 자유로이 넘나들도록 해야 했다. 둘째, 이처럼 생산적인 기업법인들 소유 주체로서 정부가 떠맡던 역할은 어느 정부라 할 것 없이 부정돼야 하고, 모든 정부는 뭘 소유하고 있든 그것을 사유화해야 했다. 셋째, 자국 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정부, 아니 모든 정부의 사회복지 관련 이전지출은 아예 없앨 순 없어도 최소화해야 했다. 이 고색창연한 발상은 줄곧, 주기적으로 뜨고 지기를 반복해왔다.

1980년대 들어 이 발상은 지구상 대부분의 국가에서 통하던 구 케인즈주의와 사회주의, 또는 이 중 하나를 겨냥하며 제창됐다. 구 케인주주의/사회주의의 주요골자는 ① 개별 국민경제는 (국가와 사기업들을 접붙인) 혼합형이어야 하고 ② 각 정부는 관할권 내 시민들을 외국 소유의 준독점 기업법인들의 약탈로부터 보호해야 하며 ③ 정부는 보다 더 부유한 성원들과 법인체 기업에 대한 과세로 (특히 교육, 의료, 평생소득 보장 수준에서) 상대적으로 열악한 처지의 거주 성원들에게 여러 이득을 이전함으로써 기회균등을 꾀해야 한다는 것이다.

신자유주의 세계화란 이름의 프로그램에 햇볕이 든 건 2차 대전 종전 후~1970년대 무렵까지, 케인즈주의/사회주의적 관점을 주된 정책처방으로 대두시킨 미증유의 지구적 팽창 이후, 이윤창출 활력이 어느 곳 할 것 없이 잦아들면서부터였다.

추가이윤 창출이 예전만 못해지자 세계 곳곳에 자리한 대부분의 정부에서는 균형재정과 관련한 여러 문제와 맞닥뜨리게 되는데, 특히 남반구 지역들 이른바 사회주의권 국가들이 그랬다. (레이건과 대처가 수반인) 우파 행정부가 미국과 영국에서 출범하고, 여기에 IMF와 세계은행이라는 국제금융기구가 합세하면서 신자유주의 대반격은 닻을 올렸다. 그리고 이들의 연합으로 ‘워싱턴 컨센서스’라고 하는 기조가 탄생, 집행됐다. 이 같은 전 지구적 연합정책이 내건 슬로건은 대처 여사 작품으로써, TINA 또는 “대안 같은 건 없다”였다.

이 슬로건은 어느 정부가 됐든 자신들이 내놓은 정책적 권고사항들을 따라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앞으로 어려움에 처하더라도 더딘 성장과 국제적 지원 차단이란 대가를 치르리라는 점을 시사하고자 했다.

워싱턴 컨센서스는 모든 이들에게 거듭난 경제성장을 이끌어내겠노라고, 지구적으로 드리워 있던 이윤율 하락의 암운을 걷어내겠노라고 약속했다. 정치적으로,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지지자들은 크나큰 성공을 거뒀다. 각국 정부들은 (남반구 국가들을 시작으로, 사회주의권 국가들과 서방진영 강한 국가들로 이어지며) 차례차례 제반 산업을 사기업 화하고 교역을 앞세워 국경을 허무는 한편, 복지에 쓰이던 재정은 예전 수준으로 되돌려놨다.

사회주의적인 발상은 물론이고 심한 경우 케인즈주의적인 발상들마저 여론 불신을 피하기 힘들었고, 정치엘리트들은 이들 발상과 절연선을 그었다. 이로 인한 가장 극적인 결과로, 동중유럽 공산주의 정권들과 구 소비에트연방이 주저앉는 가운데, 명목상으론 여전히 사회주의 국가를 자처하는 중국의 시장친화적 정책 도입도 아울러 이뤄졌다.

이렇듯 엄청난 정치적 성공에 있어서 유일한 문제라면 그건, 이같은 일련의 상황이 경제적 성공과는 어울릴 수 없다는 데 있었다. 각 산업체들이 세계적으로 겪고 있던 이윤율 침체 상황은 전과 다를 게 없었다.

세계 어느 곳에서건 밀물 들이치듯 치솟는 주식시장 활황세는 산업 부문 이윤호조가 아니라 각종 투기적 금융(조작)기법에 기반해 있었다. 소득분배 쏠림 경향은 지구적으로나 한 국가적으로나 더욱 극심해졌다. 세계인구 중 상위 10%, 특히 1%에 해당하는 이들 소득은 크게 늘어난 반면, 나머지 인구 대다수 실질 소득은 줄어든다.

거리낄 것이라곤 없는, “특정한 시장이 내려주리라”는 온갖 은총에 대한 환멸이 고개를 들기 시작한 건 1990년대 중반 무렵이었다. 이런 흐름은 여러 진전들 속에서 가시화했다. 다수 국가가 사회복지에 좀 더 무게를 실음으로써 무엇보다도 노동운동과 농업노동자들 조직화 덕에 정부 차원의 여러 보호정책들이 다시금 힘을 받으면서, “또 다른 세계는 가능하다”는 슬로건을 내건 또 다른 세계화 운동이 전 지구적으로 성장하면서 말이다.

이러한 정치적 반응은 완만하지만 꾸준하게 성과를 거뒀다. 그러는 사이, 신자유주의 세계화 지지자들은 조지 W. 부시 정권과 함께 그간 가해온 압력을 기어이 고수하는 것만으로도 모자라 늘리기까지 했다.

부시 행정부는 (극부유층에 대한 대규모 감세조치로) 소득분배 쏠림을 한층 더 강화하는 동시에 (이라크 침공이 그랬듯이) 일방적인 마초형 군사주의에 기초한 외교정책을 구사했다. 이들 조치에 필요한 재원은 대규모 차용(즉, 채무)을 통해, 즉 재무성에서 발행한 장기채권을 세계 에너지 자원공급과 저가 생산설비 통제권을 가진 주체들한테 팔아 충당했다.

통계상으로만 보면 상황은 괜찮아 보였다. 보는 거라곤 그저 주식시장에서 명멸하는 각종 수치들이 다라면 말이다. 그러나 그것은 반드시 터지게 돼 있던, 그리고 지금 한창 터지는 중이기도 한, 거대한 신용 거품이었다.

이라크 침공의 경우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에 대해 이뤄진 군사 개입을 포함해) 군사적, 정치적으로 커다란 패착이었음이 드러나고 있다. 미국의 경제적 견실성에 대한 신뢰가 떨어진 결과, 달러 가치는 급격히 하락했다. 전세계 주식시장은 거품 붕괴로 닥쳐올 후폭풍 앞에서 전전긍긍하고 있다.

그렇다면 각국 정부와 소속 성원들이 이끌어낼 만한 정책적 결론으론 뭐가 있을까? 가까운 장래에 상정해볼만한 건 다음 네 가지일 듯싶다.

이매뉴얼 월러스틴
  • 이매뉴얼 월러스틴
  • 이매뉴얼 월러스틴
  • 사진더보기
먼저 미국 달러가 세계 준비통화로서 담당해오던 역할이 끝남에 따라, 미국 행정부와 미국 내 소비자들이 의존해왔던, 엄청난 채무에 기반한 정책노선은 더 이상 지속하기가 불가능해진다. 다음, 강도 높은 보호주의(정책기조)가 남반구와 북반구 가릴 것 없이 재부상하게 될 것이다. 세번째로, 실패한 기업체들을 국가가 접수하고 케인즈주의적 처방들을 내리는 양상이 반복될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사회복지적인 재분배에 주안점을 둔 여러 정책들의 재도입을 들 수 있겠다.

정치적 균형은 다시금 예전과 같은 양상을 띠고 있다. 앞으로 10년쯤 지나면, 신자유주의 세계화에 대해 사람들은 이렇게 쓸 것이다. 그것은 자본주의 세계경제의 역사에서 익히 보아온 주기적인 진동이었다고 말이다.

오히려 물음을 던져야 할 건 신자유주의 국면이 끝났는지 여부가 아니라, 그것의 종언을 이끄는 움직임들로, 과거에 그랬듯 세계체제 안의 상대적 균형 상태가 이뤄질 수 있겠는가 하는 점이다. 그러기엔 (역사적 자본주의가 입은) 손상이 너무나 큰 게 아닐까? 우린 지금, 세계경제가 맞닥뜨리게 될, 이에 따라 세계체제 전반에 닥쳐올 좀 더 난폭한 혼돈 속으로 접어든 게 아닐까.
  • 기사입력 : 2008-09-22 10:22:53
  • 최종편집 : 2008-09-22 11:03:19
?

  1. No Image

    의정부성모, 성장률 2059%…병원계 1위

    의정부성모, 성장률 2059%…병원계 1위 대림성모·계요·고대안산·순천성가롤로 등 성장률 상위 50개 병원 선정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이 우리나라 병원중 개원 이후 가장 가파른 성장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고려대학교 의대부속 안산병원과 순천성가...
    Date2008.09.25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447
    Read More
  2. 마지막 산별 미타결특성 대한적십자본부지부 잠정합의

    마지막 산별 미타결특성 대한적십자본부지부 잠정합의 9월 말까지 산별현장교섭 집중 전개…현재 63개 지부 잠정합의 선전국 조회수: 84 / 추천: 0 현재 산별현장교섭이 집중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산별중앙교섭 마지막 미타결특성인 대한적십자본부지부...
    Date2008.09.25 Category지부소식 By노안부장 Views1307
    Read More
  3. No Image

    강남성모병원 비정규직 노동자 천막농성장, 사측 세 번째 침탈

    강남성모병원 비정규직 노동자 천막농성장, 사측 세 번째 침탈 보건의료노조, ‘불법부당노동행위 중단, 철거된 천막 원상복귀’ 촉구 선전국 조회수: 203 / 추천: 0 지난 9월 17일 1차 천막 철거 모습 ⓒ 보건의료노조 서울지역본부 ⓒ 보건의료노조 서울지역본부...
    Date2008.09.25 Category지부소식 By노안부장 Views867
    Read More
  4. No Image

    메디파트너, 의료서비스 산업화 세미나

    메디파트너, 의료서비스 산업화 세미나 출자개방형병원의 전망 등 산업화서 가능성 모색 메디파트너가 내달 26일 오후 1시부터 코엑스 그랜드컨퍼런스룸에서 '의료서비스 산업화에 대한 기회포착 세미나'를 연다. 로아큐탄 국내 발매 20주년 기념 온라인 심포...
    Date2008.09.23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439
    Read More
  5. No Image

    영리병원 허용등 의료산업화 박차

    영리병원 허용등 의료산업화 박차 신성장동력 22개 확정…헬스케어·바이오신약 포함 정부, 5년간 99조 투자…88만개 일자리 '헬스케어' 사업 발전을 위해 영리병원 허용 등 앞으로 한국 경제의 재도약을 주도할 '신(新)성장동력 22개 사업이 최종 선정됐다. 정부...
    Date2008.09.23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383
    Read More
  6. No Image

    전국 병상 32% 수도권에 밀집

    전국 병상 32% 수도권에 밀집 병원은 '경기도', 병상 수는 '서울' 최다…"경기지역 병원 급증" 등록 : 2008-09-22 07:15 국내 병원이 성장하기 시작한 지난 1980년도부터 2007년까지 병원은 약 5배, 병상 수는 약 8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세대학교 ...
    Date2008.09.23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485
    Read More
  7. 중국산 과자·빵, 발암물질 검출

    중국산 과자·빵, 발암물질 검출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사이클라메이트’와 ‘니트로퓨란’ 발견 이성호 기자 lee@medifonews.com 등록일: 2008-09-22 오전 10:08:15 최근 중국에서 멜라민 성분이 포함된 분유제품으로 인해 영·유아가 사망하는 등 세계적인 논란...
    Date2008.09.23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673
    Read More
  8. No Image

    극도의 혼돈으로 접어든 자본주의 세계체제

    극도의 혼돈으로 접어든 자본주의 세계체제 2008년: 신자유주의 세계화 종언 이매뉴얼 월러스틴 예일대 석좌교수(노동과세계) 서브프라임 사태와 투자은행 리먼브러더스와 베어스턴스의 파산에 이어 AIG구제금융 등으로 미국이 주도하는 신자유주의 기조 속 금...
    Date2008.09.2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516
    Read More
  9. No Image

    "보건 산별교섭 최대 걸림돌, 사용자대표 자격문제"

    "보건 산별교섭 최대 걸림돌, 사용자대표 자격문제" 은수미 한구노동연구원 연구위원 '2008년 보건의료 산별교섭 평가와 전망' 자료사진=정기훈 기자 올해 보건의료 노사가 산별교섭에 어려움을 겪은 주요 원인이 교섭대표 자격문제로 비화된 사용자측의 변화...
    Date2008.09.2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429
    Read More
  10. No Image

    시장 '신'의 자리에서 내려오다 -미국 금융위기를 바라보는 시선

    시장 '신'의 자리에서 내려오다 '가디언', 미국 금융위기 보는 정치인-영화감독 등 좌파 시각 소개 미국발 금융위기에 세계 경제가 긴장을 하고 있는 가운데 많은 전문가들이 이 현상에 대한 배경과 의미 전망을 설명하기에 바쁘다. "드디어 무너진다" ▲ 17일...
    Date2008.09.2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796
    Read More
  11. No Image

    MB 경제위기 대처, 조선·중앙도 걱정

    MB 경제위기 대처, 조선·중앙도 걱정 [아침신문솎아보기] 중앙일보 여론조사 대통령 지지도 25.4% 미국 재무부가 주택담보부증권(MBS)을 포함한 주택·상업 모기지 관련 부실자산을 최대 7000억 달러(약795조 원)까지 매입할 수 있는 권한을 재무부가 가질 수 ...
    Date2008.09.2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719
    Read More
  12. No Image

    노동자 엄마'에게 희망 배우는 사회를

    노동자 엄마'에게 희망 배우는 사회를 [9.23 선언] 청계광장서 '비정규직 없는 세상 만들기' 함께 파업 400일을 넘기면서부터는 날짜를 세는 것도, 투쟁조끼를 입은 우리를 이상하게 쳐다보는 사람들을 의식하는 것도, 눈물을 흘리는 것도 사치스럽게만 느껴...
    Date2008.09.2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375
    Read More
  13. No Image

    씁쓸한 ‘건보 흑자’…경기 불황에 병원진료 줄어

    씁쓸한 ‘건보 흑자’…경기 불황에 병원진료 줄어 입력: 2008년 09월 21일 17:55:28 건강보험재정의 누적 흑자가 지난달 기준으로 2조4000억원을 넘어섰다. 누적 흑자폭이 2조원을 넘어선 것은 지난 1999년 이후 9년 만이다. 올해 1월 흑자규모가 9000억원이었으...
    Date2008.09.2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478
    Read More
  14. No Image

    서비스산업 선진화 2단계 방안 주요 내용 요약

    서비스산업 선진화 주요 내용 요약 정부는 18일 성장동력 확충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2단계 서비스산업 선진화 방안을 발표했다. “경제가 서비스화 되면서 서비스산업이 성장과 고용을 견인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성장을 제약하고 있다.”며 “선진국들은...
    Date2008.09.2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720
    Read More
  15. No Image

    중대의료원, 성과급 급여제 도입 파장 클 듯

    중대의료원, 성과급 급여제 도입 파장 클 듯 대학교수들, "평가지표 마련없이 시행안돼"...2010년 실시   중앙대의료원에도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성과급형 연봉제' 도입 추진이 대학교수진들의 반발로 시기가 늦어지게 됐다. 이에 따라 보수적인 의료계...
    Date2008.09.2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544
    Read More
  16. No Image

    정부의 '엉뚱한' 간호 인력난 대책- 3개월 미만 계약직 간호사 활용??

    정부의 '엉뚱한' 간호 인력난 대책 간호사 구하기도 어려운데 3개월 미만 계약직 활용 제시   정부가 간호인력 정책에서 현실과 동떨어진 판단을 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는 국회 서면답변서에서 간호인력난 극복을 3개월 미만 계약직 ...
    Date2008.09.2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737
    Read More
  17. No Image

    "일반인 병원 개설 허용, 우회적 의료민영화"

    시민단체들도 우려 표시…"법 개정 추진시 적극 대응" 일반인의 병원 개설을 허용하는 의료서비스 선진화 방안과 관련, 시민단체들은 "영리병원의 다른 형태에 불과하다"며 적극적인 대응의지를 밝혔다. 로아큐탄 국내 발매 20주년 기념 온라인 심포지엄 * 관...
    Date2008.09.2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475
    Read More
  18. No Image

    해외환자 유치 '가속 페달' 고대의료원

    해외환자 유치 '가속 페달' 고대의료원 전담 TF팀 구성 등 전년대비 증가…오동주 원장, 美교우회 등 방문 고대의료원(원장 오동주)이 미국교포 및 외국인 환자를 유치하기 위해 팔소매를 걷어 부치고 나섰다. 최근 고대의료원은 미국교포를 포함한 외국인 환...
    Date2008.09.2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599
    Read More
  19. 9월 말까지 산별현장교섭 집중 전개

    9월 말까지 산별현장교섭 집중 전개 사용자측에 10월 1일 산별중앙교섭 조인식 참가 요청 및 조속한 산별현장교섭 타결을 위한 집중교섭 촉 선전국 조회수: 65 / 추천: 0 2008년 산별중앙교섭이 노사간 많은 쟁점과 이견으로 가장 긴 시간동안 교섭과 투쟁을 ...
    Date2008.09.19 Category지부소식 By노안부장 Views1051
    Read More
  20. “강남성모병원은 비정규직 노동자의 고용을 보장하라!”

    “강남성모병원은 비정규직 노동자의 고용을 보장하라!” 강남성모병원 비정규직 노동자 17일 천막농성 돌입…용역깡패 몰려와 천막농성장 강제 철거 아수라장 선전국 조회수: 147 / 추천: 0 ‘계약해지’ 통보를 받은 강남성모병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9월 17일 ...
    Date2008.09.19 Category지부소식 By노안부장 Views83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 155 Next
/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