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돈보다생명

서울 대형병원들 '지역구→전국구→글로벌'

by 노안부장 posted Oct 02, 200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기획 下]서울 대형병원들 '지역구→전국구→글로벌'
규모 확장 통한 경쟁 가열…의료수준 향상 & 집중화 부작용 노출
서울 소재 대형병원들의 양극화에 대한 문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이들 병원은 저마다 중·장기적 비전을 세우고 ‘전국구 병원’으로 발돋움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나아가 이미 전국구 병원으로서 자리를 굳힌 소위 ‘빅5’ 병원들은 향후 ‘동북아 중심의 의료허브’ 등의 비전으로 세계화, 글로벌 스탠다드 구현을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미 전국적으로 상당수 충성 환자를 확보하고 있는 삼성서울병원과 강남성모병원 등은 암센터 개원, 병상수 확충과 함께 세계화를 추진 중이다.

지방 환자가 전체의 60%에 육박하고 있는 삼성서울병원은 ‘Vison 2010'을 세우고 ‘아시아의 대표병원’으로 발전하겠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삼성서울병원 최한용 원장은 “삼성암센터 오픈으로 삼성은 2000병상 시대를 열어 진료의 질은 물론 규모 면에서도 세계적인 수준의 위용을 갖춘 아시아 허브 의료기관으로 인정받고 있다”고 말했다.

향후 ‘전국구 병원’을 유지하는 것은 물론 진료, 연구, 교육의 조화로운 성장 발전을 도모해 아시아 지역을 선도하는 글로벌 초일류 병원으로 전진하겠다는 의지다.

2009년 새 병원 개원을 앞두고 있는 가톨릭의료원 또한 전 세계 가톨릭 의료기관과 의료 네트워크 구축으로 세계적인 가톨릭 의료브랜드를 만들겠다는 ‘Vison 2020'을 수립했다.

가속화되고 있는 경쟁 구도 속에서 세계 굴지의 의료 네트워크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외부 환경 변화에 발 빠른 대응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에서다.

이들 병원은 글로벌 스탠다스 실현을 위해서는 최첨단 시스템, 의료진 및 병상수 확충 등은 물론 내부적인 ‘의식 혁신’이 중요하다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대학병원들, 전국구 병원 ‘따라 잡아라’

환자의 지역 구분이 없는 이들 병원들의 움직임은 타 대학병원들의 비전 및 계획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서울 소재 대형병원들은 전국구 병원을 모델로 ‘빅5’에 진입, 세계화를 꿈꾸겠다는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지역구 중심의 충성 환자를 확보, 이를 토대로 점진적인 발전을 꾀해야 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이는 암이나 심장병 등 난치성질환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해 갈수록 높이지는 환자들의 기대치를 충족시켜야 한다는 것.

건국대병원 유광하 대외협력실장은 “2015년 빅5 진입을 위해서는 우수한 시스템을 구축, 이를 백업할 수 있도록 이제는 학술적인 무게를 실어야 한다”며 “중랑구, 성동구 지역에서도 충성환자를 확보한 후 전국구 병원으로서 점진적인 발전을 꾀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고대의료원 오동주 의료원장 또한 “고대의료원은 환자 모두가 신뢰하는 의료기관”이라면서 “의학교육기관과 의학발전을 선도하는 연구기관을 실현해 ‘동북아시대, 최고의 의료원’으로 도약하겠다”고 피력했다.

경희의료원의 발전전략은 향후 5년 안에 최고의 의료서비스와 전문-특성화로 한국을 대표하는 의료기관으로 발돋움하는 것이다. 한국을 대표하고, 국제경쟁력 1위, 전문-특성화된 의료기관을 구축, 향후 10년 안에는 신의학의 메카인 경희의료원으로 발돋움하겠다는 의미이다.

지역 밀착형 병원들의 전국구화 바람직한가?

각 대학병원들이 전국구 병원을 표방하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 변화하는 국내 의료 환경에서 도태되지 않겠다는 의지의 피력이라는 전언이다.

대형병원의 공룡화로 인해 국내 의료계의 양극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일각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각 대학병원들이 끊임없이 최첨단 시스템을 도입, 병상수를 확충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 관계자는 “대형병원들이 지역내 확고한 위치를 기반으로 국내를 넘어 세계로 향한다는 비전이 결코 나쁜 것만은 아닐 것”이라며 “무분별한 경쟁에 따른 국내 의료체계를 훼손하지 않는다면 환자들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지역 중심의 병원이 제 나름의 역할을 해줘야 각 기관별 진료 체계가 정상화 될 수 있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들의 무분별한 빅5 따라잡기는 특정 지역으로의 환자 쏠림 및 지방 환자들의 서울행을 야기한다는 것. 아울러 지역 중소병원 및 개원의, 지방 병원들을 어려움에 빠뜨리고 있는 지적이다.

한 개원의는 “과거에는 3차 의료기관은 경증환자를 진료협약 관계의 중소병원 및 개원의들에게 전원시켰다”며 “하지만 이들 병원들이 점차 몸집을 불리면서 규모를 유지하기 위해 1, 2차기관 역할까지 관장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적절한 지역 중심 병원의 역할은 대형병원의 대기시간을 줄이고 3차기관 본연의 연구 역할을 확대, 장기적으로 국내 의료의 서비스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학병원들은 전국구 표방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국내 의료계에서 지역 중심 병원으로의 안주는 곧 도태를 의미한다는 입장이다. 국내 대형병원들은 전국구 병원으로의 도약, 나아가 세계화를 실현하기 위해 서울에 이어 경기도까지 몸집을 불리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노력들이 실제 의료기관의 비전 및 계획의 현실화로 연결될 수 있을지, 이들의 움직임에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신의연·백성주기자 (webmaster@dailymedi.com)  
?

  1. No Image

    NMC특수법인화… 전문질환센터 권역별로 설치

    NMC특수법인화… 전문질환센터 권역별로 설치 복지부, 올해부터 시행할 ‘공공보건의료 청사진’ 제시 이성호 기자 lee@medifonews.com 등록일: 2008-10-10 오전 5:43:01 보건복지가족부가 공공보건의료 기능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먼저 국립의료원을 가...
    Date2008.10.10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363
    Read More
  2. No Image

    삼성, 협진 건수 급증…이름값 '톡톡'

    삼성, 협진 건수 급증…이름값 '톡톡' 전년 대비 7만1799건.7.1% 상승, 안정 궤도 진입 국내 대학병원 중 비교적 이상적인 협진 시스템을 구축한 곳으로 알려져 있는 삼성서울병원. 실제 진료과별 협진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삼성의료원(...
    Date2008.10.10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476
    Read More
  3. No Image

    "우리에게 좋은 일자리를"

    "우리에게 좋은 일자리를" 전 세계 311개 노총 공동행동…양대노총도 기자회견, 집회 열어 선전국 조회수: 23 / 추천: 0 © 노동과세계 이기태 기자 © 노동과세계 이기태 기자 세계적으로 노동유연화가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전세계 노동자들이 좋은 일자리를 ...
    Date2008.10.10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398
    Read More
  4. “방송중단 ‘돌발영상’ 살려내라” YTN 시청자 게시판 뜨겁다

    “방송중단 ‘돌발영상’ 살려내라” YTN 시청자 게시판 뜨겁다 입력: 2008년 10월 09일 14:21:16 “‘돌발영상’ 보게 구본홍 사장은 물러나라.” 9일 YTN의 시청자 게시판은 뜨겁다. 사측의 노조원 6명 해고로 YTN 간판 프로그램인 ‘돌발영상’이 이날부터 방송되지 ...
    Date2008.10.09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785
    Read More
  5. No Image

    강남성모병원은 비정규악법과 폭력을 앞세우지 말고 대화에 나서라”

    강남성모병원은 비정규악법과 폭력을 앞세우지 말고 대화에 나서라” [현장] 강남성모병원 비정규직 투쟁 승리를 위한 지원대책위원회 기자회견 개최 강남성모병원 간호부에서 근무해 온 파견노동자 65명 중 28명이 9월 30일부로 계약해지 된 가운데, 강남성모...
    Date2008.10.07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532
    Read More
  6. No Image

    서울성모병원 "응급실 스트레스 끝" 자신감

    서울성모병원 "응급실 스트레스 끝" 자신감 7개 진료구역에 24시간 응급의학전문의 상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응급센터[사진]를 방문하는 환자는 중증도와 질환별로 나뉜 진료구역에서 보다 신속하고 질 높은 진료를 받게 될 전망이다. 6일 응급센터 관...
    Date2008.10.07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7244
    Read More
  7. No Image

    이대 동대문병원, 역사의 뒤안길로 '굿바이'

    이대 동대문병원, 역사의 뒤안길로 '굿바이' 이화의료원 공식 발표, 폐업신고 절차…서울시와 협상 진전 환갑이 넘은 병원계의 산 증인으로 명맥을 유지해 왔던 이대동대문병원이 매각을 위한 막바지 과정에 접어든 것으로 파악된 가운데 서울시와 최종 합의를...
    Date2008.10.07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937
    Read More
  8. No Image

    멜라민 파동 속 의료계 민감 사안도 제기[복지위 국감]

    멜라민 파동 속 의료계 민감 사안도 제기 18대 국회 첫 복지위 국감, 약물 오남용·의료인력 등 질의 쏟아져 6일 진행된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의 보건복지가족부 첫 국정감사는 언론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멜라민 사태와 함께 장애인 및 복지 분야 보...
    Date2008.10.07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545
    Read More
  9. '어떻게 하면 저것들을 쫓아낼까?' 그 생각만 하고있다

    '어떻게 하면 저것들을 쫓아낼까?' 그 생각만 하고있다 [현장] 매 순간이 위험한 강남 성모병원 농성장 박병학 / 2008년10월04일 10시09분 10월 2일 오전 8시에 강남 성모병원 비정규직 조합원들이 농성을 벌이고 있는 병원 로비가 침탈당했다고 했다. 일을 ...
    Date2008.10.06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627
    Read More
  10. No Image

    대규모 감세정책 펼치더니, 역시 복지예산에서...

    대규모 감세정책 펼치더니, 역시 복지예산에서... "복지에산, 08년 대비 1.4% 감소, 빈곤취약계층 예산안 4677억원 감소" 감세정책에 따른 재정지출 감소로 우려됐던 복지예산 축소가 현실로 나타났다. 백원우 민주당 의원(보건복지가족위원회)은 09년도 보건...
    Date2008.10.06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308
    Read More
  11. No Image

    보건복지 분야 '노동조힙협의회' 공식 출범

    보건복지 분야 '노조협의회' 공식 출범 보건노조·사회보험지부·연세의료원 노조 등 참여…현안 공동 대응 등록 : 2008-10-02 12:26 보건복지 분야 '노조협의회' 공식 출범 보건노조·사회보험지부·연세의료원 노조 등 참여…현안 공동 대응 등록 : 2008-10-02 12...
    Date2008.10.0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373
    Read More
  12. No Image

    의료법 일부개정안’에 초미의 관심

    ‘의료법 일부개정안’에 초미의 관심 10월 국회 제출예정…입법예고 기간 3700여건 쏟아져 이성호 기자 lee@medifonews.com 등록일: 2008-10-02 오전 5:11:00 정부입법으로 10월에 국회 제출예정인 ‘의료법 일부개정안’.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수석전문위원...
    Date2008.10.0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345
    Read More
  13. No Image

    서울 대형병원들 '지역구→전국구→글로벌'

    [기획 下]서울 대형병원들 '지역구→전국구→글로벌' 규모 확장 통한 경쟁 가열…의료수준 향상 & 집중화 부작용 노출 서울 소재 대형병원들의 양극화에 대한 문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이들 병원은 저마다 중·장기적 비전을 세우고 ‘전국구 병원’으로 ...
    Date2008.10.0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519
    Read More
  14. No Image

    강남성모병원 파견직 노동자 28명 결국 ‘해고’

    강남성모병원 파견직 노동자 28명 결국 ‘해고’ 선전국 조회수: 28 / 추천: 0 ⓒ 민중의소리 신용철 기자 강남성모병원 간호부에서 근무해온 비정규 노동자 65명 중 28명이 30일부로 계약해지 됐다. 나머지 37명도 고용계약이 종료되는 시점에 자동으로 계약해지...
    Date2008.10.01 Category지부소식 By노안부장 Views1122
    Read More
  15. 부족한 의료인력 수급 국회도 '난제'

    부족한 의료인력 수급 국회도 '난제' 변웅전 국회보건복지위원장+병원협회, '긴급정책토론회' 개최   ▲'의료인력 수급대책, 이대로 좋은가' 토론회장전문과목별 전문의와 수급불균형이 지속되면서 전문의 및 간호사 등 의료 인력의 효율적인 수급방안에 대한...
    Date2008.10.01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506
    Read More
  16. No Image

    최영희 “식약관 中추가파견, 靑 반대로 무산"

    최영희 “식약관 中추가파견, 靑 반대로 무산" 입력: 2008년 09월 30일 11:47:11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쥐머리 새우깡’ 파동 이후 중국에 식약관을 추가로 파견, 현지 조사와 식품정보 수집을 강화하려는 계획을 보고했으나 청와대의 재검토 지시로 무산됐다는 ...
    Date2008.09.30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436
    Read More
  17. No Image

    등록금 850만원 대학생 K씨의 대학생활

    등록금 850만원 대학생 K씨의 대학생활 임세환 기자 K씨는 한 학기에 등록금 850만원을 내야 하는 서울 모 사립대학의 대학생이다. 부담이 크지만 요즘 사립대학 등록금이 800만원을 훌쩍 넘는 것은 예삿일이다. 이화여대 등록금은 879만원, 숙명여대 862만원...
    Date2008.09.29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575
    Read More
  18. No Image

    멜라민, 제2,3의 광우병 사태

    멜라민, 제2,3의 광우병 사태 [칼럼] “인격화된 자본”의 탐욕의 끝은 어디인가? 손미아(강원대) / 2008년09월29일 0시18분 광우병에 이어 멜라민이 우리를 또 한 번 공포와 전율로 몰아넣고 있다. 멜라민 사건은 마치 우리에게 제2, 제3의 광우병이 계속하여 ...
    Date2008.09.29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344
    Read More
  19. '클린' 산업 뒤에 죽어가는 노동자들

    '클린' 산업 뒤에 죽어가는 노동자들 아시아, '전자산업' 노동자의 건강에 주목한다 변정필 기자 bipana@jinbo.net / 2008년09월28일 0시56분 '클린(clean) 산업'이라고 알려진 IT, 전자 산업은 과연 '클린'하고 안전할까? 아시아 노동자들이 질문을 던지기 ...
    Date2008.09.29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567
    Read More
  20. No Image

    복수노조·전임자임금 노사정 논의 ‘임박’

    복수노조·전임자임금 노사정 논의 ‘임박’ 10월 초 시작될 듯, 한국노총 조만간 입장 노사정위에 전달 매일노동뉴스 신현경 기자 노사정이 다음달 초부터 '복수노조·전임자 임금 문제'를 대화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노사정은 지난 2006년에 '복수노조 허용·...
    Date2008.09.29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35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 155 Next
/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