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돈보다생명

'미네르바' 후폭풍 경계하는 <조선>ㆍ<중앙>

by 노안부장 posted Jan 13,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미네르바' 후폭풍 경계하는 <조선>ㆍ<중앙>

[김종배의 it] 사이버모욕죄와 미디어법의 공통분모는 '여론통제'

기사입력 2009-01-12 오전 9:03:27

이상하다. 반길 줄 알았는데 경계한다. '미네르바' 구속을 놓고 '조선일보'와 '중앙일보'가 노란불을 깜박거린다.

'조선일보'가 그랬다. "'미네르바' 구속의 떡고물 챙기려는 무리들"을 비판했다. "여기에서 어떻게 정치적 이득이나 챙길까 두리번거리는 한 제2, 제3의 가짜들이 이 사회를 다시 한 번 크게 어지럽힐 것"이라고 했다.

'중앙일보'가 그랬다. "미네르바 소동, 정치 쟁점화 대상 아니다"라고 힐난했다. "야권에서 사태를 과도하게 부풀려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번지수를 잘못 짚은 행태"라고 했다.

▲ ⓒ뉴시스

뭘 경계하는 걸까? '미네르바' 처벌은 당연하다고 앞장서 평가한 마당에 뭘 우려하는 걸까?

다른 데를 보면 안다.

'동아일보'가 주장했다. "철부지 누리꾼들의 행위는 역설적으로 사이버 모욕죄 도입의 정당성을 뒷받침해줄 뿐"이라고 했다. 한나라당 제1정책조정위원장인 장윤석 의원이 말했다. "미네르바 수사는 사이버 공간에 대한 법적 규제 도입에 도움이 되는 면이 있다"고 했다.

바로 이거다. 사이버 모욕죄 도입에 미칠 영향이다.

'동아일보'와 한나라당은 '미네르바' 구속이 사이버 모욕죄 도입에 주단을 깔 것이라고 보는 반면에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정반대로 본다. '미네르바' 구속이 사이버 모욕죄 논란을 키울 가능성을 우려한다. 그런 논란이 "사회를 다시 한 번 크게 어지럽힐" 가능성을, 그렇게 해서 야권이 "떡고물" "정치적 이득"을 챙기는 상황을 경계한다.

여론이 호의적이라면 '동아일보'와 한나라당의 '희망'이 맞을 것이다. 여론이 '미네르바' 구속을 당연한 사법조치로 받아들인다면 사이버 모욕죄 도입까지 밀어붙일 힘이 생길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가 않다. 여론이 나쁘다. '미네르바' 구속을 놓고 보수진영 내에서조차 이견이 나온다. 한 개인의 의견 때문에 대외신인도가 출렁이는 국가라면 그게 정상적인 국가냐고 반문한다. 인터넷 글은 모두 자신이 쓴 것이라고 인정한 사람이 도주를 하겠느냐고 되묻는다.

이런 여론 지형 안에서 새로운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상징이 변하고 있다. 사이버 모욕죄의 정당성을 상징하던 악플이 퇴조하고 사이버 모욕죄의 부당성을 상징하는 표현의 자유 문제가 부상하고 있다. 조직화되고 있다. '미네르바' 구속을 전후해 사이버 모욕죄 반대 목소리가 행동으로 전이되고 있다.

이런 흐름이 강화된다면 흔들린다. 사이버 모욕죄 진군로에 바리케이드가 쳐지고 'MB입법'이 흔들린다.

그나마 다행이다. 비판 여론이 사이버 모욕죄에만 맞춰진다면 어떻게 해볼 수 있다. 여차하면 법안 처리를 뒤로 미룬 채 적당한 때를 기다리면 된다.

헌데 그럴 것 같지가 않다. 2월 임시국회의 최대 쟁점인 미디어 관련법으로까지 불똥이 튈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다.

본질이 같다. 미디어 관련법 논란의 핵심은 여론 독과점이다. 사이버 모욕죄 논란의 핵심은 여론 통제다. 미디어 관련법과 '미네르바' 모두 여론 길들이기, 또는 입 틀어막기라는 큰 화두 위에 놓여있다.

결합할 게 뻔하다. 미디어 관련법과 사이버 모욕죄가 하나의 패키지로 묶일 게 자명하다. 표현(언론)의 자유에 속하는 '민주'의 문제로 성격 규정될 게 분명하다.

이러면 배수진을 칠 수밖에 없다. 야당으로선 정치 쟁점화하지 않을 수 없고 2월 임시국회는 어지럽지 않을 수 없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바로 이런 상황을 경계한다. '미네르바' 구속이 2월 임시국회를 경직되게 만들까 우려한다.

하지만 부질없다. 화살은 이미 시위를 떠났다. 검찰의 수사로, 법원의 구속영장 발부로 불은 이미 지펴졌다.

* 이 글은 뉴스블로그
'미디어토씨(www.mediatossi.com)'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김종배 시사평론가

?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09 돈보다생명 '당연지정제에 대한 의사협회의 입장'입니다. 노안부장 2008.05.26 1015
3008 돈보다생명 '독재타도 민주쟁취'..그날의 함성 되살아난다 관리자 2009.06.03 386
3007 돈보다생명 '미국 때리기'에 '암울한 전망' 뒤덮은 다보스포럼 관리자 2009.01.29 309
3006 지부소식 '미국산 쇠고기 반대 청계광장 촛불문화제' 4만여명 참여 노안부장 2008.05.10 2303
» 돈보다생명 '미네르바' 후폭풍 경계하는 <조선>ㆍ<중앙> 노안부장 2009.01.13 259
3004 돈보다생명 '반MB' 도화선 차단 의도, 초헌법 무리수 관리자 2009.05.22 332
3003 돈보다생명 '병원은 번창하고 직원들은 죽어나고' 관리자 2009.04.28 791
3002 돈보다생명 '보건의료시스템 전반적 재평가' 필요 노안부장 2008.09.05 673
3001 돈보다생명 '비정규직 70만 해고대란'의 진실은? 관리자 2009.06.18 405
3000 돈보다생명 '삼성의료그룹' 출범…의료산업 파장 촉각 노안부장 2008.08.04 899
2999 돈보다생명 '새 주택보급률'이 수상하다…주거현실 반영 정확한 통계 필요 노안부장 2009.01.08 260
2998 돈보다생명 '석면약'에 묻혀 버린 '석면화장품' 관리자 2009.04.10 824
2997 돈보다생명 '신종플루'에도 양극화의 비극이 관리자 2009.09.21 1226
2996 돈보다생명 '어떻게 하면 저것들을 쫓아낼까?' 그 생각만 하고있다 노안부장 2008.10.06 627
2995 돈보다생명 '영리병원 도입' 의료계 내부도 찬반 팽팽 노안부장 2009.04.28 381
2994 돈보다생명 '올림픽 특수' 끝났다, MB 지지율 9%p폭락 노안부장 2008.09.04 847
2993 돈보다생명 '의료산업화 방향' 주제 토론 개최 관리자 2009.04.10 534
2992 돈보다생명 '의료산업화와 일자리 창출' 토론회 노안부장 2009.03.30 261
2991 돈보다생명 '의료인력 불균형 해소법' 추진 노안부장 2008.12.17 271
2990 돈보다생명 '의료채권', 중소병원을 살릴까? 죽일까? 노안부장 2009.02.23 27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5 Next
/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