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01.216.99) 조회 수 184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누리꾼들, 기업에 항의전화... <한겨레> <경향>엔 후원, 의견 광고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에 광고를 싣는 기업들에 누리꾼들의 항의전화가 빗발치고 있다. 몇몇 기업들은 공식 사과를 하고, "앞으로 조중동에 광고를 싣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반면, <한겨레>, <경향> 등에는 시민들의 자발적인 광고가 쇄도하고 있다. 1면에 기업광고를 싣기가 어려울 정도다.

 

오늘(31일)자 조중동 1면에는 부동산 광고가 실렸고, 어제(30일)는 외식업체인 신선설농탕의 광고가 실렸다. 이후 이들 기업들은 많은 항의 전화를 받았고, 신선설농탕은 공식 사과를 하기에 이르렀다.

 

신선설농탕은 30일 홈페이지에 안내문을 띄우고 "고객님들의 정서에 부응해 드리지 못했던 점을 죄송스럽게 생각한다"며 조중동 1면에 광고를 한 것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

 

이 회사 마케팅 팀장은 <오마이뉴스>와의 전화 통화에서 "신제품 출시에 맞춰 5월 초에 광고 대행사를 통해 30일 조중동과 <한겨레>, <경향> 등 5대 일간지에 광고를 실으려 했는데, <한겨레>, <경향>엔 광고가 밀려 6월 2일 싣기로 했다"며 "이렇게 많은 항의전화가 올지 몰랐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앞으로 조중동에 광고를 싣기는 힘들 것 같다"며 "국민과 실망했다고 하는 고객들에게 죄송하다"며 다시 한 번 고개를 숙였다. 그는 또한 "요새는 <한겨레>와 <경향>의 1면 광고비용은 조중동과 거의 맞먹는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같은 날 조중동에 광고를 실은 농협목우촌 역시 시민들의 항의 전화를 받고 즉각 사과했다. 이 회사는 회사 홈페이지를 통해 "신문 광고로 고객님들께 심려를 끼쳐드려 죄송하다"며 "금일 이후 광고에는 신중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다음 아고라 등에는 연일 '조중동을 폐간시키자'는 누리꾼들의 글이 올라오고 있다. 누리꾼들은 조중동에 광고를 실은 기업들에 항의전화를 하자고 유도하고 있다.

 

반면, <한겨레>, <경향>에는 시민들의 자발적인 후원 또는 의견 광고가 이어지고 있다. 오늘도 마찬가지다.

 

오늘 <한겨레> 1면에는 "대한민국은 주식회사가 아니라 민주공화국"이라는 제목의 광고가 실렸다. 정직한 언론을 지지한다는 인터넷 사이트 마이클럽 회원들이 자발적으로 모금을 해서 광고를 낸 것이다.

 

이들은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에게서 나온다"는 헌법 1조를 인용하며 "대한민국 주권과 권력의 주인으로서 광우병 쇠고기 수입 전면 백지화와 함께 한반도 대운하 건설, 건강보험 민영화와 당연지정제 폐지, 전기 수도 가스 등 공기업 민영화, 언론통제 등을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경향> 1면에는 "삶이 곧 희망일 수 있는 사회를 기원한다"라는 한신대 졸업생들의 광고가 실렸다. 이들은 "정부는 또 다시 우리를 거리투쟁에 나서게 하는가?"라며 "경찰의 폭력진압을 온몸으로 거부한다"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광고를 통해 "대다수 국민들의 생명과 건강 그리고 생활을 담보로 하는 상위 1% 부자만을 살리고자 하는 각종 정책을 강행하고 있는 이명박 대통령은 이 땅 고달픈 서민의 삶을 더욱 힘들게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국민들의 저항과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정책이 계속 진행된다면 80, 90년대 민주주의를 지켜내기 위해 거리에 나섰던 우리는 다시 이렇게 '국민생명 위협하고 서민살림 파탄내는 독재정권 타도하자'라고 외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한겨레> 광고국 관계자는 "시민들의 후원, 의견 광고가 많이 들어온다, 이들의 광고를 주요하게 배치하려고 노력한다"고 말했다.

 

김유진 민주시민언론연합 사무처장은 "시민들이 조중동에 광고를 낸 기업의 상품까지 불매운동을 하겠다고 나선 것은 소비자인 시민들이 할 수 있는 최대치의 운동"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한겨레>, <경향> 등에는 이들 신문을 살리겠다고 후원, 의견 광고 싣는데, 이 또한 시민들이 할 수 있는 최대치"라며 "시민들이 조중동에 얼마나 불만이 많으면 이러겠느냐"고 강조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8 병원 노동자 "10명 중 6명 폭언 당해" 남편 2010.05.03 2541
367 TV에서는 볼 수 없는 MBC 파업 뉴스데스크!!!!! 1 관심 2010.05.03 2358
366 전교조 하루에 3억씩 번다. 민중의소리 2010.04.30 1529
365 “적법한 쟁의행위 업무방해죄 안돼”  당근 2010.04.29 1744
364 극단 성좌의 <환상의 죽음> 단체관람 공개제안 극단 성좌 2010.04.27 2583
363 여러분, 노조 만들면 어떻게 되는지 알죠?” 한마음 2010.04.24 1501
362 [책소개] 계간지 '미래와희망' 봄호 file 미래와희망 2010.04.21 1489
361 백기완 선생 작은책 강연 4월 22일 목 7시 file 작은책 2010.04.20 1917
360 생활의지혜 file 홍보부 2010.04.19 3512
359 '가장'을 늑대로 만드는 체제 박노자 2010.04.18 1743
358 저 모교 출신입니다. 죄송 2010.04.16 1777
357 해임 무효확인청구 소송 승소 김윤수 전 국립현대미술관장 한겨레 2010.04.15 1834
356 한번 쯤 생각 해보심이... 1 매스미디어 2010.04.14 2263
355 병원 노동자는 알아야 합니다. 삼성생명 2010.04.11 1503
354 '삼성 공화국' 만든 것은 대한민국 언론이다" 노자 2010.04.05 1557
353 도대체 좌파가 뭡니까? 진짜 궁금하네ㅛ 2010.04.05 1761
352 공정 공천 촉구 및 종교편향 중지’시위 희철 2010.04.03 2579
351 왜 신문 보면 5만 원을 주는 거예요? 그건 2010.04.02 1506
350 대한민국의 한사람으로 쪽팔리네요.. 기가막히네요. 2010.04.01 1491
349 한명숙 재판… 불안한 여권 후보군 정연이 2010.03.27 1542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38 Next
/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