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01.216.99) 조회 수 184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누리꾼들, 기업에 항의전화... <한겨레> <경향>엔 후원, 의견 광고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에 광고를 싣는 기업들에 누리꾼들의 항의전화가 빗발치고 있다. 몇몇 기업들은 공식 사과를 하고, "앞으로 조중동에 광고를 싣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반면, <한겨레>, <경향> 등에는 시민들의 자발적인 광고가 쇄도하고 있다. 1면에 기업광고를 싣기가 어려울 정도다.

 

오늘(31일)자 조중동 1면에는 부동산 광고가 실렸고, 어제(30일)는 외식업체인 신선설농탕의 광고가 실렸다. 이후 이들 기업들은 많은 항의 전화를 받았고, 신선설농탕은 공식 사과를 하기에 이르렀다.

 

신선설농탕은 30일 홈페이지에 안내문을 띄우고 "고객님들의 정서에 부응해 드리지 못했던 점을 죄송스럽게 생각한다"며 조중동 1면에 광고를 한 것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

 

이 회사 마케팅 팀장은 <오마이뉴스>와의 전화 통화에서 "신제품 출시에 맞춰 5월 초에 광고 대행사를 통해 30일 조중동과 <한겨레>, <경향> 등 5대 일간지에 광고를 실으려 했는데, <한겨레>, <경향>엔 광고가 밀려 6월 2일 싣기로 했다"며 "이렇게 많은 항의전화가 올지 몰랐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앞으로 조중동에 광고를 싣기는 힘들 것 같다"며 "국민과 실망했다고 하는 고객들에게 죄송하다"며 다시 한 번 고개를 숙였다. 그는 또한 "요새는 <한겨레>와 <경향>의 1면 광고비용은 조중동과 거의 맞먹는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같은 날 조중동에 광고를 실은 농협목우촌 역시 시민들의 항의 전화를 받고 즉각 사과했다. 이 회사는 회사 홈페이지를 통해 "신문 광고로 고객님들께 심려를 끼쳐드려 죄송하다"며 "금일 이후 광고에는 신중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다음 아고라 등에는 연일 '조중동을 폐간시키자'는 누리꾼들의 글이 올라오고 있다. 누리꾼들은 조중동에 광고를 실은 기업들에 항의전화를 하자고 유도하고 있다.

 

반면, <한겨레>, <경향>에는 시민들의 자발적인 후원 또는 의견 광고가 이어지고 있다. 오늘도 마찬가지다.

 

오늘 <한겨레> 1면에는 "대한민국은 주식회사가 아니라 민주공화국"이라는 제목의 광고가 실렸다. 정직한 언론을 지지한다는 인터넷 사이트 마이클럽 회원들이 자발적으로 모금을 해서 광고를 낸 것이다.

 

이들은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에게서 나온다"는 헌법 1조를 인용하며 "대한민국 주권과 권력의 주인으로서 광우병 쇠고기 수입 전면 백지화와 함께 한반도 대운하 건설, 건강보험 민영화와 당연지정제 폐지, 전기 수도 가스 등 공기업 민영화, 언론통제 등을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경향> 1면에는 "삶이 곧 희망일 수 있는 사회를 기원한다"라는 한신대 졸업생들의 광고가 실렸다. 이들은 "정부는 또 다시 우리를 거리투쟁에 나서게 하는가?"라며 "경찰의 폭력진압을 온몸으로 거부한다"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광고를 통해 "대다수 국민들의 생명과 건강 그리고 생활을 담보로 하는 상위 1% 부자만을 살리고자 하는 각종 정책을 강행하고 있는 이명박 대통령은 이 땅 고달픈 서민의 삶을 더욱 힘들게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국민들의 저항과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정책이 계속 진행된다면 80, 90년대 민주주의를 지켜내기 위해 거리에 나섰던 우리는 다시 이렇게 '국민생명 위협하고 서민살림 파탄내는 독재정권 타도하자'라고 외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한겨레> 광고국 관계자는 "시민들의 후원, 의견 광고가 많이 들어온다, 이들의 광고를 주요하게 배치하려고 노력한다"고 말했다.

 

김유진 민주시민언론연합 사무처장은 "시민들이 조중동에 광고를 낸 기업의 상품까지 불매운동을 하겠다고 나선 것은 소비자인 시민들이 할 수 있는 최대치의 운동"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한겨레>, <경향> 등에는 이들 신문을 살리겠다고 후원, 의견 광고 싣는데, 이 또한 시민들이 할 수 있는 최대치"라며 "시민들이 조중동에 얼마나 불만이 많으면 이러겠느냐"고 강조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8 머리에 녹이 슨 사람들 운동 2009.02.01 1825
367 망측한 승진면접 1 김세군 2011.02.21 4632
366 맛난밥 밥돌이 2008.10.22 1904
365 맑시즘의 가난 1 그린티네 2017.08.20 250
364 맑시즘의 가난 1 그린티네 2017.08.20 246
363 맑시즘의 가난 1 그린티네 2017.08.20 280
362 맑시즘의 가난 1 그린티네 2017.08.20 430
361 맑시즘2014에 초대합니다. 노동자연대 2014.07.14 2735
360 맑시즘 2016에 초대합니다. - 16년째 열리는 국내 최대의 마르크스주의 포럼입니다. 노동자연대 2016.06.29 133
359 많은 관심에 감사드리며-직급인사관련 4 모대리 2009.11.24 6673
358 만화로 보는 " 용산학살이야기 " 2009.01.29 1690
357 만화가들의 참신하고 정곡을 찌르는 시국선언 참세상 2009.07.06 1459
356 마트 노동자의 이야기와 대학병원 간호 노동자의 감정노동 에피소드 공감 2012.02.09 2017
355 로비 농성을 바라보며 4 간호사 2010.06.08 3106
354 뜻깊은 기축년 미영 2009.01.08 1515
353 똥가 오줌은 전혀다르다. 한국침몰 2008.08.04 1671
352 드디어 이탈자 발생 기회주의 2008.07.16 1768
351 드디어 D DAY가 다가옵니다. 2016.10.26 166
350 두번 부결 '민주노총 탈퇴' 투표, 왜 또? 레디앙 2011.05.02 2752
349 두 번째 고대의료원 김창덕 내정자 정견 발표 메디파나 2011.10.19 1784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38 Next
/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