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32.108.117) 조회 수 167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정부가 현행 건강보험을 이원화 해 기존보험 외에 가입자들 중에서 추가보험료를 받아 급여항목을 늘린 보충보험 신설을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져 파문이 예상된다.

건강보험 이원화가 시행되면 당장 민영 의료보험에 중복 가입한 고소득층의 보험료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반면 보충보험에 가입하지 못하는 저소득층의 보장성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4일자 문화일보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지난 2월 '한국의 의료보장체계 선진화 방안' 용역보고서(서울대 보건대학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권순만 교수)를 제출받고 건강보험의 보장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선택형 보충보험을 도입하는 방안의 검토에 들어갔다.

'선진화 방안'에 따르면 앞으로 건강보험은 저부담-저보장 체계와 고부담-고보장 체계의 이중구조로 개편된다. 높은 보험료를 내고라도 보장 수준이 높은 보험을 선택하는 가입자들에게는 공보험의 영역에서 보충보험을 제공하고, 낮은 보험료를 원하는 가입자들은 기존 건강보험 체계에 잔류시킨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용역보고서는 기존 건강보험 가입자의 50%가 보충보험을 선택하면 가구당 월평균 부담액은 1만3796~1만9102원(국고지원액 20%, 보장률 90% 기준) 정도일 것으로 분석했다. 전체 소요재원 중 50%의 금액을 국고에서 지원하면 가구당 월평균 부담액은 8622~1만1939원으로 줄게 된다.

정부는 선택형 보충보험을 토대로 64.3%(2006년말 기준)인 건강보험 보장률을 제도 도입 이후에는 80%대 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보건복지가족부는 건강보험 이원화 등 의료보장체계 선진화를 위한 세부시행방안을 9월까지 마련할 방침이라고 문화일보는 보도했다.

이에 대해 주무부처인 보건복지가족부는 건강보험 이원화에 대해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임종규 복지부 건강보험정책과장은 "문제가 된 보고서는 지난해 9월경 기획 예산처가 발주해 올해 기획재정부가 인수인계 받은 것"이라며 "기획재정부와 의논한 바가 없으며, 검토한 적도 없다"고 밝혔다.

임 과장은 "세부시행안 등을 마련하고 있지도 않다"면서 "재정부가 건의해도 검토할 생각이 없다"고 덧붙였다.

기획재정부도 파문이 확대되자 "이원화하는 방안을 검토한 바 없다"며 "용역보고서에서 제시하는 방안은 기획재정부의 정책 방향과는 무관하며 다만 연구자의 의견이며 용역보고서에서 제시한 선택형 보충보험 도입과 관련해 어떠한 사항도 검토한 바 없으며, 구체적인 시행방안의 수립 계획 등은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한편 보고서는 영리병원에 대해 "공공보건의료체계 등의 강화를 바탕으로 진입장벽을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의료기관이 영리법인화 될 때 "경쟁을 통한 의료의 질 향상, 의료산업 경쟁력 향상, 고급 의료 욕구 충족" 등의 장점이 있다며 "국부창출이라는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8 조중동에 광고 실어서 공식 사과합니다" 마징가 2008.06.02 1842
367 누군가 행복할 수 있다면.. 행복 2009.01.31 1844
366 '보호자 없는 병원' 크게 늘린다 kdg 2011.09.07 1844
365 달팽이의 공격 기차 2009.01.31 1845
364 [세미나] 크랙 캐피털리즘, 젠더 트러블 읽기 세미나에 초대합니다. 세미나팀 2013.03.29 1845
363 우리는 안티조중동안하나요? 1 가막가치 2008.06.02 1856
362 기호1번 이갑용, 강진수의 전략2 "지역본부 중심으로의 조직 구조 혁신" file 이갑용강진수 2013.03.13 1858
361 이번에 고대의료원에게 지면 미래는 없다. ㅎㅈㅁ 2010.09.14 1859
360 [강연/공연] 베네수엘라 민중권력학교 활동가 초청 강연/공연 민주노동연구소 2009.09.15 1861
359 영남대의료원 노조원 '950명→75명' 급속 약화 박영남 2011.09.08 1866
358 민주노총서울본부 제5기법률학교 개최 민주노총서울본부 2010.06.21 1869
357 [기아차] 에코 청소년원정대 에코다이나믹스 2010.10.08 1870
356 대한민국 수정헌법 마징가 2009.06.25 1871
355 기호1번 이갑용, 강진수의 전략1 "투쟁의 복원과 집중" file 이갑용강진수 2013.03.13 1872
354 [제7기민주노총위원장선거] 기호1번 이갑용, 강진수 "빵꾸 난 민주노총을 용접하겠습니다." file 이갑용강진수 2013.03.13 1874
353 노동자들, 제2의 적 '언론'보도에 분노 안티 찌라시 2010.11.22 1878
352 대교협 "고려대, 고교등급제-특목고 우대 안했다" 고대출 2009.02.26 1883
351 [제안서] 성북지역 단체들에 시간강사 투쟁 연대를 제안드립니다 진보신당성북신희철 2012.05.24 1886
350 수고하십니다. 은성 2010.05.05 1889
349 경기도지사 후보 심상정 사퇴 file 정권심판 2010.05.31 1895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38 Next
/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