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말기암환자 전문의료기관 기준 고시

by 노안부장 posted Sep 11, 200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보건복지가족부(장관 전재희)는 호스피스ㆍ완화의료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말기암환자전문의료기관’으로 지정하는 기준과 절차에 관한 고시를 제정하여 9월 1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말기암환자전문의료기관(암환자완화의료기관)의 지정기준으로는 
   - 의료기관에 완화의료를 제공하는 별도의 병동 또는 건물의 설치ㆍ운영
   - 1실 5인이하 입원실(병상당 6.3㎡), 가족실, 상담실, 임종실 등을 구비
   - 연평균 1일 입원환자 20명당 의사 1명, 연평균 1일 입원환자 2명당 간호사 1명, 상근 사회복지사 확보 등이다.

 


동 지정기준의 주요내용으로는 일반 의료기관에 비해
   - 병실당 기준 병상수(6인→5인) 및 병상당 면적기준(4.3㎡→6.3㎡) 강화
   - 말기암환자에 대한 신체적, 정신적 간호의 요구도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간호사 인력기준(환자 2.5명당 1명→2명당 1인) 강화
   - 환자와 가족에 대한 사회경제적 지원ㆍ심리정서적 상담 및 자원봉사자 운영을 위한 사회복지사 근무 의무화 등을 규정하여
   - 말기암환자가 보다 좋은 환경에서 질높은 완화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 완화의료란 통증 및 증상완화, 신체적·심리사회적·영적 영역에 대한 포괄적인 평가와 치료를 통해 환자 및 그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WHO 등에서 ‘호스피스’ 보다는 ‘완화의료’ 용어 사용 추세)

 


말기암환자전문의료기관’으로 지정받고자 하는 의료기관은 의료법상 종합병원, 병원, 의원 중에서(요양병원 제외) 동 고시에 따른 시설, 장비 및 인력기준을 갖추고 말기암환자를 위한 가정방문 보건사업, 자원봉사자 운영 등이 포함된 사업계획서와 지정신청서를 관할 시ㆍ도에 제출하면 시ㆍ도의 현지확인을 거쳐 지정받게 된다.

 


보건복지가족부에서는 암관리법 제11조 및 같은법 시행령 제10조에 따라 금번 고시된 암환자완화의료기관 지정제도 및 내년에 시범 운영될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수가체계 도입을 통하여

 


말기암환자를 위한 양질의 완화의료서비스가 적정수준의 비용부담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현재의 호스피스의료기관 및 지원정책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등록기준 ‘07년 전국 호스피스의료기관은 78개
   - 보건복지가족부에서는 ‘05년부터 호스피스의료기관 사업실적 평가를 거쳐  운영비 일부를 지원 (’08년 30개 기관, 기관당 연 4천만원 지원)
   - 향후 말기암환자전문의료기관 지정절차를 거쳐 지정된 기관을 중심으로 운영비 등 예산 지원할 계획

*문의 : 암정책과 02-2023-7556

 

?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 간호사 번표작성 프로그램(엑셀) & 연장근무 계산 프로그램 1 file 관리자 2013.07.26 414752
공지 사학연금과 국민연금 연계 자료 file 관리자 2009.09.01 46833
43 일차 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file 관리자 2008.09.10 1689
42 선전자료 자보용 - 요구 및 부서별 현안문제 file 관리자 2010.09.02 9271
41 작업장혁신 어떻게 가능한가 사례-굿모닝병원 file 관리자 2008.10.13 1433
40 재해보상 사례집(사학연금) file 관리자 2009.07.21 2517
39 본조자료 정책토론자료 10호 - 2010년 상반기투쟁 승리를 위한 조합원 간담회 자료 file 관리자 2010.06.14 3170
38 본조자료 정책토론자료 11호 - 미국의 건강보험개혁, 어떻게 볼 것인가? file 관리자 2010.06.14 2855
37 본조자료 정책토론자료 12호 - 예산이 없다? --- 돈은 남아 돈다! file 관리자 2010.06.14 2966
36 본조자료 정책토론자료 13호 - 이명박정권의 노조죽이기 실상 file 관리자 2010.06.14 3175
35 본조자료 정책토론자료 14호 - 노동절의 유래 및 120주년 노동절기념대회 file 관리자 2010.06.14 3231
34 본조자료 정책토론자료 15호 - 타임오프 논의 진행상황과 대응투쟁 file 관리자 2010.06.14 3587
33 본조자료 정책토론자료 16 - 타임오프 날치기 처리와 노동조합의 대응 file 관리자 2010.06.14 3335
32 본조자료 정책토론자료 17호 - 의료기관 평가 인증제 file 관리자 2010.06.14 3893
31 본조자료 정책토론자료 18호 - 5.18 광주민중항쟁의 역사 file 관리자 2010.06.14 4216
30 본조자료 정책토론자료 19- 유연근무제 도입과 노동조합의 대응 file 관리자 2010.06.14 7294
29 본조자료 정책토론자료 4호 - MBC 지키기투쟁=민주주의지키기투쟁 file 관리자 2010.06.14 2527
28 본조자료 정책토론자료 5호 - 3.8세계여성의 날 유래와 의미 file 관리자 2010.06.14 2870
27 본조자료 정책토론자료 6호 - 경제자유구역내 영리병원이 들어서게 되면? file 관리자 2010.06.14 2608
26 본조자료 정책토론자료 7호 - 근로시간면제심의위원회 활동개시와 대응투쟁 file 관리자 2010.06.14 2681
25 본조자료 정책토론자료 8호 - 4월 노동자 건강권 쟁취투쟁의 달 file 관리자 2010.06.14 2725
24 본조자료 정책토론자료 9호 - 보건의료노조 2010년 노동안전보건 사업계획 file 관리자 2010.06.14 3029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