メニュースキップ

미국의 뉴딜과 MB의 녹색뉴딜 비교분석 및 제언

by 관리자 posted Jun 18, 2009
?

Shortcut

Prev前へ 書き込み

Next次へ 書き込み

Larger Font Smaller Font 上へ 下へ Go comment 印刷 添付
?

Shortcut

Prev前へ 書き込み

Next次へ 書き込み

Larger Font Smaller Font 上へ 下へ Go comment 印刷 添付


[1] 니들이 뉴딜을 알아? 잊혀진 사람들을 위한 혁명, 뉴딜 (홍종학, 경원대학교 교수) <6/8>
Ⅰ. 나에게 뉴딜은 무엇인가?
Ⅱ. Happy Days Are Here Again
Ⅲ. 뉴딜은 새로운 질서를 위한 약속
Ⅳ. 뉴딜은 혁명이다
Ⅴ. 루스벨트의 절제된 혁명
Ⅵ. 루스벨트와 노무현

[2] 오바마의 그린뉴딜 vs. MB의 그레이뉴딜 (김종걸, 한양대 국제대학원 교수)<6/17>
Ⅰ. 그린뉴딜 vs. 그레이뉴딜
Ⅱ. 동반성장 vs. 양극화성장
Ⅲ. 청정경제 vs. 토건경제
Ⅳ. 무엇을 할 것인가?
[1] 니들이 뉴딜을 알아? 잊혀진 사람들을 위한 혁명, 뉴딜 (홍종학, 경원대학교 교수) <6/8>
루스벨트가 일관되게 거대 기업의 탈법적 행위를 규제하는 반면 소비자, 노동자, 소액 주주들을 위한 입법을 추진한 것은 바로 이러한 뉴딜의 정신에 기반 한 것이다. 대표적인 예가 와그너 법(Wagner Act)으로 알려진 국가노사관계법(National Labor Relations Act)이다. 최저임금제나 노동시간규제를 강화한 것은 물론 노동자의 조합결성권리를 대폭 신장했다. 재계는 이 법에 강력하게 반발했고, 이 법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수백 개의 법안이 만들어졌으나 대통령의 거부권에 의해 성공하지 못했다. 그러나 결국 1947년 태프트-하트리 법(Taft-Hartley Act)으로 알려진 개정안으로 인해 노동자의 권리가 제약되었다. 그 결과 미국의 노동조합가입률은 1950년대를 정점으로 해서 점차 낮아졌다가 유럽국가에 비해 최저 수준에 이르고 있다. 만약 루스벨트가 추진한 대로의 와그너 법이 유지되었다면 미국 자본주의의 모습은 크게 바뀌었을 것이다.


[2] 오바마의 그린뉴딜 vs. MB의 그레이뉴딜 (김종걸, 한양대 국제대학원 교수)<6/17>
오바마의 미국과 이명박의 한국을 비교해보면 오바마의 정책은 정확히 그린뉴딜에 해당한다. 동반성장과 금융규제강화로 경제사회적 안정성을 높이며, 청정에너지경제 속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완전한 ‘역주행’이다. ‘양극화’를 부자감세라는 또 다른 ‘양극화’로 해결하며, ‘금융의 폭주’를 자금시장통합법과 금산분리완화라는 또 다른 ‘폭주’로 해결하려 한다. ‘녹색성장’이라는 미명하에 4대강 유역개발의 토건경제로 회기하려 하며, 건설업의 일용고용직 양산을 ‘일자리창출’로 치장한다. 부자감세, 금융규제완화, 불안정한 노동의 양산, 토건경제의 모습 그 어디에도 ‘그린(green)’은 존재하지 않는다. 구태의연한 토건경제에 신선함을 부여하기 위해 녹색으로 위장된 ‘그레이뉴딜’에 불과한 것이다.

...현 정부의 ‘그레이뉴딜’의 본질은 바로 ‘버블’을 ‘버블’로, 그리고 ‘양극화’를 ‘양극화’로 해결하려는 것에 불과하다. 부동산버블이 꺼졌을 때 꺼내든 카드는 바로 대대적인 부동산 규제완화와 토목사업 구상이었으며, 부자감세와 재벌기업의 성장이 국민경제 전체로 확산되지 않는다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양극화성장의 가속페달을 밟고 있다.
?

  1. 간호사 번표작성 프로그램(엑셀) & 연장근무 계산 프로그램

    Date2013.07.26 Category기타 By관리자 Views415425
    read more
  2. 사학연금과 국민연금 연계 자료

    Date2009.09.01 By관리자 Views46841
    read more
  3. 정책토론자료1 - 제주영리병원 도입, 반드시 막아야 하는 이유

    Date2010.06.14 Category본조자료 By관리자 Views2275
    Read More
  4. 표준의원의 원가분석을 통한 건강보험 수가평가

    Date2009.04.10 By관리자 Views2255
    Read More
  5. 의료서비스 시장진입을 위한 조사

    Date2008.05.06 Category일반자료 By노안부장 Views2254
    Read More
  6. [노동부 동향]의료기관 노동자 건강관리 강화

    Date2008.05.13 Category일반자료 By노안부장 Views2229
    Read More
  7. 2008년 의료기관 현황 (심평원)

    Date2008.08.06 By노안부장 Views2183
    Read More
  8. MB 의료민영화가 초래할 4가지 문제

    Date2009.07.09 By관리자 Views2162
    Read More
  9. 의료민영화토론회 자료집(2009.4.15)

    Date2009.05.11 By관리자 Views2160
    Read More
  10. 2015 고대의료원지부 산별현장교섭 요구안

    Date2015.08.25 Category선전자료 By관리자 Views2159
    Read More
  11. 의료민영화 10문 10답

    Date2008.05.26 Category일반자료 By노안부장 Views2136
    Read More
  12. 광우병 재협상 10문10답

    Date2008.06.09 Category일반자료 By노안부장 Views2133
    Read More
  13. 의료민영화의 실체를 말한다

    Date2008.06.20 Category일반자료 By노안부장 Views2132
    Read More
  14. 미국의 뉴딜과 MB의 녹색뉴딜 비교분석 및 제언

    Date2009.06.18 By관리자 Views2125
    Read More
  15. 의료산업 선진화 토론회 자료집(090306)

    Date2009.03.10 By관리자 Views2116
    Read More
  16. 이명박 정부의 의료민영화 정책, 왜 어떻게 하려나

    Date2008.05.14 Category일반자료 By노안부장 Views2106
    Read More
  17. 정책토론자료2 - 복수노조-전임자 관련 노조법, 문제점과 대응방안

    Date2010.06.14 Category본조자료 By관리자 Views2101
    Read More
  18. 이명박 정부 공공부문 사유화에 대한 대응방안 토론회2

    Date2008.05.02 Category일반자료 By관리자 Views2092
    Read More
  19. 2009년 예산낭비사업 선정[시민행동]

    Date2009.03.23 By노안부장 Views2086
    Read More
  20. 경제위기와 노동조합의 대응에 대한 국제 심포지엄

    Date2009.05.28 By관리자 Views2071
    Read More
  21. KDI 민간의료보험 가입과 의료이용의 현황

    Date2008.07.21 By관리자 Views2070
    Read More
  22. 고대의료원지부 단체협약서(2006년)

    Date2008.04.30 By관리자 Views205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