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enu

MB 의료민영화가 초래할 4가지 문제

by 관리자 posted Jul 09, 2009
?

Shortcut

Prev上一頁 文章

Next下一頁 文章

Larger Font Smaller Font 向上 向下 Go comment 列印 附加檔案
?

Shortcut

Prev上一頁 文章

Next下一頁 文章

Larger Font Smaller Font 向上 向下 Go comment 列印 附加檔案

MB 의료민영화가 초래할 4가지 문제

국민의 건강 팔아 자본의 이윤 채우기

 

이명박정부가 강행하는 의료민영화 정책을 비판하는 이슈페이퍼이다. 의료민영화가 추진되면, 국민 1인당 보건의료비 지출 증가, 민간의료보험 활성화 및 건강보험 붕괴, 병원의 영리 경영 확대, 의료 이용의 양극화 심화 등 4가지 폐단이 예상된다. MB 의료민영화정책의 기본골격이 노무현정부 시절 만들어졌듯이, 의료민영화는 정부의 성격을 떠나 강력한 자본의 요구에 의한 것이다. 결국 국민의 건강을 팔아 의료자본의 이윤을 채워주는 정책이다.

 

<요 약>

 

○ 정부는 지난 5월 8일 ‘의료서비스산업 선진화 추진 과제’를 발표하였음. 정부는 이 정책이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의료 산업화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고용증가, 해외환자 유치 활성화 등으로 경제위기 극복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힘.

- 정부가 발표한 정책의 구체 내용은 의료채권제도 도입, 의료기관 경영지원사업(MSO) 활성화, 의료법인 합병, 건강관리서비스 시장화 등임. 그간 논란이 되었던 영리법인 병원 설립 허용 정책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임을 내비쳤음.

- 이러한 일련의 정책은 의료의 선진화 혹은 경제위기 극복과 전혀 관계가 없음. 이는 단지 의료를 민영화하여 국민 건강을 희생시키고, 일부 기업과 자본의 이해만을 채워주겠다는 의도를 명확히 한 의료민영화 정책임.

 

○ 영리법인 병원 설립 허용, 의료채권 제도 도입, 병원 경영지원사업 활성화 정책은 한국의 병원을 환자 진료보다는 이윤 추구를 우선하는 병원으로 만들겠다는 정책임.

- 이와 같은 제도가 도입되거나 활성화될 경우, 병원은 외부 자본을 유치하기 위한 무한 경쟁에 돌입하게 되고, 이는 이윤 추구 중심의 병원 경영 행태를 일반화하게 됨.

- 병원은 점점 더 교과서적, 필수 의료 행위보다는 상업적 의료 행위에 몰두하게 되고, 다양한 방법으로 진료비를 높이려는 시도를 일삼게 됨.

- 그 결과, 병원의 진료비가 비싸지게 되고, 우리 사회의 보건의료 지출도 증가하게 됨. 하지만 의료의 질은 높아지지 않고 오히려 낮아짐.

 

○ 의료법인 합병 제도화, 건강관리서비스 시장화 정책은 영리 추구형 의료기관이 보다 돈벌이를 많이 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기 위한 정책임.

- 의료법인 인수, 합병이 보다 쉬워지면, 병원 노동자는 대량 해고의 위험에 시달리게 되고, 국민들은 인근 병원의 인수, 합병, 운영 정지 등으로 의료 접근성에 피해를 받을 수 있음.

- 건강관리 서비스가 시장화되면, 불필요할 뿐 아니라 오히려 건강에 해가 되는 비싼 건강관리서비스 상품이 범람할 우려가 있고, 저소득층은 필요한 건강관리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불평등이 발생할 수 있음.

 

○ 결론적으로, MB 정부의 의료민영화 정책은 일부 대형병원과 민간의료보험 회사의 이해만을 대변한 친자본, 반민생 정책임.

- 의료민영화 정책이 시행되고 활성화된다면, 국민 의료비 지출 증가, 국민 개개인의 의료비 지출 증가, 고급형 민간의료보험 도입, 건강보험 체계의 붕괴, 비영리병원의 영리화 심화, 의료의 질 하락 등은 불을 보듯 뻔하며, 이로 인해 의료 이용의 양극화 현상은 더욱 극심해질 것임.

- 국민 건강에는 해가 되며, 현재의 의료 체계 전반을 흔들어, 국민 경제 발전에도 큰 위협이 될 수 있는 의료민영화 정책은, 이는 일부 대형병원과 민간의료보험 회사에게만 도움이 될 뿐, 국민 모두가 피해를 보는 대재앙이 될 것임.


?

  1. 간호사 번표작성 프로그램(엑셀) & 연장근무 계산 프로그램

    Date2013.07.26 Category기타 By관리자 Views415425
    read more
  2. 사학연금과 국민연금 연계 자료

    Date2009.09.01 By관리자 Views46841
    read more
  3. 정책토론자료1 - 제주영리병원 도입, 반드시 막아야 하는 이유

    Date2010.06.14 Category본조자료 By관리자 Views2275
    Read More
  4. 표준의원의 원가분석을 통한 건강보험 수가평가

    Date2009.04.10 By관리자 Views2255
    Read More
  5. 의료서비스 시장진입을 위한 조사

    Date2008.05.06 Category일반자료 By노안부장 Views2254
    Read More
  6. [노동부 동향]의료기관 노동자 건강관리 강화

    Date2008.05.13 Category일반자료 By노안부장 Views2229
    Read More
  7. 2008년 의료기관 현황 (심평원)

    Date2008.08.06 By노안부장 Views2183
    Read More
  8. MB 의료민영화가 초래할 4가지 문제

    Date2009.07.09 By관리자 Views2162
    Read More
  9. 의료민영화토론회 자료집(2009.4.15)

    Date2009.05.11 By관리자 Views2160
    Read More
  10. 2015 고대의료원지부 산별현장교섭 요구안

    Date2015.08.25 Category선전자료 By관리자 Views2159
    Read More
  11. 의료민영화 10문 10답

    Date2008.05.26 Category일반자료 By노안부장 Views2136
    Read More
  12. 광우병 재협상 10문10답

    Date2008.06.09 Category일반자료 By노안부장 Views2133
    Read More
  13. 의료민영화의 실체를 말한다

    Date2008.06.20 Category일반자료 By노안부장 Views2132
    Read More
  14. 미국의 뉴딜과 MB의 녹색뉴딜 비교분석 및 제언

    Date2009.06.18 By관리자 Views2125
    Read More
  15. 의료산업 선진화 토론회 자료집(090306)

    Date2009.03.10 By관리자 Views2116
    Read More
  16. 이명박 정부의 의료민영화 정책, 왜 어떻게 하려나

    Date2008.05.14 Category일반자료 By노안부장 Views2106
    Read More
  17. 정책토론자료2 - 복수노조-전임자 관련 노조법, 문제점과 대응방안

    Date2010.06.14 Category본조자료 By관리자 Views2101
    Read More
  18. 이명박 정부 공공부문 사유화에 대한 대응방안 토론회2

    Date2008.05.02 Category일반자료 By관리자 Views2092
    Read More
  19. 2009년 예산낭비사업 선정[시민행동]

    Date2009.03.23 By노안부장 Views2086
    Read More
  20. 경제위기와 노동조합의 대응에 대한 국제 심포지엄

    Date2009.05.28 By관리자 Views2071
    Read More
  21. KDI 민간의료보험 가입과 의료이용의 현황

    Date2008.07.21 By관리자 Views2070
    Read More
  22. 고대의료원지부 단체협약서(2006년)

    Date2008.04.30 By관리자 Views205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