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MB 의료민영화가 초래할 4가지 문제

by 관리자 posted Jul 09,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MB 의료민영화가 초래할 4가지 문제

국민의 건강 팔아 자본의 이윤 채우기

 

이명박정부가 강행하는 의료민영화 정책을 비판하는 이슈페이퍼이다. 의료민영화가 추진되면, 국민 1인당 보건의료비 지출 증가, 민간의료보험 활성화 및 건강보험 붕괴, 병원의 영리 경영 확대, 의료 이용의 양극화 심화 등 4가지 폐단이 예상된다. MB 의료민영화정책의 기본골격이 노무현정부 시절 만들어졌듯이, 의료민영화는 정부의 성격을 떠나 강력한 자본의 요구에 의한 것이다. 결국 국민의 건강을 팔아 의료자본의 이윤을 채워주는 정책이다.

 

<요 약>

 

○ 정부는 지난 5월 8일 ‘의료서비스산업 선진화 추진 과제’를 발표하였음. 정부는 이 정책이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의료 산업화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고용증가, 해외환자 유치 활성화 등으로 경제위기 극복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힘.

- 정부가 발표한 정책의 구체 내용은 의료채권제도 도입, 의료기관 경영지원사업(MSO) 활성화, 의료법인 합병, 건강관리서비스 시장화 등임. 그간 논란이 되었던 영리법인 병원 설립 허용 정책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임을 내비쳤음.

- 이러한 일련의 정책은 의료의 선진화 혹은 경제위기 극복과 전혀 관계가 없음. 이는 단지 의료를 민영화하여 국민 건강을 희생시키고, 일부 기업과 자본의 이해만을 채워주겠다는 의도를 명확히 한 의료민영화 정책임.

 

○ 영리법인 병원 설립 허용, 의료채권 제도 도입, 병원 경영지원사업 활성화 정책은 한국의 병원을 환자 진료보다는 이윤 추구를 우선하는 병원으로 만들겠다는 정책임.

- 이와 같은 제도가 도입되거나 활성화될 경우, 병원은 외부 자본을 유치하기 위한 무한 경쟁에 돌입하게 되고, 이는 이윤 추구 중심의 병원 경영 행태를 일반화하게 됨.

- 병원은 점점 더 교과서적, 필수 의료 행위보다는 상업적 의료 행위에 몰두하게 되고, 다양한 방법으로 진료비를 높이려는 시도를 일삼게 됨.

- 그 결과, 병원의 진료비가 비싸지게 되고, 우리 사회의 보건의료 지출도 증가하게 됨. 하지만 의료의 질은 높아지지 않고 오히려 낮아짐.

 

○ 의료법인 합병 제도화, 건강관리서비스 시장화 정책은 영리 추구형 의료기관이 보다 돈벌이를 많이 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기 위한 정책임.

- 의료법인 인수, 합병이 보다 쉬워지면, 병원 노동자는 대량 해고의 위험에 시달리게 되고, 국민들은 인근 병원의 인수, 합병, 운영 정지 등으로 의료 접근성에 피해를 받을 수 있음.

- 건강관리 서비스가 시장화되면, 불필요할 뿐 아니라 오히려 건강에 해가 되는 비싼 건강관리서비스 상품이 범람할 우려가 있고, 저소득층은 필요한 건강관리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불평등이 발생할 수 있음.

 

○ 결론적으로, MB 정부의 의료민영화 정책은 일부 대형병원과 민간의료보험 회사의 이해만을 대변한 친자본, 반민생 정책임.

- 의료민영화 정책이 시행되고 활성화된다면, 국민 의료비 지출 증가, 국민 개개인의 의료비 지출 증가, 고급형 민간의료보험 도입, 건강보험 체계의 붕괴, 비영리병원의 영리화 심화, 의료의 질 하락 등은 불을 보듯 뻔하며, 이로 인해 의료 이용의 양극화 현상은 더욱 극심해질 것임.

- 국민 건강에는 해가 되며, 현재의 의료 체계 전반을 흔들어, 국민 경제 발전에도 큰 위협이 될 수 있는 의료민영화 정책은, 이는 일부 대형병원과 민간의료보험 회사에게만 도움이 될 뿐, 국민 모두가 피해를 보는 대재앙이 될 것임.


?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 간호사 번표작성 프로그램(엑셀) & 연장근무 계산 프로그램 1 file 관리자 2013.07.26 415382
공지 사학연금과 국민연금 연계 자료 file 관리자 2009.09.01 46841
183 작업장혁신 어떻게 가능한가 사례-굿모닝병원 file 관리자 2008.10.13 1433
182 선전자료 자보용 - 요구 및 부서별 현안문제 file 관리자 2010.09.02 9271
181 일차 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file 관리자 2008.09.10 1689
180 일반자료 이브닝 수당 계산식 file 관리자 2009.05.06 3612
179 일반자료 이명박 정부의 의료민영화 정책, 왜 어떻게 하려나 file 노안부장 2008.05.14 2106
178 일반자료 이명박 정부의 보건의료정책 (시민건강증진연구소, 김창보) file 노안부장 2008.05.02 3275
177 이명박 정부의 경제위기대책 비판과 노동자의 요구[민주노총] file 노안부장 2009.03.23 1867
176 이명박 정부의 2009년 경제·노동·복지 정책방향 비판[민주노총] file 노안부장 2009.03.23 1676
175 일반자료 이명박 정부 공공부문 사유화에 대한 대응방안 토론회2 file 관리자 2008.05.02 2092
174 이명박 정부 공공부문 사유화에 대한 대응방안 토론회1 file 관리자 2008.05.02 2383
173 의사 9만여명 매년 3500여명씩 큰 폭 증가 추세 관리자 2009.02.20 1779
172 의료채권 동향 [병원경영연구원] file 관리자 2009.08.10 2572
171 의료인 등 인력수준에 따른 정신과 입원료 차등제 관련 질의 회신 관리자 2008.09.12 3885
170 의료영리화정책 해부(2) - 의료기관 경영지원 활성화 관리자 2009.07.30 3147
169 의료영리화정책 해부(1) [의료서비스산업 선진화 추진과제 ] 관리자 2009.07.30 4106
168 일반자료 의료서비스산업화 정책이 국민건강보장체계에 미치는 영향[국회토론회] 노안부장 2008.05.26 2358
167 일반자료 의료서비스산업의 환경변화와 전망(20051024) file 관리자 2008.06.18 2547
166 의료서비스산업의 2020 비전과 전략(보험경영인 조찬회) file 노안부장 2008.05.06 1791
165 의료서비스산업에 대한 평가와 정책적 시사점[한국은행] file 관리자 2008.09.26 2995
164 의료서비스산업에 대한 평가와 정책적 시사점 file 관리자 2008.07.21 173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