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53.112.125) 조회 수 25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병원 노동자의 10명 중 6명이 일을 하며 폭언이나 폭행, 성희롱 등 불쾌한 언행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의료노조(위원장 나순자)는 2010년 임단협 교섭을 앞두고 요구안 및 실태조사를 지난 2월 10일부터 3월 16일까지 실시했다. 조합원 3만9,058명 중 2만156명이 불쾌한 언행 경험은 물론 감정노동에 대한 의식 조사에 답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병원 노동자들이 일을 하면서 폭언이나 폭행 및 성희롱 등 불쾌한 언행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62.9%에 이를 정도로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가해자는 환자 및 보호자(43.1%), 의사(20.9%), 상급관리자(15.3%), 동료(7.9%) 순으로, 주된 가해자는 환자·보호자와 의사였다.

불쾌한 언행의 종류는 폭언이 55.8%로 가장 많았고, 성희롱은 2.6%, 신체적 폭력은 2.5% 순이었다. 또한 환자·보호자에게 불쾌한 언행을 당했다고 응답한 병원 노동자 중, 폭언을 당한 사람의 비율은 97.1%에 달했다. 이는 다른 서비스산업 종사자들보다 10%p~20%p 정도 높은 수치다.

   
  ▲ 자료=보건의료노조

보건의료노조는 “병원 노동자 중 교환(100%), 간호사(97.7%) 경비안내(96.15%) 등 대면서비스 직종을 포함한 대부분 병원 노동자들이 ‘고객(환자·보호자)으로부터의 일상적인 폭언’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또한, 불쾌한 언행 경험을 성별로 분석해본 결과, '불쾌한 언행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남성노동자들이 45%인데 반해 여성노동자들은 67%로 훨씬 높았다. 이는 병원에서 일하는 여성노동자들이 폭언, 폭행, 성희롱 등에 많이 노출돼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보건의료노조는 이번 설문조사에서 병원노동자들의 감정노동에 대한 의식 조사도 실시했다. 감정노동이란 개념은 ‘배우가 연기를 하듯 타인의 감정을 맞추기 위해 자신의 감정을 억누르고 통제하는 일을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뜻한다. 

조사에 따르면, ‘내가 하는 업무는 감정적으로 노력을 많이 해야 하는 업무’라고 답한 비율은 83.9%를 차지했으며, ‘나는 일을 하면서 내 감정(기분)과 관계없이 항상 웃거나, 즐거운 표정을 지어야 한다’고 답한 비율은 84.0%를 보였다.

"나는 감정노동자" 80% 이상

또한 ‘나는 일하면서 솔직한 내 감정(기분)을 숨기고 일해야 한다’고 답한 비율이 85.7%였으며, ‘나는 일을 하거나 환자(혹은 보호자)를 대할 때 요구되는 감정을 지니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한다’고 답한 비율은 91.1%로 조사됐다.

보건의료노조는 “감정노동을 많이 수행할 경우 정신적 소진, 우울증 등 많은 건강상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며 “심할 경우 자살까지 이어질 수 있어 감정노동의 문제는 노동자의 안전보건 문제로 주요하게 다뤄져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아울러 “병원노동자들이 우울하지 않고 즐겁게,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스트레스에 시달리지 않고 만족스럽게 일할 수 있을 때 환자들을 위한 의료서비스는 더욱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이번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5~6월 진행하는 지부교섭에서 직무스트레스 예방조치와 폭언폭행 근절을 요구한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인 실천 방안으로 △직무스트레스 평가를 실시 △직무스트레스 평가결과에 따른 사후 관리·조치를 산업안전보건위원회에서 논의 △폭언·폭행·성희롱 발생시 심리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것 등을 2010년 교섭요구안으로 확정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48 희망차게 2 희망 2009.01.14 1650
747 흑백 쌍둥이 확률 2009.01.31 1973
746 휴가사용률 3 다람쥐 2021.01.28 1371
745 회의 내용 중에서 병원 답변에 ..... 3 file .... 2021.12.29 1036
744 환자 프랜들리!! 의료민영화 불붙다.. 용접명박 2008.06.11 1553
743 환상의 호흡 환상 2009.01.31 1423
742 확실하게 한판해 봅시다!!! 변방에서 2010.10.07 2618
741 확성기 밴드가 부른 델리스파이스의 '너의 물대포가 보여'~~ 노안부장 2008.06.07 1633
740 화제의 명텐도 출시!! 기발혀 2009.02.12 2183
739 화성연쇄살인 이춘재는 아니다. file 하연수 2019.09.29 931
738 홈피 새단장을 추카추카~!! 조합원 2008.05.04 4432
737 홈페이지 잘보고 가요. 방돈애 2011.12.17 2209
736 홈페이지 잘보고 가요. 소봉곽유 2011.12.17 2292
735 혹사근로 당하여 항만예인선 근로자들의 호소 이상우 2008.07.07 1610
734 현장은 아우성 3 희망사항 2009.08.10 2736
733 현명한 부자와 어리숙한 서민 뭉둥이 2008.08.02 1600
732 해임 무효확인청구 소송 승소 김윤수 전 국립현대미술관장 한겨레 2010.04.15 1834
731 한번 쯤 생각 해보심이... 1 매스미디어 2010.04.14 2263
730 한명숙 재판… 불안한 여권 후보군 정연이 2010.03.27 1542
729 한나라의 공포, "방사능 사태, 광우병 파동 닮아가" 데자뷰 2011.04.05 295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8 Next
/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