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33.250.81) 조회 수 39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15-head.png

15-title1.png

12월 18일은 세계 이주민의 날이다.

한국의 이주노동자는 70만 명이 넘지만 이주노동자들의 조건은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는 정부가 이주노동자들의 권리를 후퇴시키고 차별을 강화했기 때문이다.

고용허가제 노동자들은 직장을 마음대로 그만두거나 옮길 자유도 없다. 퇴직금도 귀국한 후에나 받을 수 있다. 20만 명의 미등록 이주노동자들이 언제든 일터에서 단속돼 추방될지 모른다는 공포 속에 살아가고 있다.

이런 차별은 매우 부당하다. 이주노동자들은 한국인이 기피하고 인력이 부족한 여러 산업들에서 일을 하며 한국 경제를 떠받치고 있다. 비자가 있든 없든 모든 이주노동자들이 고마운 존재들이다.

그런데 정부는 이주노동자를 값싸고 가장 유연한 노동력으로 기업들에 제공하기 위해 이들의 권리를 빼앗고 온갖 부당한 차별을 가한다.

이런 지독한 차별과 열악한 조건을 바꿔 나가기 위해 이주노동자들은 부단히 투쟁해 왔고 노동조합도 건설했다. 이주노동자들의 투쟁에 연대해 이들이 외롭게 싸우지 않도록 민주노총이 적극 연대해야 한다.

15-title2.png

한상균·최종진·이영주는 이주노동자들을 환영하고 적극 연대해 나갈 것이다. 이를 위해 고용허가제 폐지, 미등록 이주노동자 합법화, 노동3권 보장, 차별 반대를 위해 함께 싸워나갈 것이다.

또 이주노동자 스스로의 투쟁과 조직화를 적극 지지·지원하며 이주노동자 조직화를 확대해 나가려 한다.

이런 연대만이 정부와 기업주들의 이간질에 맞서 한국노동자와 이주노동자의 단결력을 강화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노동조합들이 이주노동자들에게 먼저 손을 내밀고 적극 조직해야 한다. 또 이주노동자들이 노조에 가입하기 전에라도 대표를 뽑아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도 필요하다.

한상균·최종진·이영주는 민주노총과 각 산별 연맹 차원에서 이주노동자 대의원 할당을 신설하거나 늘려 민주노총 조직 전체에서 이주노동자들의 목소리를 높여 나갈 것이다. 또 (가칭) ‘이주노동자 특위’를 신설해 연대와 조직화를 강화해 나갈 것이다.

donate.png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48 "공유인으로 사고하기가 중요한 이유" ― 『공유인으로 사고하라』 출간기념 저자 데이비드 볼리어 화상특강! (10/31 토 저녁 7시) 갈무리 2015.10.27 163
747 "맑시즘2009" 노동자들도 함께~ 단순무식 2009.07.31 1507
746 "맑시즘2009" 대박기원!! 몌야 2009.07.21 1525
745 "명퇴" 이제는, 노조가 나서야 한다.!!! 9 명퇴부활 2009.06.15 6752
744 "무상의료 재원 8조, 충분히 조성 가능" 실현가능 2011.01.11 3048
743 "법은 도덕적 인간에게 불가능한 것을 명령해선 안 된다" 프레시안 2011.09.23 1661
742 "병원 규모 아닌 윤리 따지는 시대 도래" 이기자 2011.09.21 1667
741 "보건노조 조합원 50% 간호사" 관계자 2011.08.14 2807
740 "삼성과 정부는 왜 영리병원에 목을 매나?" 프레시안 2011.04.16 2851
739 "의료원장 '노조 척결' 발언은 부당노동행위" 조합원 2011.01.24 3353
738 "이래서는 고대의료원 내일 없다. 새 판 짜야"(데일리 메디 펌글) 바우총각 2011.10.25 2217
737 "일본의 나쁜 제도 수출되지 않도록 하겠다" 곽정숙의원실 2010.11.08 2165
736 "제주 영리병원·학교 빗장 풀리면 전국으로 확산" 핵포탄 2009.02.22 1385
735 "중소병원 간호사 인력난, 노동의 질 문제" 인력문제 2008.11.06 1525
734 "파업지지" 오바마 vs "파업저지" 이명박 화이부동 2008.12.09 1430
733 'MB의 모델’ 두바이, 드디어 무너지나? 환상 2008.12.08 1356
732 '가십(Gossip)'으로 끝난 MB와 부시의 만남 마징가 2008.06.30 1578
731 '가장'을 늑대로 만드는 체제 박노자 2010.04.18 1743
730 '고가 영상검사' 건강보험 수가 인하 추진 바우총각 2010.07.26 1999
729 '메디칼 한국' 명품브랜드로 띄운다! 노안부장 2009.02.27 198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8 Next
/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