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52.151.7) 조회 수 2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박그네가 임금피크제를 시행하여 인건비를 줄이고 그만큼 청년들을 더 많이 고용할 수가 있다고 하며, 임금피크제를 노동개혁의제, 청년일자리 대책으로 내 놓았다.

 

현대자동차그룹이 내년부터 전 계열사에서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겠다고 한데 대해 김무성대표와 새누리당이 극찬하며 다른 기업들도 현대차그룹의 뒤를 따를 것을 촉구했다고 한다.

 

현대차그룹에서는 내년부터 전 계열사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고 연간 1천명 규모의 청년고용을 확대한다고 한다.

현대차그룹이 임금피크제로 청년일자리를 1,000명 더 고용할 것인가? 현대차그룹의 청년일자리 1,000명 증가가 과연 청년일자리를 1,000명 더 증가시킬 것인가?

 

미스박의 말과 같이 임금피크제를 하면 청년일자리가 증가하고, 고용이 증가할까?

  

임금피크제가 고용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하나하나 분석해보자.

 

 

1.임금피크제로 현대그룹(A기업)의 인건비가 감소하면 그만큼 기업이 고용을 증가시킬 것인가?

 

-기업은 자선사업가가 아니다. 인건비가 줄어든다고 해서, 영업이익이 증가한다고 해서 그만큼 더 고용을 하지는 않는다. , 기업이 고용을 증가시킬 경우에는 경쟁력이 높아져서 생산을 증가시킬 경우에만 고용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현대차그룹의 청년일자리 1,000명 증가는 생산의 증가에 따른 필연적인 증가일 뿐이지 인건비절약에 의한 청년일자리 증가가 아니다.

 

2.한 기업(현대그룹)의 임금피크제 시행으로 인건비가 감소하여 경쟁력이 높아지는 경우에 국가경제 전체에서 고용이 증가할까?

 

-국가경제에서 보면 한 기업의 생산증가는 다른 기업의 생산감소를 동반한다. A기업이 임금피크제를 시행하여 인건비가 줄어들어 경쟁력이 높아져서 생산이 증가하면 A기업의 고용도 증가한다. 반면에 다른 기업은 그만큼 생산은 감소하고, 고용도 감소한다. 국가경제전체적으로 보면 고용의 변화는 거의 없다.

 

3.모든 기업이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면 국가경제의 고용은 증가할까?

 

-모든 기업이 임금피크제를 시행하면 인건비가 감소하여 기업의 국제경쟁력이 높아진다. 기업의 경쟁력이 높아지면 수출이 증가하고 수입이 감소하여 무역흑자가 생긴다. 무역흑자가 생기면 환율이 하락하여 무역이 균형을 이룬다. 약간의 무역흑자와 환율하락에 따른 구매력 상승만큼 국민소득증가효과가 있다.

 

반면에 인건비의 감소는 노동소득의 감소를 의미하고, 노동소득의 감소는 소비를 감소시키며, 내수생산을 감소시키고 수입을 감소시킨다. 내수생산의 감소는 국민소득을 감소시킨다. 노동소득감소의 2.5배정도 국민소득을 감소시킨다. 국민소득의 감소는 생산의 감소를 의미하므로 고용도 그만큼 감소한다.

 

지난날의 경험에 의하면 노동소득(인건비)감소금액의 2배정도 국민소득이 감소했다고한다. 노동소득감소에 따른 국민소득의 2.5배 감소를 바탕으로 역산하면 자본소득증가에 의한 국민소득의 증가는 인건비감소액의 0.5배 이상이라고 추정할 수가 있다.

 

국민소득(생산)2.0배정도 감소하고, 영업이익(자본소득)0.5배 이상 증가하면 노동소득은 2.5배 이상 감소한다고 봐야 한다.

 

임금피크제를 시행하여 임금피크제대상노동자의 임금이 30%정도 낮추어지는 것을 가정하여 계산하면, 임금피크제를 시행하면 임금피크제시행대상인원의 45%{=30% x 1.5(2.5-1.0)}보다 더 많이 일자리가 감소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임금피크제대상인원의 약 50%정도의 일자리가 감소한다고 봐야 한다.

 

임금피크제를 시행하면 일자리가 약 임금피크제대상인원의 50%정도 감소하는데 청년일자리가 만들어 지겠는가?

멍청한 박그네에게 누가 임금피크제를 청년일자리를 만드는 대책이라고 보고했는가?

 

4.임금피크제를 시행하면 노동자들의 노동소득분배는 어떻게 변화하며, 고용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노동자전체의 노동소득이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는다면 임금피크제는 노동소득을 평준화시켜 국민소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하지만 임금피크제로 자본소득이 증가하고 노동소득이 감소하는 상황에서는 노동소득이 평준화된다고 해도 그 평준화는 하향평준화일 뿐이므로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가 없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8 [우석균 초청강연회]전면적 의료민영화로 가는 박근혜정부-6차투자활성화대책, 무엇이 문제인가? 노동자연대 2014.08.28 436
147 [용산범대위]1월31일 2차 범국민추보대회에 참가합시다 용산 범대위 2009.01.30 1970
146 [안습] 민중 역사가-하워드 진을 추모하며..ㅠ ㅠ 몌야 2010.01.29 1539
145 [안산지역 시민사회단체 지지 성명] 보건의료노동자들의 노동시장구조개악 저지 투쟁 정당하다! file 우야 2015.10.20 391
144 [세미나] 크랙 캐피털리즘, 젠더 트러블 읽기 세미나에 초대합니다. 세미나팀 2013.03.29 1845
143 [세미나] 맑스, 푸코, 네그리, 코소 세미나에 초대합니다. 세미나팀 2013.07.05 1968
142 [세미나] 가따리, 네그리, 들뢰즈, 마르크스, 영어, 페데리치 세미나에 초대합니다. 세미나팀 2013.11.11 3696
141 [새책] 자본주의의 직선을 벗어나는 파선을 긋자,『우애의 미디올로지』(임태훈 지음)가 출간되었습니다! 도서출판 갈무리 2012.11.14 2288
140 [새책] 자본주의에 균열을 내자 - <크랙 캐피털리즘>(존 홀러웨이 지음, 조정환 옮김)이 출간되었습니다. 도서출판 갈무리 2013.01.29 2042
139 [새책] 민주적 시민참여 과학은 어떻게 가능한가? <과학, 기술, 민주주의>가 출간되었습니다! 도서출판 갈무리 2012.11.28 1931
138 [새책] 독일문학상 후보작, 장편 교양소설 『기린은 왜 목이 길까?』(유디트 샬란스키 지음, 권상희 옮김) 출간되었습니다! 갈무리 2017.03.21 176
137 [새책] 노동시와 아방가르드 예술운동의 공명을 밝힌다, 『미래의 시를 향하여』(이성혁 지음)가 출간되었습니다! 도서출판 갈무리 2013.02.27 2054
136 [새책] 금융독재에 대한 대항행동, <봉기>(프랑코 베라르디 지음)가 출간되었습니다! 도서출판 갈무리 2012.12.21 2108
135 [새책] 『잉여로서의 생명 ― 신자유주의 시대의 생명기술과 자본주의』(멜린다 쿠퍼 지음, 안성우 옮김) 출간되었습니다! 갈무리 2016.12.10 229
134 [새책] 『베르그손, 생성으로 생명을 사유하기』(황수영 지음)가 출간되었습니다! 갈무리 2014.10.28 176
133 [새책] 『매혹의 음색 : 소음과 음색의 측면에서 본 20세기 서양음악의 역사와 이론에 대한 개론서』(김진호 지음)이 출간되었습니다! 갈무리 2014.08.18 414
132 [새책] 21세기 마을국가를 위한 IT정책 제안! 『국가에서 마을로』(전명산 지음)가 출간되었습니다! 도서출판 갈무리 2012.10.24 2008
131 [사설] 언론이기를 포기한 문화방송의 피디수첩 중징계 시청자 2011.09.21 1708
130 [사설] 금융시장 불안, 최악의 상황 가정해 대비해야 쩝,,, 2011.09.23 1705
129 [사설] 개인정보 팔아먹고 개인정보 보호한다니 팔렸쓰 2011.09.21 1740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38 Next
/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