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6.177.233) 조회 수 36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2017 1_9.jpg


[철학] 라이프니츠와 형이상학 : 왜 무엇이 없지 않고 있는가

강사 소서영
개강 2017년 1월 2일부터 매주 월요일 오후 3시 (8강, 140,000원)

강좌취지
라이프니츠는 철학적 사유가 어떻게 근거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을 통해 새로움을 만들어 내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이번 강좌에서 우리는 라이프니츠를 대표하는 두 저작, 『형이상학 논고』와 『모나드론』을 함께 읽으며 쉽게 잡히지 않는 라이프니츠의 철학 사상을 이해해보고자 합니다.
『형이상학 논고』는 1686년 40세의 라이프니츠가 아르노에게 목록 형식으로 보낸 자신의 철학적 테제를 더 상세히 발전시킨 텍스트입니다. 『형이상학 논고』가 성숙한 라이프니츠 사유의 시작을 보여준다면, 1714년 쓰여진 『모나드론』은 라이프니츠의 말년, 그의 철학적 지향이 도달한 곳에서 그가 이룬 성과를 짧지만 체계적인 논증을 통해 보여주려 합니다. 자연학과 논리학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자신의 형이상학적 논증의 필연성을 보여주려는 『형이상학 논고』에서부터, 단순한 실체, 모나드를 중심으로 완결된 형이상학 체계를 구성하려는 『모나드론』까지 라이프니츠의 사유는 계속 변화하고 발전했습니다. 이를 살펴봄으로써 우리는 라이프니츠에게서 끝나지 않고 현재까지 이어지는, 17세기 근대 사유의 형성과 모순을 설명해 줄 그 시기의 철학적 난제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무엇보다 이 강좌가 급격하게 변화하던 시기, 그로 인해 회의론이 주도하던 시기에, 라이프니츠가 어떻게 세계를 이해하는 것이 원리적으로 가능하다는 고유한 철학적 낙관주의를 유지할 수 있었는지 살펴보려 합니다. 그리고 라이프니츠는 어떻게 그런 낙관주의를 설명하고 보장할 근본적 방법, 근거에 대한 끊임없는 탐색을 이어갔는지 배우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1강 라이프니츠의 시대 : 라이프니츠와 철학적 낙관주의
2강 『형이상학 논고』와 『모나드론』 비교
3강 연장은 실체인가?
4강 실체적 형상의 문제 : ‘힘’에서 ‘행위’로
5강 개체적 실체의 완전 개념과 모나드 : 완전성, 단일성, 단순성
6강 이유의 원리
7강 신, 질서의 기원과 형이상학의 문제
8강 가능한 최선의 세계, 실존의 의미


참고문헌
고트프리드 빌헬름 라이프니츠, 『형이상학 논고』, 아카넷, 윤선구 역
고트프리드 빌헬름 라이프니츠·앙투안 아르노, 『라이프니츠와 아르노의 서신』, 아카넷, 이상명역


강사소개
연세대학교 전산학과를 졸업했다. 홍익대학교 철학대학원 미학과 석사과정을 마치고 현재 프랑스 파리 제4대학에서 라이프니츠로 박사논문을 준비하고 있다.



다중지성의 정원 http://daziwon.net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18길 9-13 [서교동 464-56]

daziwon@gmail.com

T. 02-325-2102

▶ 메일링 신청 >> http://bit.ly/17Vi6Wi

▶ 웹홍보물 거부 >> http://bit.ly/1hHJcd7

▶ 홍보하면 좋을 사이트를 추천해주세요! >> http://bit.ly/SMGCXP

태그 : 철학, 라이프니츠, 형이상학 논고, 모나드론, 급진적 회의론, 낙관주의, 아르노, 라이프니츠와 아르노의 서신, 논리학, 소서영, 다중지성의 정원, 다지원

?

  1. ‘맑시즘2015ㅡ위기의 자본주의, 대안은 무엇인가?’에 초대합니다

  2. ★ 젊은이들의 자립생활과 가족구조의 변화 ― 『자립기』(마이클 J. 로젠펠드 지음, 이계순 옮김)가 출간되었습니다!

  3. No Image 13Dec
    by 기호2번 박근혜와 맞짱
    2014/12/13 by 기호2번 박근혜와 맞짱
    Views 381 

    [기호2번 한상균 후보조] 공무원연금 개악 저지! '국민대타협기구'는 들러리일 뿐

  4. 12Sep
    by 구로구근로자복지센터
    2014/09/12 by 구로구근로자복지센터
    Views 380 

    2014 하반기 시민노동법률학교 개최 안내

  5. 바이러스와 난세 영웅

  6. No Image 26Dec
    by 다중지성의 정원
    2016/12/26 by 다중지성의 정원
    Views 365 

    [1/2 개강] 라이프니츠와 형이상학 : 왜 무엇이 없지 않고 있는가

  7. No Image 16Jul
    by 알림
    2020/07/16 by 알림
    Views 359 

    전북보건의료사회서비스 노동조합 출범

  8. 구로고대병원 이용하는 환자입니다.

  9. No Image 19Oct
    by 노조
    2022/10/19 by 노조
    Views 351 

    권역이 되면

  10. No Image 15Dec
    by 기호2번 박근혜와 맞짱
    2014/12/15 by 기호2번 박근혜와 맞짱
    Views 351 

    [기호2번 한상균 후보조] 비전은 간데없고 네거티브만 남은 기호4번 비판

  11. 안산 노동인권 영화제에 초대합니다!

  12. [토론회] 공무원연금, 왜 지켜야 하는가?

  13. No Image 02Dec
    by 기호2번 박근혜와 맞짱
    2014/12/02 by 기호2번 박근혜와 맞짱
    Views 338 

    [기호2번 한상균 후보조] "통합 후보"라면서 조직을 두 동강 내겠다고?

  14. No Image 13Dec
    by 기호2번 박근혜와 맞짱
    2014/12/13 by 기호2번 박근혜와 맞짱
    Views 336 

    [기호2번 한상균 후보조] 싸울 줄 아는 ‘노동자 집행부’가 필요하다.

  15. No Image 16Dec
    by 기호2번 박근혜와 맞짱
    2014/12/16 by 기호2번 박근혜와 맞짱
    Views 334 

    [기호2번 한상균 후보조] 2015년 노동자 살리기 총파업 미리보기

  16. No Image 02Oct
    by 다중지성의 정원
    2014/10/02 by 다중지성의 정원
    Views 330 

    ♥ 다중지성의 정원 10/6 개강! 베르그손, 푸코, 하이데거, 소설창작, 영화, 시쓰기 등 4분학기 강좌가 곧 시작됩니다^^

  17. 노조를 믿습니다 제 생각이 짧았습니다

  18. No Image 21Nov
    by 조합원
    2016/11/21 by 조합원
    Views 318 

    노동조합에 바란다.

  19. [1/18 목] 안산시립국악단 기획연주회 <2018 신년음악회>

  20. No Image 05Aug
    by 구로조합원
    2015/08/05 by 구로조합원
    Views 297 

    구로병원 목요일 8월6일 징계를 지켜볼것이다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Next
/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