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09.04.12 22:07

대학생들이 뿔났다

(*.53.112.178) 조회 수 15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집권 여당 한나라당이 내세운 정책은 ‘반값 대학등록금’인데 이명박 정권이 실행에 옮긴 것은 인턴제와 대졸 초임 깎기다. 대학생들에게 백번 머리를 조아려도 모자랄 판인데 오히려 적반하장이다. 지난 10일 청와대 들머리에 있는 청운동사무소 앞에서 ‘등록금 인하’와 ‘청년실업 해결’을 촉구하면서 집단 삭발식을 한 21세기한국대학생연합(한대련) 대표자 49명을 경찰이 강제 연행했다.

‘반값 등록금’에 필요한 정부재정은 약 5조원. 이에 비해 부자 감세 정책으로 줄어든 재원은 올해 13조원, 내년부터는 해마다 20조원을 넘을 것이라고 한다. 대학생들을 ‘봉’으로 본 게 아니라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2008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교육지표를 보면, 국민총생산 대비 공교육비 정부 부담은 한국이 0.6%로 오이시디 평균 1.1%의 절반 수준인 반면, 민간 부담 공교육비는 1.8%로 유럽연합 평균(0.2%)의 9배, 오이시디 평균(0.4%)의 4.5배다. 정부 부담이 적은 만큼 학부모와 학생의 등골이 휠 수밖에 없다. 우리는 그 고통과 좌절의 신음 소리를 한두 번 들은 게 아니다.

그럼에도 걸핏하면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을 자랑하고 선진화를 주장한다. 파리1대학 대학원생인 내 아이가 학년 등록 하면서 낸 돈은 330유로(약 60만원). 의료보험 자기부담금 일년치가 포함된 금액이다. 국민소득 수준 1만달러가 되기 전, 좌파 정권이 들어서기 전부터의 일이다. 더구나 한국의 대학 진학률은 80%를 넘어 세계 최고다. 대학을 나오지 않으면 “당신 몇 학번이오?”라는 물음에 시달려야 하고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며 살기 어려운 사회다. 사회는 구성원들에게 대학 나오길 강요하지만 정부는 물론 대학도 기업도 책임을 지지 않는다. 수익자 부담 원칙을 주장해야 하는 쪽은 대학 진학률이 우리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저쪽의 일이지 우리가 아닌 게 분명한데 말이다.

이런 터에 대학생들이 각자 ‘스펙 쌓기’에만 몰두하고 집단적으로 뿔낼 줄 모른다면 “국민 수준을 뛰어넘는 정부 없다”는 명제에 비추어 우리 사회의 전망은 어둡다. 각자 ‘나만의 계층 상승’, ‘나만의 대기업 정규직’을 모색할 때 잘못된 사회구조는 바뀌지 않은 채 절대다수는 88만원 세대에 머물 것이다. 구성원 간 연대의 가치를 강조해야 하지만, 승자 독식 구조에서 ‘죄수의 딜레마’에 빠지는 것은 어리석음일 뿐이다.

오늘도 신문 지면과 방송 뉴스는 온통 허접한 정치꾼들 얘기로 가득하다. 그들은 혐오스런 정치를 통해 정치를 독점하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었다. 대학생들을 비롯한 젊은이들에게 정치 혐오감을 갖게 함으로써 정치에서 멀리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젊은 세대가 너나 할 것 없이 “나, 정치에 관심 없어!”라는 말을 마치 자신이 혐오스럽지 않다는 점을 자랑하는 양할 때, 정치는 사익을 추구하는 정치꾼들의 전유물로 남고 정치에 관심 없는 젊은이들은 계속 ‘봉’으로 남을 것이다.

이번 ‘등록금 인하’ ‘청년실업 해결’ 촉구 농성 선포식에서는 여학생 대표들도 적잖이 삭발에 참여하여 결연한 의지를 보였다. 전국 70여 대학 총학생회가 참여한 한대련은 5월1일과 2일에 큰 집회를 준비하고 있다. 과연 그들의 희망대로 ‘제2의 촛불 항쟁’이 불타오를 것인가. 한국 사회의 진보가 다시금 학생운동에 빚지는 일이 벌어질 것인가. “연대냐, 홀로 서기냐.” 질문은 던져졌는데, 오늘의 젊은이들은 내일의 한국 사회를 미리 보여준다.

홍세화 기획위원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8 통제 못한 '1%의 탐욕과 권력'... 아수라 2011.10.07 1698
527 "법은 도덕적 인간에게 불가능한 것을 명령해선 안 된다" 프레시안 2011.09.23 1661
526 [사설] 금융시장 불안, 최악의 상황 가정해 대비해야 쩝,,, 2011.09.23 1705
525 "병원 규모 아닌 윤리 따지는 시대 도래" 이기자 2011.09.21 1667
524 [국감]중소병원 간호사는 수퍼우먼인가? 남간호사 2011.09.21 1948
523 [사설] 개인정보 팔아먹고 개인정보 보호한다니 팔렸쓰 2011.09.21 1740
522 [사설] 언론이기를 포기한 문화방송의 피디수첩 중징계 시청자 2011.09.21 1708
521 영남대의료원 노조원 '950명→75명' 급속 약화 박영남 2011.09.08 1866
520 '보호자 없는 병원' 크게 늘린다 kdg 2011.09.07 1844
519 하반기 하루교육은 언제하나요? 1 고대 2011.09.06 2214
518 고대는 희망사항 2011.08.27 2416
517 병원에서 의약분업 관련 서명을 강요하는 것은 1 직원 2011.08.24 2978
516 단상 현선 2011.08.23 2165
515 보건의료노조 민간중소병원 중앙교섭 타결 교섭이 2011.08.18 2216
514 임단협 파행 병원계 파업 대란 오나 보건노조 2011.08.17 2110
513 "보건노조 조합원 50% 간호사" 관계자 2011.08.14 2807
512 상급종합병원 지정에 50개 대형병원 '도전장 관심2 2011.08.06 2639
511 의료기기 허가·심사 기간 단축된다 허가단축 2011.08.06 2253
510 고대의료원 부총장 후임 인선 두고 '설왕설래' 후보자 2011.07.22 3645
509 '희망버스' 외면한 조중동 ,더이상 언론이 아니다. 만인보 2011.07.10 2170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8 Next
/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