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53.112.198) 조회 수 203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iframe marginwidth="0" marginheight="0" src="http://ad.yieldmanager.com/st?ad_type=iframe&ad_size=200x200&entity=178554&site_code=news&section_code=center_200x200" frameborder="0" width="200" scrolling="no" height="200"></iframe>
삼성그룹은 너무 많은 잘못을 저질렀다. 법 위에 서서 노동자의 단결권을 막았다. 보험 고객의 돈을 함부로 유용했다. 특정 작업장에서 불치병에 걸리는 노동자가 늘어났지만 침묵했다. 최근 한반도 북쪽에서 시도경영의 '3대 세습'을 하고자 불법, 편법을 마다하지 않았다.

이 모든 잘못의 중심에 이건희 회장 일가가 있다. 총수 일가와 그의 가신은 회사의 멱통을 움켜쥐고 공금을 마음대로 사용했다. 세습을 위해 사회 곳곳에 뿌린 돈은 우리 사회를 병들게 했고, 회사에 손실을 입혔으며, 그로 인해 주주수익률을 떨어뜨렸다. 삼성은 분명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이지만, 한국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책임을 다하지 못했다.

이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많았다. 산개해서 쏟아졌다. 하지만 울림은 작았다. 수십만 부 판매 부수주류 언론이 침묵한 탓이 컸다. 그러나 각개약진의 목소리는 총수 일가가 삼성그룹에 미친 손실을 추정하고, 정치·법조·행정 권력 등에 흩어진 돈을 추산했다. 또 삼성 노동자들의 피폐한 삶을 조명했으며, 심지어 삼성 불매 운동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 <굿바이 삼성 : 이건희, 그리고 죽은 정의의 사회와 작별하기>(김상봉 외 14인 지음, 꾸리에 펴냄). ⓒ꾸리에
그리고 이런 시도는 어느새 '삼성'을 통해서 한국 사회의 전반을 돌아보는 움직임으로 이어졌다. <굿바이 삼성>(꾸리에 펴냄)은 이 목소리를 하나로 묶은 책이다. 김상봉, 홍윤기, 조국, 김용철, 우석훈 등의 지식인의 <프레시안> 기고한 글들이 빼곡히 수록됐다. 이 책에 실린 글 한편, 한편이 우리 시대 가장 '강자'에 대한 불온한 생각들이다.

돌아보면 이들의 주장도 반향은 없었다. 삼성 불매 운동은 '운동'이라는 말을 붙이기 민망할 정도의 미풍으로 끝났다. 이를 둘러싼 토론도 불붙지 않았다. 삼성 내에서 이 회장 일가의 힘은 더욱 강해졌고, 권력 승계 작업도 다시금 가동될 것이다. 삼성전자도 탄탄한 실적을 내면서 한국의 무력 수지에 일조를 하고 있다.

대다수 사람의 반응도 여전하다. 그들은 이 회장 일가를 비판하는 이 책에 실린 주장에 귀를 기울이기는커녕 적의를 품는다. 많은 20대는 지금도 삼성그룹에 들어가고자 뉴스에 귀를 닫고, 전공 서적을 뒤적인다. 정치권력, 사법 권력이 이 회장 일가의 잘못을 파헤치고자 들고 일어날 가능성도 없다.

그러기에 "이 책은 후대 사람에게 삼성으로 상징되는 욕망의 주술에 모두 다 걸려든 건 아니라는 증거물"이라는 홍세화 <한겨레> 기획위원의 설명마저 초라하게 느껴진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삼성으로 대표되는 자본 권력은 결코 건드려서는 안 되는 성역이다. 이런 상황은 앞으로 더욱더 고착화될 것이다.

어쩌면 사람들은 공포에 사로잡혔을지도 모른다. 이 공포의 근원은 삼성이 무너져 자신이 피해를 입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 아니라, '삼성이 무너지면 나라가 망한다'는 믿음이 깨질지도 모른다는 공포다. 삼성이 무너져도 변하는 건 없다는 사실, 이것이이야말로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진실 아닐까?

삼성의 오늘을 비판하는 많은 사람은 "삼성이 싫어서 이러는 게 아니다"라고 말한다. "이 회장 일가의 전횡을 막기 위해서 이렇게 삼성 비판에 나섰다"는 것이다. 한국 사회에 삼성이 미치는 순기능은 결코 적지 않은 현실에서, 많은 국민이 좋든 싫은 삼성 제품의 소비자인 현실에서 이들의 말은 논리적으로 맞다.

그러나 삼성의 비판자들이 이 말을 할 때마다, 이 말은 변명처럼 받아들여진다. 왜냐하면, 이런 설명에는 삼성을 상대로는 개인의 "좋다" "싫다" 이런 감정조차 마음대로 드러낼 수 없는 현재의 무기력한 상황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굿바이 삼성"이라는 제목의 이 책은, 제목과 달리 우리 시대 초라한 자화상이다.
 
?

  1. No Image 27Sep
    by 연대의 승리
    2010/09/27 by 연대의 승리
    Views 2050 

    익산병원, 파업 78일만에 교섭 타결

  2. 노동법률학교에 초대합니다.

  3. No Image 04Nov
    by 어신
    2012/11/04 by 어신
    Views 2048 

    낚시인의희소식>>낚시인만보시고대어하세요%%

  4. 02May
    by 구로구근로자복지센터
    2013/05/02 by 구로구근로자복지센터
    Views 2047 

    2013년 상반기 시민노동법률학교 개최 안내

  5. No Image 10Nov
    by 허걱
    2011/11/10 by 허걱
    Views 2045 

    노동조합은 어린이집 사태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대처해주세요

  6. No Image 13Jun
    by 함께
    2008/06/13 by 함께
    Views 2045 

    이명박이 요금만 올리는 수도민영화하는 속셈

  7. No Image 14Oct
    by 김민준
    2009/10/14 by 김민준
    Views 2044 

    미실에게 사랑을 주세요 ㅎ

  8. No Image 04Mar
    by 직원
    2013/03/04 by 직원
    Views 2043 

    참고바랍니다

  9. [새책] 자본주의에 균열을 내자 - <크랙 캐피털리즘>(존 홀러웨이 지음, 조정환 옮김)이 출간되었습니다.

  10. [기호1번] 이갑용, 강진수 후보의 순회 투쟁

  11. No Image 09Aug
    by 나도시러
    2010/08/09 by 나도시러
    Views 2039 

    직장인 65%, 스마트폰 업무처리 반대

  12. 우리 시대 가장 슬픈 외침 "삼성 불매!"

  13. 인터넷 의학 용어사전 검색

  14. No Image 21Jun
    by 공감
    2010/06/21 by 공감
    Views 2025 

    간호사별 우울증 등 스트레스 편차 심해

  15. No Image 18Aug
    by 데일리메디
    2010/08/18 by 데일리메디
    Views 2020 

    고대·경희·이대·한대병원 등 '파업 도미노' 예고

  16. 마트 노동자의 이야기와 대학병원 간호 노동자의 감정노동 에피소드

  17. [인문학강좌] 과학, 논쟁, 불확실성 (김명진) - 4월 1일 시작합니다!

  18. No Image 13May
    by 오리발
    2010/05/13 by 오리발
    Views 2013 

    삼성반도체 직원 또 백혈병 판정

  19. 월스트리트 시위에 연대하자! 1퍼센트에 맞서는 99퍼센트! 10월 15일 시청광장에 모이자!

  20. [새책] 21세기 마을국가를 위한 IT정책 제안! 『국가에서 마을로』(전명산 지음)가 출간되었습니다!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38 Next
/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