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성명서]의료영리화 발판,원격의료 허용을 즉각 중단하라 (2020. 5. 18.)

by 관리자 posted May 21, 202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성명서]의료영리화 발판,원격의료 허용을 즉각 중단하라 (2020. 5. 18.)

 

감염병 재난 극복을 위해서는 원격의료가 아니라

공공의료 강화와 보건의료인력 확충이 답이다!

코로나19를 빌미로 한 원격의료·의료영리화 시도를 멈춰라!

 

○ 정부·여당이 원격의료 허용을 본격화하고 있다지난 7일 제2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디지털 기반 비대면 의료 시범사업과 코로나 방역 계기 시범사업을 확대하겠다고 운을 뗐다이어 10일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3주기 특별연설에서 비대면 의료 서비스를 포스트 코로나’ 중점 육성 사업으로 꼽았다. 13일 김연명 청와대 사회수석이 더불어민주당 당선인 포럼에서 노골적으로 ‘“원격의료” 긍정적 검토의견을 밝힌 후 정세균 국무총리와 성윤모 산업통산자원부 차관김용범 기재부 1차관이 말을 보탰다.

○ 15일에는 주무부서인 보건복지부 김강립 차관이 중앙안전대책본부 정례 브리핑에서 새로운 기술을 의료와 접목시키는 방법에 대해 이미 의료법 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돼 계류중이라며 의료 이용의 사각지대나 현 의료체계의 효율성과 합리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논의가 진행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이처럼 정부·여당이 원격의료 허용에 온 힘을 쏟고 있다.

○ 현 정부와 여당은 지난 보수정권이 추진한 원격의료를 대표적인 의료영리화 정책으로 꼽아 비판했고문재인 대통령 역시 후보 시절 이를 반대했다정부·여당에서는 원격의료 대신 비대면 진료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코로나 19와 관련해 예외적으로 허용하는 사안이라고 선을 긋고 있다하지만 정부·여당이 추진하고 있는 비대면 진료는 본인들이 비판했던 원격의료와 이름만 다를 뿐 방향은 같다코로나19 사태를 빌미 삼아 의료영리화 물꼬를 트려는 원격의료 도입은 즉각 중단돼야 한다.

○ 원격의료가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한국판 뉴딜’ 운운하며 등장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이와 더불어 현 정부가 출범 이후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의료영리화 정책을 추진했다는 점을 미뤄봤을 때비대면 진료라고 말만 바꿔 의료영리화를 재추진하려는 속내가 보인다정부·여당이 지금까지 설명한 비대면 진료는 코로나19와 관련해 예외적으로 허용하는 전화상담 처방이다이 조치는 이미 코로나19 확산 후 지난 3개월간 불가피하게 이뤄졌다그러나 예외적인 전화상담 처방만으로 뉴딜을 떠올리기는 쉽지 않다원격의료 허용즉 정부·여당이 말하는 비대면 진료 허용은 의료영리화 재추진을 위한 초석으로 읽어야 한다.

 

○ 현 정부와 여당은 지난 2018년 이미 원격의료 도입을 시도했으며이와 함께 의료기기 및 바이오의약품 규제완화를 추진했다뿐만 아니라 민감한 의료정보를 포함한 개인정보까지 돈벌이 수단으로 삼을 수 있도록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을 통과시켰으며지난달 29일 비상경제 중대본 회의는의료정보 상품화를 ‘10대 산업분야 규제혁신방안중 하나로 꼽았다.

비대면 진료’ 선긋기는 의료법 제17조 1항이 진료 원칙으로 규정하고 있는 직접 진찰을 우회해 원격의료가 가능한 방향으로 법을 개정하고또 스스로 부정해왔던 의료영리화를 추진했을 때 닥쳐올 저항감을 낮추기 위한 꼼수일 뿐이다.

 

○ 원격의료는 IT·통신업계와 원격의료 기기업계대형병원의 숙원사업이다원격의료는 수차례 시도에도 불구하고 안전과 효과가 입증되지 않아 추진되지 못했다의료지식이 없는 환자가 원격 진료기기를 작동하거나 자신의 증상을 말하고 원격으로 처방을 받았을 때오진과 의료사고의 위험성은 전문 의료진이 직접 진료받았을 때와 비교할 수 없는 정도로 높아진다오진이나 의료사고가 발생했을 때 환자가 책임을 오롯이 져야만 하는지 등 책임 소재 문제도 발생한다아울러노인을 비롯한 취약계층에게 원격의료는 지식·정보격차로 인한 의료 불평등까지 초래한다원격의료를 향한 시선에는 오로지 기업의 이익만이 존재한다.

○ 한편원격의료가 본격화될 경우 대형 병원·상급종합병원으로의 환자 쏠림이 더욱 심해질 수밖에 없다원격의료 경쟁이 심화됐을 때 1차 의료를 담당하는 병·의원이 살아남기 어렵다의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추진한다는 원격의료는 결과적으로 국민들의 의료 접근성을 떨어뜨리고의료전달체계까지 무너뜨릴 가능성이 크다.

 

○ 지난 6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된 이후 모 유흥업소에서 시작된 집단 감염이 이어지고 있다많은 전문가와 언론이 2차 대유행을 경고한다원격의료를 대안으로 내세울 때가 아니다지금 시급한 것은 코로나19 환자를 진찰할 수도치료할 수도 없는 원격의료가 아니다코로나19 사태를 통해 공공의료의 중요성과 보건의료인력 확충의 필요성은 상식이 됐다현재 병상 수 기준 10%에 불과한 공공의료를 대폭 확충할 방안을 속히 마련해야 한다더불어 열악한 보건의료노동 환경을 통해 보건의료인력을 확충함으로써 보건의료인력의 선순환을 가능케 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의료영리화가 아니라 공공의료 확충과 보건의료인력 확충만이 코로나19 확산을 막고 절박한 생명을 살릴 수 있다.

2020년 5월 18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 이 성명서는 보건의료노조 홈페이지(http://bogun.nodong.org/)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 안내[로그인 후 열람 가능으로 수정] 관리자 2015.06.10 1467
143 79% 찬성으로 잡정합의(안) 통과. file 관리자 2009.09.18 1373
142 즐거운 한가위 되세요. file 관리자 2009.09.28 1334
141 일일호프 꼭 오세요^^ file 관리자 2009.10.05 1694
140 적극적인 참여바랍니다^^ file 관리자 2009.10.19 1554
139 11월 8일 노동자대회 함께 가자!! 관리자 2009.10.30 1503
138 의료민영화 저지 100만서명운동 file 관리자 2009.11.09 1714
137 2010 정기 대의원 대회 관리자 2010.03.23 1394
136 특집 2호 - 검사와 스폰서 그리고 PD수첩 file 관리자 2010.04.26 1596
135 2010 민주노총 총력투쟁 결의대회 file 관리자 2010.04.26 1415
134 <성명서> 산별교섭 불참 규탄 관리자 2010.04.27 1388
133 세계 노동절 120주년 범국민대회 file 관리자 2010.04.30 1627
132 [기자회견문]타임오프에 대한 보건의료노조의 입장 관리자 2010.05.11 1704
131 2차 조합원 하루교육 file 관리자 2010.05.13 1798
130 [6.2 지방선거 결과에 대한 논평] 관리자 2010.06.04 2108
129 [보도자료]익산병원 파업 20일차, 해결 관건은 노동조합 file 관리자 2010.07.21 2392
128 [성명서]건국대병원탈퇴종용규탄(100719) 관리자 2010.07.21 2986
127 [보도자료]파업23일차익산병원 직장검진중단 및 이용자제 예고 관리자 2010.07.23 3761
126 [성명서]건국대병원 민주노총 탈퇴종용행위 규탄 성명서 관리자 2010.07.23 2799
125 [보도자료]여성친화도시 익산을 부끄럽게 하는 익산병원의 모성보호 위반 및 일상적 성희롱 규탄 기자회견 관리자 2010.07.27 2741
124 [보도자료]익산병원 파업 31일차, 상식대로 풀면 된다! 관리자 2010.07.30 336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