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52.151.7) 조회 수 2795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병원업계 “아웃소싱 확산될 것”
“비용절감 이유로 비핵심부문 외주 필요성 커져”
 
병원산업의 대형화·첨단화 경쟁이 과열됨에 따라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한 아웃소싱이 확산될 추세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1일 상계백병원 박상근 부의료원장은 “1990년대 대형병원에서 조금씩 도입되기 시작한 병원계 아웃소싱은 IMF 이후 계속 증가 추세에 있으며, 경직된 노사 관계, 연공서열에 의한 임금 제도, 병원 비핵심 역량부문에 대한 외주 필요성 증대 등으로 앞으로 급격히 확산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근 열린 병원경영 CEO연수 프로그램에서 이같은 내용의 특강을 진행하기도 한 박 부의료원장에 따르면 지난 2002년 500인 이상 58개 병원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세탁 78%, 청소 75%, 시설관리 75%, 경비 37%, 급식 23%가 외주화된 상황이다.<상자기사 참조>

특히 2000년 이후에는 간호조무사 등 의료업무영역까지 아웃소싱이 이뤄지고 있는 추세라는 게 박 부의료원장의 설명이다.

이뿐 아니라 IT분야에서의 아웃소싱 속도도 매우 빠르다. 병원업계에 따르면 대형 종합병원들이 전산인력의 운용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병원 정보화 업무의 상당부분을 IT서비스업체에 속속 위탁운영하고 있다. 특히 통합의료정보시스템을 새롭게 구축하는 대형종합 병원을 중심으로 IT아웃소싱은 계속 확산될 것이라는 게 이들의 전망이다.

실제로 건국대병원은 전자의무기록(EMR)·그룹웨어·홈페이지·비즈니스인텔리전스(BI) 등 병원 정보화 업무의 50% 이상을 IT서비스 업체에 위탁하고 있으며, 분당 서울대병원은 병원 정보화 업무의 대부분을 외부에 의존하고 있다. 올해 ‘유비쿼터스병원’을 표방하며 새병원을 개원한 연세대의료원(세브란스병원)도 병원 IT인력의 20% 가량이 IT서비스업체 파견인력으로 운영되고 있다.

한편, 병원경영 CEO연수 프로그램에서 박상근 부의료원장은 “이와 같은 병원의 아웃소싱은 비용 절감 효과, 핵심 부문 투입에 필요한 경영 자원 확보 필요성 등으로 계속 증가추세가 예상된다”며 “앞으로 국내병원들은 아웃소싱 전략을 환자와의 접점부문보다는 비접점부문을 우선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형종합병원 아웃소싱 현황은?
'아웃소싱 도입' 84.5%
병원 아웃소싱은 얼마나 진행됐을까? 노태훈 이화여대 동대문병원 관리과장이 발표한 2003년 논문 ‘대형 종합병원의 아웃소싱 실태분석’에 따르면 시설관리 분야와 급식, 정보시스템분야, 원무분야, 진료 및 간호분야, 총무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아웃소싱이 진행 중에 있다.


이 논문은 2002년까지 병원협회에 등재한 500인 이상 대형 종합병원 83개 가운데 58개 병원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를 토대로 작성됐다. 이에 따르면 58개 병원 가운데 49개 병원(84.5%)에서 아웃소싱을 도입한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청소업무의 경우 아웃소싱 49개 병원 모두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외에도 경비 34개 병원, 급식(환자식) 20개 병원 등 주로 시설관리와 물류분야에서의 아웃소싱 도입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C유지보수(15개), 전산프로그램(11개), 네트워크(10개) 등 정보통신분야에서의 아웃소싱 비중도 높다.


진료예약(3개), 진료비 수납과 미수금 관리 등을 외주화한 병원도 있으며, 간호보조업무의 경우 아웃소싱 병원 49개 가운데 22.4%가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검사나 특수검사업무를 아웃소싱한 병원도 눈에 띈다.


이 논문에 따르면 병원들은 아웃소싱 도입 이유<복수응답, 그래프 참조>로 비용절감(85.7%)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인력 및 조직 축소(65.3%)가 뒤를 이었으며, 외부전문성 활용도 42.9%를 차지했다.


한편, 아웃소싱 도입 병원 가운데 5개 병원은 ‘노조의 약화’를 꼽기도 했다. 또한 병원들은 아웃소싱 실시 과정에서 어려웠던 점으로 업무의 질(40.8%)과 노조의 반대(28.6%)를 가장 주되게 들고 있다.
?
  • ?
    망원경 2009.06.19 20:33 (*.112.69.8)
     때가 됐나보지 직원들 파업대열에 참여시킬려구 또 수작이구먼 ㅉㅉ~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8 보수교육비 노동자 2012.02.21 2248
407 보글 지글 코믹송 1 다시다 2009.03.11 1961
406 보고싶은 나의 아버지 1 그리움 2009.01.31 1416
405 보건의료노조 민간중소병원 중앙교섭 타결 교섭이 2011.08.18 2216
404 병원에서 의약분업 관련 서명을 강요하는 것은 1 직원 2011.08.24 2978
» 병원계 아웃소싱... 울 병원은??? 1 걱정 2009.06.19 2795
402 병원 노동자는 알아야 합니다. 삼성생명 2010.04.11 1503
401 병원 노동자 "10명 중 6명 폭언 당해" 남편 2010.05.03 2541
400 벼록시장 글이 안써지네요 ?? 에~~~고 1 감자튀김 2008.08.26 2224
399 벰파이어가 온다 조합원 2014.01.22 3293
398 백신후유증 대단하네요.. 최은지 2021.07.01 975
397 백두대간과 새산맥지도 대한인 2010.01.22 1497
396 백기완 선생 작은책 강연 4월 22일 목 7시 file 작은책 2010.04.20 1917
395 방문인원 없는 이유... 2 글쓴이 2019.06.30 620
394 밤샘근무자의 호소 “인력을 늘려달라” 자유인 2012.09.13 1985
393 밝은사회 구현을 위한 기도와 재보를 . . . ! 국민연합 2009.05.18 1321
392 발등의 불 떨어집니다. 관심집중 2009.01.30 1417
391 바이러스와 난세 영웅 file 시대 2020.04.13 368
390 바보의 사랑법 .. 바보의 사랑법 2009.03.15 1389
389 바로 내 모습이 우주의 모습이다? 그 나라에서 2009.01.03 1997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38 Next
/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