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돈보다생명

누가 우리를 석유중독자로 만들었는가?

by 관리자 posted Jul 29,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누가 우리를 석유중독자로 만들었는가?
[오일홀릭①] 세계7위 소비국…석유중독과 석유자본 카르텔

어떤 사람들은 현대를 석기-청동기-철기에 뒤이은 플라스틱기라 칭하기도 한다. 플라스틱이 곧 석유의 산물이므로 현대 인류사회를 ‘석유기’라 명명해도 큰 무리가 없을 듯하다. 특히, 2차대전 후 가장 급속하게 성장을 이루었으며 강력한 산업국가인 한국에서 석유의 힘은 실로 막강하다.

우리는 “석유 한 방울 안 나오는 나라에서…”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산다. 우리는 “석유 한 방울 안 나오는 나라에서” 게으름을 피워서도 안 되고 파업을 해서도 안 된다. 좀 과장하자면 ‘석유’는 “남자는 역시 군대 갔다 와야 돼”를 잇는 반공이데올로기의 반열에 올라 있다.

그런데, 좀 물어보자. 우리 나라가 세계 11위니 12위니 하는 수출국가라는데, 왜 석유 소비는 세계 7위지? 왜, 외국에서 석유값 조금 들썩일 때마다 한국에서는 몇 배씩이나 더 뛰지? 왜, 외국 석유값 내려갈 때는 같이 안 내려가지? 도대체 어떤 자들이 다 해쳐먹는 걸까? 도대체 누가 그런 자들 뒤를 봐주고 있는 걸까?

<레디앙>과 에너지정치센터가 이런 의문에 답하기 위한 공동기획을 마련했다. 23회 가량 연재될 공동기획 ‘오일홀릭’은 석유의 포로가 돼있는 우리 현실을 낱낱이 보여주고, 석유중독 시대를 만든 주역들을 밝히며, 석유 식민시대에서 탈출할 출구를 찾아볼 계획이다. - 편집자 주

                                              * * *

Ⅰ 서문 : 누가 우리를 석유중독자로 만들었는가
Ⅱ 정유사 : 그들의 폭리를 이대로 놔둘 것인가
Ⅱ-1. Oilholic in Wonderworld : 국제정치경제 속의 석유
Ⅱ-2. 정유사 독점․담합․폭리 구조를 분석한다
Ⅱ-3. 엉뚱한 대안, 원자력 : 그들의 질주엔 브레이크가 없다
Ⅱ-4 우리의 세금이 전 세계 심해에 버려지고 있다 : 소수 재벌의 해외자원개발에 쏟아 붇는 혈세
Ⅲ 재벌과 정치 : 정유사의 좋은 친구들
Ⅲ-1 MB의 자원외교는 누구를 위한 것인가
Ⅲ-2 자원외교의 이데올로기
Ⅲ-3 에너지 세제와 재벌
Ⅲ-4 정치자금과 로비, 그리고 국회
Ⅳ 언론 : 고갈된 석유, 넘치는 여론조작
Ⅳ-1 오일홀릭을 부추기는 광고와 언론
Ⅳ-2 부안 방사능핵폐기장 여론 조작을 되짚는다
Ⅳ-3 KBS 및 주요 일간지/주간지 기사 분석 : 화석에너지 광고와 논설 분석
Ⅴ 시민사회 : 녹색옷을 입은 오일홀릭
Ⅴ-1 시민․농민․노동자가 석유중독에 걸릴 수밖에 없는 이유
Ⅴ-2 학계는 석유 중독과 어떤 관계?
Ⅴ-3 NGO는 석유 중독과 어떤 관계?
Ⅵ 오일홀릭 벗어나려는 유럽
Ⅵ-1 독일과 EU의 에너지전환 플랜 : 국가 차원의 모색
Ⅵ-2 독일 라인란드 팔츠주의 실험 : 주정부(광역) 차원의 모색
Ⅵ-3 오스트리아 그라츠․귀씽․머렉 : 마을단위의 모색
Ⅵ-4 인터뷰
Ⅶ 석유중독에서 벗어나는 방법
Ⅶ-1 석유중독 집단치료 : 환각에서 벗어나자
Ⅶ-2 에너지 자본의 이해관계 사슬 드러내기
Ⅶ-3 지속가능한 자원 순환형 지역에너지 체계로의 전환
Ⅶ-4 적록연대와 녹색정치, 그리고 대안의 정치세력화

저탄소 녹색성장의 이데올로기 공세가 매섭다.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최소한의 원칙과 기준도 없이, 녹색트렌드로 분칠한 광풍이 한국 사회를 뒤흔들어 놓고 있다. 정부는 녹색으로 포장된 비상식적인 거짓 정책을 연일 폭포수처럼 쏟아내고 있다.

때로는 두더지게임처럼 머리를 내밀었다가 숨어 버리기도 한다. 동시에 노동조합과 시민사회단체 등 진보진영에 대한 고사 전략을 치밀하게 진행하고 있다. 이 와중에 정부와 정책에 대한 대중의 피로도는 급격히 증가하고, 내용과 무관한 ‘녹색’의 깃발만 나부끼고 있다.

   
  
혼란한 상황일수록 출발로 돌아가 상황을 단순하게 볼 필요가 있다. 이명박 정부의 대표적인 정책 아이콘이 된 ‘저탄소 녹색성장’은 저탄소와 녹색, 그리고 성장이라는 세 개념의 조합이다. 이는 지금까지의 한국사회(경제)를 고탄소 회색성장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에 다름 아니고, 그렇다면 새로운 비전 제시와 함께 구질서를 해체하기 위한 전략이 함께 고려되는 상식이다. 또한 환경과 조화로운 경제, 즉 녹색경제로의 사회전환을 위한 중장기적 전략이 필요하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구질서(고탄소 회색성장)의 해체에 있어 핵심 키워드는 바로 ‘석유’이고, 석유를 둘러싼 공고한 카르텔 구조의 해체 없는 저탄소 녹색사회로의 전환은 한 마디로 사기이다.

또한 구질서의 해체와 함께 대안사회로 나아가는 과정에 대한 ‘정의로운 전환 전략’, 즉 사라질 일자리 문제 등 첨예한 이해관계의 대립을 조정하고,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석유·자동차·도로의 삼각동맹’에 결박된 한국 사회

혹자는 한국사회는 ‘석유, 자동차, 도로’의 삼각 동맹에 결박돼 있다고 주장한다. 정유회사의 지속적인 소비를 증진시키기는 자동차산업의 발전이 필요하고, 동시에 이들 자동차를 수용할 도로의 증설로 이어지는 순환의 삼각동맹 구조가 똬리를 틀고 있다는 것이다. 삼각동맹은 다소 단순화시킨 측면이 있지만, 고탄소 회색성장의 구질서를 압축해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구질서를 해체하는 것이 문제 해결의 첫 걸음이라는 것에 동의한다면, 이를 위해 석유 중심 사회의 실체를 파악하는 데서 첫 단추를 맞추는 것에도 동의 할 수 있을 것이다. 때로는 ‘문명의 젖줄’로 칭송받기도 하고, 때로는 ‘악마의 눈물’로 표현되는 석유를 둘러싼 이해관계의 실체를 드러내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어쩌면 우리는 지하 동굴에 갇혀 석유자본의 그림자만 보고 있는 상황일지도 모른다. 동굴 밖으로 나와 진실을 직시는 것이 온전한 저탄소 녹색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출발이다.

유독 에너지와 관련한 단위나 개념은 매우 혼란스럽다. 몇 가지 기초적인 개념과 유래를 정리해 보면, 먼저 석유(石油)의 유래는 기원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말 그대로 돌 틈에서 나온 기름이다. 당시 석유는 정제과정 없이 태워서 초롱불로 쓰거나, 포장 도료로 쓰였다. 최근 석유는 정제 전후로 원유와 석유제품으로 구분하고, 이를 통칭해서 석유라고 한다. 석유제품은 정제를 거쳐 휘발유, 경유, 등유, 중유, 납사, 아스팔트, 항공유 등으로 구분된다.

한편, 언론에서 심심치 않게 듣게 되는 배럴은 18~19세기 미국 펜실베니아에서 본격적으로 석유가 개발될 당시 석유를 운반하던 통에서 유래한 것인데, 이를 리터로 환산하면 약 158.9리터이다. 겨울철 군밤장수들이 요긴하게 쓰는 드럼통보다 조금 적은 양이다.

한국보다 석유 많이 쓰는 곳은 6개 국가에 불과

우리는 과연 어느 정도의 석유를 소비하고 있을까. 지난 2007년의 원유수입량은 8.7억 배럴인데, 이를 리터로 환산하면 약 1,382억 리터, 즉 200리터 드럼통 69억 개가 된다. 이는 우리나라 하루 물소비량의 5.3배이고, 코엑스 수족관 6만 개 이상을 채울 수 있는 양이다.

또한 이를 소주병에 담으면 3,908억병에 이르고, 눕혀 연결하면 지구를 2,097번 돌 수 있고, 서울과 부산을 93,359회 왕복할 수 있으며, 지구와 달을 111회 왕복할 수 있는 규모이다. ‘물 쓰듯 한다’는 말을 이제는 ‘석유 쓰듯 한다’고 고쳐야 할 정도로, 분명 우리는 석유중독에 걸려 있다.

   
  
한국은 하루 237만 배럴(376,751.9kl)의 석유를 소비하고 있는 세계 7위의 석유 소비 국가이다.

   
  ※ 출처 :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08 Edition

한편, 지난 2007년의 우리나라 원유수입액은 600억$에 이르렀는데, 이는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390억$), 자동차(373억$), 무선통신기(303억$), 선박(277억$), 철강(231억$)을 훨씬 상회하는 금액이다. 여기서 간과해서는 안 되는 문제는 석유중독을 양산하면서, 이권을 챙기는 카르텔 구조가 위기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으며, 국민들 대다수는 ‘중독’을 회피할 수 없는 선택을 강요받고 있다는 점이다.

국민 대다수는 생경한 전문 용어, 각종 단위 등으로 에너지 문제가 갖는 복합적인 측면을 보기 쉽지 않다. 그런 와중에 정유업계-전력회사-관료-정치권-언론-학계 등 이른바 ‘에너지 자본 카르텔’은 더욱 공고해지고 있다.

독일의 경제학자이자 국회의원인 헤르만 셰어는 그의 저서 『에너지주권』에서 에너지 전환의 10대 철칙 중 여섯 번째로 “에너지업계 내에 존재하는 카르텔을 실질적으로 해체하는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국제 유가가 치솟아도 망하지 않는 정유사들

고유가 시대를 맞아 우리는 몇 가지 질문을 통해 우리가 처한 상황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고유가에 서민들의 삶이 흔들리고 있는데, 거꾸로 정유사의 이익은 몇 년 사이 두 배 이상 늘어나는 까닭은 무엇일까?

석유 제품의 원료인 원유가격이 몇 년 사이 4~5배나 올랐으나, 정유사는 왜 망하지 않는지 상식적으로 잘 이해가 안 된다. 아래 표와 같이 2007년 대비 2008년의 정유 4사의 매출액은 66.7조 원에서 124.9조 원으로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매출 총이익은 5.5조 원에서 7.6조 원으로 증가했다.

   
  
2003년부터 2006년 사이 국제 유가는 2.3배 증가했고, 정유사들의 석유제품 생산량이 비슷한데도 불구하고, 같은 기간 정유사들의 당기순이익은 1조 1천550억 원에서 2조 8천650억 원으로 약 2.5배 증가했다.

정유사들의 당기순이익 규모가 수조 원에 이른다. 이런 기형적인 현상의 뿌리에는 시장에서의 독점적 지위를 이용한 정유사의 담합과 폭리구조가 똬리를 틀고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우리나라 에너지 위기의 핵심은 에너지의 생산과 유통, 그리고 소비과정이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점이다. 원유 등 화석에너지는 국제적인 전쟁과 분쟁, 원주민의 기본권 유린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지구온난화를 가속시키고, 특히 한국으로선 기후변화협약 가입을 앞둔 상황에서 경제적 충격이 매우 클 수밖에 없다. 또한 생산과 유통을 독점하고 있는 에너지 재벌의 무한 이윤추구 과정에서 석유고갈과 고유가의 부담이 소비자에게 고스란히 전가되고 있다.

석유자본의 좋은 친구들

한국 사회에서 석유자본을 모니터하고, 그들의 이해관계의 대척점에 있는 조직된 그룹을 찾아 보기가 힘들다. 먼저 정치권에서 석유자본을 견제하는 흐름을 찾아보기 힘들다. 예컨대 지난 2005년 최철국 의원이 대표 발의한 ‘해외자원개발사업법안’이 가결됨으로써, 이전까지 해외자원개발의 지원을 받지 못하던 SK가 수혜를 입게 됐다.

정부도 석유자본의 이해를 대변하는 데 주저함이 없다. 지난 2008년 영세한 바이오디젤 사장이 자신의 자동차에 바이오디젤을 넣어 사용하는 것을 불법으로 간주하고 있는 석유사업법에 항거하기 위해, 지인으로 하여금 자신을 고발하게 한 사건이 있었다.

약식재판을 거부하고 정식 재판을 통해 승소하였는데, 지경부는 바로 석유사업법 시행령을 개정해 이를 다시 불법화시켰다. 자신의 자동차에 석유를 대체하는 바이오디젤을 주유하는 것을 불법화하는 것은 정유사의 시장을 보호하겠다는 정부의 의지를 천명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SK에너지의 2008년 광고·선전비는 1,937억 원에 달했다. TV를 시청하다가 석유자본의 광고를 접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석유자본의 이미지 광고가 우리를 끊임없이 속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이데올로기 훈육을 받고 있다.

더구나 광고나 협찬을 통해 언론의 논조에 개입할 개연성이 매우 높은 것 또한 사실이다. 예를 들어 자주개발이라는 다분히 민족주의 색채가 두드러지는 정부의 해외자원개발 정책의 그늘(환경파괴와 인권유린)을 드러내기 보다는, 한국의 정유사가 해외에서 얼마나 석유를 확보했으며, 그것이 주는 경제적 수익이 얼마나 위대한지를 홍보하기에 바쁘다.

시민사회와 학계 역시 석유자본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정부와 석유자본이 발주하고 있는 각종 정책연구용역은 지식사회를 자신들의 우군으로 포섭하고 있으며, 소위 사회공헌이라는 미명하에 자본을 통해 에너지 관련 NGO의 재정구조를 취약하게 만들기도 한다.

석유 중심의 사회구조를 지속가능한 착한 에너지 체계로 정의롭게 전환하기 위한 노력은 장밋빛 구상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석유중심의 현 질서를 지탱하고, 재생산시키는 이해관계의 그물망을 해체하는 작업이 병행되어야 하며, 그 출발은 석유중심의 현 질서를 냉정하게 파악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2009년 07월 28일 (화) 10:14:28
?

  1. No Image

    쌍용차 노사협상 타결, 조합원 농성해제

    [알림/속보] 쌍용차 노사협상 타결, 조합원 농성해제 작성일 : 09-08-06 20:17 <사진 : 쌍용차 노사 합의안에 대해 지도부가 보고대회를 갖고 있다. - 노동과 세계 이명익 기자> 쌍용차 지부 점거농성 77일째인 6일 오후 한상균 쌍용차 지부장과 이유일, 박영...
    Date2009.08.07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1030
    Read More
  2. 보훈병원 파업 9일차!!

    ⓒ 보건의료노조 교육선전실 ⓒ 보건의료노조 교육선전실 ⓒ 보건의료노조 교육선전실 ⓒ 보건의료노조 교육선전실 ⓒ 보건의료노조 교육선전실 ‘국가유공자를 치료하는 보훈병원을 국가 최고의 병원으로’라는 기치를 든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보훈병원지부(이...
    Date2009.08.07 Category지부소식 By관리자 Views1443
    Read More
  3. 보훈병원지부 파업 8일차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하 ‘보건의료노조’, 위원장 나순자)은 ‘국가유공자를 치료하는 보훈병원을 국가 최고의 병원으로’ 보훈병원지부 파업 8일째, 비정규직 조합원 단식농성 8일째인 8월 5일, 보훈병원의 조속한 타결을 촉구하고 공공부문 구조조정을 ...
    Date2009.08.07 Category지부소식 By관리자 Views1569
    Read More
  4. 특별한 어떤것(보훈병원) 윤태호

    현재 인터넷에서 네티즌들과 만화(웹툰)로 소통하고 있는 강풀•박철권•양영순•윤태호 작가가 보건의료노동자의 이야기를 웹툰으로 만들었습니다. 이야기 주제는 <보건의료노동자가 파업을 할 수밖에 없는 이유>, <의료민영화의 실체>, <획기적 건강보험 보장...
    Date2009.08.07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1070
    Read More
  5. No Image

    "쌍용공장 상공에 2급 발암물질 살포"

    "쌍용공장 상공에 2급 발암물질 살포" 의료전문가들 "성분분석 결과 암 유발"…경찰 "인체 무해" 경찰이 헬기를 동원해 쌍용차 평택공장에 살포하고 있는 최루액에서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신경 독성 물질인 ‘디클로로메탄’이 검출돼 충격을 주고 있다. 사람이 ...
    Date2009.08.04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1312
    Read More
  6. 민주당 “68명 사전투표 의혹”

    민주당 “68명 사전투표 의혹” 이인숙·장관순기자 sook97@kyunghyang.comㅣ경향신문 ㆍ동영상 추가 공개 “재투표 법리적 효력 상실” ㆍ한나라 “개시 전 투표 불가능… 무지한 주장” 민주당 전병헌 의원이 3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도중 국회 본회...
    Date2009.08.04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642
    Read More
  7. 광화문광장의 ‘그림자’… 개방 후 첫 충돌

    위반 무더기 연행 ㆍ‘표현의 자유’ 가늠 상징적 ‘갈등’지역으로 3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야당과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광장의 집회 허용’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하는 사이 경찰이 방패로 주위를 에워싸고 있다. 김기남기자경찰이 3일 서울 세종로 광화문광장...
    Date2009.08.04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701
    Read More
  8. 보훈병원지부 파업 6일차 현장

    ⓒ 강동시민연대 ⓒ 보건의료노조 교육선전실 ⓒ 보건의료노조 교육선전실 ⓒ 보건의료노조 보훈병원지부 ⓒ 보건의료노조 보훈병원지부 ⓒ 보건의료노조 보훈병원지부 ⓒ 보건의료노조 보훈병원지부 ⓒ 보건의료노조 교육선전실 ⓒ 보건의료노조 보훈병원지부 ⓒ 보건...
    Date2009.08.04 Category지부소식 By관리자 Views1353
    Read More
  9. 기로에 선 쌍용차 노동자들

    기로에 선 쌍용차 노동자들 3일간 마라톤협상 결렬...다시 '힘 대 힘'의 대결로 배혜정 기자 function toggle(qaid) { if( window.document.all(qaid).style.display == "none" ) window.document.all(qaid).style.display = ""; else window.document.all(qa...
    Date2009.08.03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739
    Read More
  10. [쌍용차 노사협상 결렬]단전 조치까지…사측 “3일 공장 진입”

    [쌍용차 노사협상 결렬]단전 조치까지…사측 “3일 공장 진입” 평택 | 최인진기자 ijchoi@kyunghyang.comㅣ경향신문 ㆍ홍희덕의원 “협상 한창이던 31일 경찰투입계획 확정” 용역에 막힌 생수전달 쌍용자동차 노사 협상이 결렬된 2일 경기 평택시 쌍용차 공장 앞...
    Date2009.08.03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587
    Read More
  11. 민주 ‘대리투표 동영상 7건’ 공개

    민주 ‘대리투표 동영상 7건’ 공개 최우규·김광호기자 banco@kyunghyang.comㅣ경향신문 ㆍ“오늘은 빙산의 일각…추가 자료 내겠다” ㆍ한나라 “손 대고있다는 정황은 의미없어” 앞자리 터치하고 뒷자리도 터치 민주당이 지난달 22일 미디어법의 국회 처리 당시 한...
    Date2009.08.03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664
    Read More
  12. [원자력의학원] 정부의 선진화방안 맞서 2009년 투쟁 승리하자!

    원자력의학원지부, 30일 300여명 참가한 가운데 조합원 결의대회 개최 임금삭감과 대졸초임 삭감, 구조조정 등 정부의 공공기관 선진화방안에 맞서 원자력의학원지부가 투쟁을 선포했다. 원자력의학원지부는 30일 원자력병원 1층 로비에서 2009년 산별현장교...
    Date2009.08.03 Category지부소식 By관리자 Views1355
    Read More
  13. [보훈병원 파업 3일차] 보건의료노조 기자회견 개최 및 대구보훈병원 타격투쟁 전개

    보건의료노조는 보훈병원 파업 3일차를 맞는 3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국가 유공자를 위한 최고의 보훈병원을 만들기 위해 31일부터 공공의료 지키기 투쟁에 본격적으로 돌입할 것’을 선포했다. 보건의료노조 기자회견은 보건의료노조 중앙 지도부와 보훈병원 ...
    Date2009.08.03 Category지부소식 By관리자 Views2349
    Read More
  14. 쌍용자동차 조합원 건강 치명적 악화

    쌍용자동차 조합원 건강 치명적 악화 교육선전실 민주노총, 29일 평화행진…물과 의약품 전달 의약품 차단으로 발가락 절단 위기 평택 쌍용자동차 조합원들의 건강이 치명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오늘로 69일째 옥쇄 파업을 벌이고 있는 조합원들은 물·음식·의...
    Date2009.07.30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708
    Read More
  15. 한명도 내줄 수 없다!!! [보훈병원지부 파업 전야제]

    [현장] 병원 대팀제 저지! 단체협약 개악안 폐기! 구조조정 저지! 383명 정원 감축 철회! 비정규직 철폐! 비정규직 고용보장! 2009년 산별현장교섭 승리를 위한 보훈병원지부 파업 전야제 “한명도 내줄 수 없다, 구조조정 저지!” “20년 지켜온 단체협약, 사수...
    Date2009.07.29 Category지부소식 By관리자 Views1553
    Read More
  16. No Image

    아이 낳기 좋은 세상? 시장논리론 무자녀가 합리적

    아이 낳기 좋은 세상? 시장논리론 무자녀가 합리적 저출산ㆍ고령화 문제의 원인과 대책 2009-07-28 ㅣ 이은경/새사연 비상임연구원, 청년한의사회 정책국장 저출산ㆍ고령화 문제의 원인과 대책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PDF 아이콘을 눌러 파일을 다운로드 받...
    Date2009.07.29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1253
    Read More
  17. 기립표결 보다 못한 전자투표시스템

    세계의 모범이라고 자랑하더니... 기립표결 보다 못한 전자투표시스템 출처 : 세계의 모범이라고 자랑하더니... 기립표결 보다 못한 전자투표시스템 - 오마이뉴스 ▲ 22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미디어 관련법 중 신문법 개정안에 대한 표결 상황을 표시한 국...
    Date2009.07.29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999
    Read More
  18. No Image

    허울 뿐인 규제, 거대 신문·자본에 방송문 ‘활짝’

    허울 뿐인 규제, 거대 신문·자본에 방송문 ‘활짝’ [해설]여론 다양성 훼손 우려 … 한미FTA에도 없던 외국인 지분 허용도 2009년 07월 29일 (수) 00:41:55 안경숙·권경성 기자 ( media@mediatoday.co.kr) 적법 처리 논란을 빚고 있는 미디어 관련법 개정안의 ...
    Date2009.07.29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623
    Read More
  19. <진보의 눈으로 국가재정 들여다보기> 발간

    <진보의 눈으로 국가재정 들여다보기> 발간 [사회공공연구소 정책보고서] 진보운동의 대안재정전략은 '사회임금' 최근 경제위기를 맞아 세계적으로 국가재정의 역할이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이명박정부는 올해 재정적자를 이유로 내년도 예산을 줄이는 재정긴...
    Date2009.07.29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845
    Read More
  20. 누가 우리를 석유중독자로 만들었는가?

    누가 우리를 석유중독자로 만들었는가? [오일홀릭①] 세계7위 소비국…석유중독과 석유자본 카르텔 어떤 사람들은 현대를 석기-청동기-철기에 뒤이은 플라스틱기라 칭하기도 한다. 플라스틱이 곧 석유의 산물이므로 현대 인류사회를 ‘석유기’라 명명해도 큰 무...
    Date2009.07.29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73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55 Next
/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