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돈보다생명

기립표결 보다 못한 전자투표시스템

by 관리자 posted Jul 29,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세계의 모범이라고 자랑하더니...
기립표결 보다 못한 전자투표시스템




  
22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미디어 관련법 중 신문법 개정안에 대한 표결 상황을 표시한 국회 본회의장 전광판.
ⓒ 김윤상
미디어법


'7·22 미디어법 날치기' 과정에서 드러난 대리투표 의혹은 지난 2002년과 2005년에도 제기된 바 있다.  

 

지난 2002년 11월 12일 47개 민생관련 법안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의결정족수가 모자라자 당시 여당이던 민주당의 일부 의원들이 자리를 비운 자당 의원을 대신해 표결 버튼을 누른 장면이 언론에 발각됐다. 당연히 표결 결과는 무효화됐고, 재의결 절차를 밟았다. 

 

또한 지난 2005년 12월 9일 사립학교법 개정안을 처리하는 과정에서도 열린우리당의 대리투표가 이루어졌다는 의혹이 한나라당에 의해 제기됐다. 하지만 열린우리당이 전면부인했고, 결정적 증거도 나오지 않아 의혹에 그쳤다.

 

흥미로운 사실은 대리투표 의혹이 제기되기 직전인 2005년 9월 터치스크린 방식이 도입됐다는 점이다. 그런데 터치스크린 방식에 의한 대리투표 의혹이 불거진 다음에도 국회는 본인 인증절차 마련 등 보완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당시 야당이던 한나라당이 국회법 개정을 통해 '본인 확인장치 부착 의무화'를 추진하려고 시도했을 뿐이다.

 

만약 당시 본인 인증절차를 마련했다면 '표결 무효'라는 해석이 가능한 대리투표 사건은 일어나지 않을 게 분명하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디지털 전도사인 김형오 국회의장이 디지털 국회에 뒤통수를 맞았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전자투표장치, 박정희 정권 때 첫 도입... 하지만 사용된 적은 없어

 

  
미디어법 강행처리를 저지하기 위해 22일 국회 본회의장에 입장한 강기정 민주당 의원이 이윤성 부의장 앞으로 다가가 거세게 항의하자 경위들이 이 부의장을 필사적으로 에워싸 보호하고 있다.
ⓒ 남소연
미디어법 강행처리

지난 8일 국회에서는 일본, 중국, 터키, 호주 등 32개국 42개 의회사무처에 온 93명의 대표단이 참여한 가운데 아·태의회사무총장포럼 창립총회가 열렸다. 세계에서 모여든 각국 의회 대표단은 이날 오후 국회 본청의 '디지털 본회의장'을 구경했다.

 

국회사무처는 보도자료에서 "우리 국회의 디지털 본회의장과 인터넷 의사중계 및 전자 도서관을 시연함으로써, 지난 4월 세계의회사무총장회의에 이어 우리의 앞선 전자 의회 시스템을 세계에 홍보했다"며 이렇게 자랑을 늘어놓았다.

 

"실제 2005년에 문을 연 우리 국회의 전자 투표와 전자 의안 시스템은 세계적인 모범사례로 평가받고 있으며, 각국 대표단은 본회의장의 구축과 운용에 대한 다양한 질문을 통해 우리의 전자 의회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였다."

 

이날 한국의 '디지털 국회'를 견학한 각국 의회 관계자들은 자신들이 다녀간 지 14일 뒤에 한국의 국회 본회의장에서 대리투표가 이루어졌다는 소식을 접했을지도 모른다. 특히 전자투표 과정에 투표자 본인 인증 등 아무런 보안조치가 없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면 아마도 뒤통수를 맞은 느낌이 들었을 것이다. 

 

'최고의 IT강국' 한국의 고질적인 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보안문제가 대리투표 논란을 계기로 입법부 최고의결장소인 본회의장에서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는 셈이다.  

 

전자투표와 관련해 보안부분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지만, 국회 본회의장 표결이 전자투표로 정착된 과정은 쉽지 않았다. 국회에 전자투표장치가 설치된 때는 박정희 정권 시절인 지난 1975년 8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대통령이 뽑는 유신정우회가 국회의원의 1/3을 차지한 제9대 국회에서 각 의석 투표 스위치와 의원들의 투표내용이 표시되는 명판이 본회의장 전면에 설치됐다. 이 전자투표장치는 미국의 하논(HANNON)사에서 수입한 'HE-12911-10' 기종이었다.

 

국회사무처 의사과에서 작성한 '우리나라 국회 및 주요국 의회의 표결제도'(2001년) 논문을 보면 '최초'로 기록될 이 전자투표장치의 기능을 이렇게 설명해놓았다.

 

"전의원 명판(231석)이 전면에 설치되고 의석에 스위치(출석, 찬성, 반대, 기권)가 있어 의원이 해당 기능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하였으며 본회의에 참석한 의원이 출석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명판의 램프가 켜지고 출석의원 합계가 표시되도록 하였다.

 

기명투표시에는 명판 옆에 설치된 표시판에 찬성은 녹색, 반대는 적색, 기권은 황색으로 램프가 점등되고 투표결과 합계가 숫자로 표시되었다. 비밀투표시에는 표시판에 램프 표시가 안되고 출석인원, 찬성, 반대, 기권 등 투표결과만 숫자로 표시되도록 하였다."

 

하지만 1억5800만원이 들어간 이 전자투표장치는 한번도 사용하지 못한 채 1990년 12월에 철거됐다. 한마디로 유명무실했다는 얘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마다 900만원의 관리비용이 들어갔다.

 

'기록투표'에 강한 거부감... 잦은 이상으로 '밑빠진 독' 취급받아

 

  
한나라당이 22일 전례없는 재표결에 대리투표 논란까지 일으키며 미디어법 강행처리를 시도한 국회 본회의장에서 민주당 등 야당의원들이 '원천무효'를 주장하며 '날치기 상정'을 규탄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 남소연
미디어법 강행처리

전자투표장치가 이렇게 유명무실해진 배경에는 유신정권에 의해 투표결과가 조작될 수 있다는 의심과 의원들이 전자투표장치 사용에 미숙해 표결에 중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자리잡고 있었다. 또한 처음 설치 때 231개 의석에만 전자투표 장치가 설치됐지만, 이후 의석이 계속 증가(231석→276석→299석)해온 것도 현실적인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그러나 전자투표를 실시해야 한다는 요구가 끊임없이 제기됐다. 당시 본회의 표결은 여·야간 특별한 이견이 없는 안건에는 국회의장이 "이의 있습니까"라고만 묻고 이의가 없으면 곧바로 가결을 선포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의가 있는 경우에는 기립표결로 가·부를 가렸다. 기립표결은 찬·반 의원의 숫자만 기록했기 때문에 어떤 안건에 누가 찬성표 혹은 반대표를 행사했는지 알 수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전자투표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한 쪽은 학계와 시민단체들이었다. 의정활동의 공개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고,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의원들의 투표내용이 기록되는 전자투표를 도입하자는 주장은 점차 설득력을 얻어갔다.

 

김영삼 정부 시절인 1994년 6월에는 전자투표가 기명투표의 한 방법으로 국회법에 명기됐고 1997년 5월에는 9억9600만원의 예산을 들여 본회의장에 전자투표장치를 설치했다. 그러나 전자투표장치는 곧바로 활용되지 못했다. 의원들이 자신의 찬·반투표 내용이 공개되는 것을 꺼렸기 때문이다.

 

결국 한국 국회 최초의 전자투표는 김대중 정부 시절인 1999년 3월 9일에 이뤄졌다. 이날 본회의에서는 의약분업을 1년간 연기하는 내용의 약사법 개정안이 박준규 국회의장의 직권으로 전자투표에 부쳐져 가결됐다. 그러나 한동안 전자투표는 일반적인 투표방법으로 정착되지 못했다. 2000년 5월 15대 국회가 임기를 다할 때까지 전자투표 횟수는 9회에 불과했다. 

 

의원들은 자신의 선택을 즉각 공개하는 전자투표에 강한 거부감을 보였다. 2000년 2월 8일 선거법 개정안을 표결할 때 전자투표로 할 것인가를 두고 '표결 방법을 정하기 위한 표결'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당시 찬성 155표, 반대 125표, 기권 2표로 전자투표 방법이 가까스로 선택됐다.

 

이어서 같은 달 16일 전자투표를 본회의의 일반적인 표결방법으로 하는 국회법 개정안이 통과됐다. 이를 계기로 각 의원의 투표내용을 알 수 있는 기록표결의 일반화가 시작된 것이다. 그러나 전자투표를 실시한 횟수는 지지부진했다. 그것은 전자투표시스템이 잦은 고장을 일으켜 신뢰성을 잃었기 때문이다.

 

2000년 12월 28일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재석의원 247명 중 4명이 누락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러한 투표집계장치의 잦은 이상으로 이듬해 3월부터 8월까지 수리와 업그레이드 작업에 들어가면서 6개월 동안 전자투표는 실시되지 못했다.

 

시민단체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2001년 10월 국회 전자투표시스템에 대해 '밑빠진 독상'을 수여했다. 이 단체는 "지난 4년여 동안 본회의 전체표결 안건 92건 중 12건에만 전자투표를 했다"며 "사실상 전자투표장치가 무용지물로 전락해 설치비와 보수비 등 모두 11억3000만원의 예산이 낭비됐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수리를 마친 전자투표시스템은 점점 신뢰를 얻어갔고, 곧 일반적인 투표방법으로 자리잡아갔다.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5년 9월1일엔 '디지털 본회의장' 구축이 완료돼 기존 버튼식 전자투표장치에 터치스크린 투표가 병용되기 시작했다. 의안 등 각종 자료를 의석에 설치된 컴퓨터 화면을 통해 볼 수 있고, 연설시 관련자료를 대형 스크린에 띄울 수 있게 됐다. 이 시스템의 구축에는 약 83억원이 소요됐다.

 

"지문이나 홍체 등 생체인식시스템 도입 꼭 필요해"

 

  
한나라당이 22일 전례없는 재표결에 대리투표 논란까지 일으키며 미디어법 강행처리를 시도한 국회 본회의장에서 안상수 원내대표가 찬성표를 던지고 있다.
ⓒ 남소연
안상수

지난 2005년 대리투표 의혹이 제기된 이후 한나라당에서 '본인 확인장치 부착 의무화'를 핵심내용으로 하는 국회법 개정을 추진했지만 결실을 보지 못했다(상자기사 참조). 하지만 지난 22일 미디어법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대리투표 의혹이 불거지면서 전자투표방식을 보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민경배 경희사이버대 교수(NGO과)는 "유권자도 투표할 때 본인 인증 절차를 다 거친다"며 "의원 개개인에게 할당된 컴퓨터는 일종의 투표용지인데 투표과정에 본인 확인 절차가 없어 대리투표가 이루어졌다"고 지적했다.

 

민 교수는 "국회의원 신분에 믿음을 가지고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투표할 수 있도록 했는데 대리투표 의혹으로 인해 그런 믿음과 신뢰가 깨졌다"며 "이제 국회의원도 본인 인증절차를 밟아서 투표권을 행사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됐다"고 말했다.

 

민 교수는 본인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홍체나 지문 등 생체인식 시스템 도입을 제안했다.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기술은 지문인식이다. 그는 "전자감시 측면에서 인체정보를 가지고 본인을 확인한다는 것은 안좋은 방식인데 그런 방식을 의원에게 부과해야 하는 상황이 일어났다"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또한 20여년간 국회의원실에서 근무해온 고영대 보좌관(최인기 민주당 의원실)은 "국회의원의 양심을 믿었지만 컴퓨터가 본인인지 인식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언제든지 대리투표가 가능하다"며 "국회사무처가 '본회의장에 의원만 들어가기 때문에 자기 것 외에 손을 대지 않을 것'이라고 얘기하는 것은 초등학교 수준의 상황인식"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예를 들어 한 의원이 출석을 한 뒤 찬성표를 던지고 화장실에 갔는데 누군가 취소버튼을 누르면 끝난다"며 "국가운영을 좌지우지하는 법률안 처리를 이렇게 할 수 있느냐?"고 지적했다.

 

이어 고 보좌관은 "옛날에는 국회의장이 '찬성하시는 의원님들은 기립해주시기 바랍니다'라고 말하면 본회의장 뒤에 있던 표결사들이 앞으로 오면서 찬성, 반대, 기권을 집계했다"며 "현재처럼 대리투표가 일어나는 터치스크린 방식보다 (기립표결이) 더 낫다"고 말했다.

 

그는 "전자투표가 도입돼 편리해지긴 했지만 본인 인증 절차가 없기 때문에 향후에도 대리투표가 일어날 수 있다"며 "개별의원들에게 비밀번호를 부여해 본인임을 인증한 뒤 투표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회의 한 관계자는 "국회의원 신분증에 IC칩을 넣거나 지문 등 생체인식시스템을 도입해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히 대리투표를 한 경우 처벌조항이 없는데 재발방지 차원에서 국회법에 처벌조항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 4년 전 '투표기 본인확인장치 의무화' 추진

현재까지 대리투표 사실이 드러난 경우는 나경원 한나라당 의원과 강봉균 민주당 의원이다. 두 의원은 미디어법 처리시 본회의장에 참석하지 않았거나 참석했지만 투표에 참여하지 않았는데도 기권표로 처리됐다. 여당에 의해서든 야당에 의해서든 대리투표가 이루어진 점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한나라당이 4년 전 사학법 개정안 처리 과정에서 대리투표가 있었다고 의혹을 제기한 이후 본인 확인장치 부착을 의무화하는 국회법 개정을 추진했다는 점이다.

 

김기현 한나라당 의원은 2005년 12월 26일 국회 본회의장 등에 설치된 전자투표기에 지문인식시스템 등 본인 확인장치 부착을 의무화하는 국회법 개정안을 제출했다.

 

김 의원이 제출한 국회법 개정안에 따르면, '표결시 전자투표에 의한 기록표결로 가부를 결정한다'는 국회법 규정을 '표결시 투표자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장비가 설치된 전자투표기로 가부를 결정한다'로 바꾸었다. 터치스크린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생길 수 있는 대리투표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

 

당시 김 의원은 "전자투표는 본인의 투표 여부에 대한 확인이 불가능해 부정투표행위에 대한 논란과 의혹이 끊이지 않고 있다"며 "전자투표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생체인식시스템 등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만약 한나라당 소속의 김 의원이 제출한 국회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본인 확인장치가 부착됐더라면 '7․22 대리투표 사건'은 일어나지 않았을 게 분명하다. 

?

  1. 특별한 어떤것(보훈병원) 윤태호

    현재 인터넷에서 네티즌들과 만화(웹툰)로 소통하고 있는 강풀•박철권•양영순•윤태호 작가가 보건의료노동자의 이야기를 웹툰으로 만들었습니다. 이야기 주제는 <보건의료노동자가 파업을 할 수밖에 없는 이유>, <의료민영화의 실체>, <획기적 건강보험 보장...
    Date2009.08.07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1070
    Read More
  2. No Image

    "쌍용공장 상공에 2급 발암물질 살포"

    "쌍용공장 상공에 2급 발암물질 살포" 의료전문가들 "성분분석 결과 암 유발"…경찰 "인체 무해" 경찰이 헬기를 동원해 쌍용차 평택공장에 살포하고 있는 최루액에서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신경 독성 물질인 ‘디클로로메탄’이 검출돼 충격을 주고 있다. 사람이 ...
    Date2009.08.04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1312
    Read More
  3. 민주당 “68명 사전투표 의혹”

    민주당 “68명 사전투표 의혹” 이인숙·장관순기자 sook97@kyunghyang.comㅣ경향신문 ㆍ동영상 추가 공개 “재투표 법리적 효력 상실” ㆍ한나라 “개시 전 투표 불가능… 무지한 주장” 민주당 전병헌 의원이 3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도중 국회 본회...
    Date2009.08.04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642
    Read More
  4. 광화문광장의 ‘그림자’… 개방 후 첫 충돌

    위반 무더기 연행 ㆍ‘표현의 자유’ 가늠 상징적 ‘갈등’지역으로 3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야당과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광장의 집회 허용’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하는 사이 경찰이 방패로 주위를 에워싸고 있다. 김기남기자경찰이 3일 서울 세종로 광화문광장...
    Date2009.08.04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701
    Read More
  5. 보훈병원지부 파업 6일차 현장

    ⓒ 강동시민연대 ⓒ 보건의료노조 교육선전실 ⓒ 보건의료노조 교육선전실 ⓒ 보건의료노조 보훈병원지부 ⓒ 보건의료노조 보훈병원지부 ⓒ 보건의료노조 보훈병원지부 ⓒ 보건의료노조 보훈병원지부 ⓒ 보건의료노조 교육선전실 ⓒ 보건의료노조 보훈병원지부 ⓒ 보건...
    Date2009.08.04 Category지부소식 By관리자 Views1353
    Read More
  6. 기로에 선 쌍용차 노동자들

    기로에 선 쌍용차 노동자들 3일간 마라톤협상 결렬...다시 '힘 대 힘'의 대결로 배혜정 기자 function toggle(qaid) { if( window.document.all(qaid).style.display == "none" ) window.document.all(qaid).style.display = ""; else window.document.all(qa...
    Date2009.08.03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739
    Read More
  7. [쌍용차 노사협상 결렬]단전 조치까지…사측 “3일 공장 진입”

    [쌍용차 노사협상 결렬]단전 조치까지…사측 “3일 공장 진입” 평택 | 최인진기자 ijchoi@kyunghyang.comㅣ경향신문 ㆍ홍희덕의원 “협상 한창이던 31일 경찰투입계획 확정” 용역에 막힌 생수전달 쌍용자동차 노사 협상이 결렬된 2일 경기 평택시 쌍용차 공장 앞...
    Date2009.08.03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587
    Read More
  8. 민주 ‘대리투표 동영상 7건’ 공개

    민주 ‘대리투표 동영상 7건’ 공개 최우규·김광호기자 banco@kyunghyang.comㅣ경향신문 ㆍ“오늘은 빙산의 일각…추가 자료 내겠다” ㆍ한나라 “손 대고있다는 정황은 의미없어” 앞자리 터치하고 뒷자리도 터치 민주당이 지난달 22일 미디어법의 국회 처리 당시 한...
    Date2009.08.03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664
    Read More
  9. [원자력의학원] 정부의 선진화방안 맞서 2009년 투쟁 승리하자!

    원자력의학원지부, 30일 300여명 참가한 가운데 조합원 결의대회 개최 임금삭감과 대졸초임 삭감, 구조조정 등 정부의 공공기관 선진화방안에 맞서 원자력의학원지부가 투쟁을 선포했다. 원자력의학원지부는 30일 원자력병원 1층 로비에서 2009년 산별현장교...
    Date2009.08.03 Category지부소식 By관리자 Views1355
    Read More
  10. [보훈병원 파업 3일차] 보건의료노조 기자회견 개최 및 대구보훈병원 타격투쟁 전개

    보건의료노조는 보훈병원 파업 3일차를 맞는 3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국가 유공자를 위한 최고의 보훈병원을 만들기 위해 31일부터 공공의료 지키기 투쟁에 본격적으로 돌입할 것’을 선포했다. 보건의료노조 기자회견은 보건의료노조 중앙 지도부와 보훈병원 ...
    Date2009.08.03 Category지부소식 By관리자 Views2349
    Read More
  11. 쌍용자동차 조합원 건강 치명적 악화

    쌍용자동차 조합원 건강 치명적 악화 교육선전실 민주노총, 29일 평화행진…물과 의약품 전달 의약품 차단으로 발가락 절단 위기 평택 쌍용자동차 조합원들의 건강이 치명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오늘로 69일째 옥쇄 파업을 벌이고 있는 조합원들은 물·음식·의...
    Date2009.07.30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708
    Read More
  12. 한명도 내줄 수 없다!!! [보훈병원지부 파업 전야제]

    [현장] 병원 대팀제 저지! 단체협약 개악안 폐기! 구조조정 저지! 383명 정원 감축 철회! 비정규직 철폐! 비정규직 고용보장! 2009년 산별현장교섭 승리를 위한 보훈병원지부 파업 전야제 “한명도 내줄 수 없다, 구조조정 저지!” “20년 지켜온 단체협약, 사수...
    Date2009.07.29 Category지부소식 By관리자 Views1553
    Read More
  13. No Image

    아이 낳기 좋은 세상? 시장논리론 무자녀가 합리적

    아이 낳기 좋은 세상? 시장논리론 무자녀가 합리적 저출산ㆍ고령화 문제의 원인과 대책 2009-07-28 ㅣ 이은경/새사연 비상임연구원, 청년한의사회 정책국장 저출산ㆍ고령화 문제의 원인과 대책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PDF 아이콘을 눌러 파일을 다운로드 받...
    Date2009.07.29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1253
    Read More
  14. 기립표결 보다 못한 전자투표시스템

    세계의 모범이라고 자랑하더니... 기립표결 보다 못한 전자투표시스템 출처 : 세계의 모범이라고 자랑하더니... 기립표결 보다 못한 전자투표시스템 - 오마이뉴스 ▲ 22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미디어 관련법 중 신문법 개정안에 대한 표결 상황을 표시한 국...
    Date2009.07.29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999
    Read More
  15. No Image

    허울 뿐인 규제, 거대 신문·자본에 방송문 ‘활짝’

    허울 뿐인 규제, 거대 신문·자본에 방송문 ‘활짝’ [해설]여론 다양성 훼손 우려 … 한미FTA에도 없던 외국인 지분 허용도 2009년 07월 29일 (수) 00:41:55 안경숙·권경성 기자 ( media@mediatoday.co.kr) 적법 처리 논란을 빚고 있는 미디어 관련법 개정안의 ...
    Date2009.07.29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623
    Read More
  16. <진보의 눈으로 국가재정 들여다보기> 발간

    <진보의 눈으로 국가재정 들여다보기> 발간 [사회공공연구소 정책보고서] 진보운동의 대안재정전략은 '사회임금' 최근 경제위기를 맞아 세계적으로 국가재정의 역할이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이명박정부는 올해 재정적자를 이유로 내년도 예산을 줄이는 재정긴...
    Date2009.07.29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845
    Read More
  17. 누가 우리를 석유중독자로 만들었는가?

    누가 우리를 석유중독자로 만들었는가? [오일홀릭①] 세계7위 소비국…석유중독과 석유자본 카르텔 어떤 사람들은 현대를 석기-청동기-철기에 뒤이은 플라스틱기라 칭하기도 한다. 플라스틱이 곧 석유의 산물이므로 현대 인류사회를 ‘석유기’라 명명해도 큰 무...
    Date2009.07.29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735
    Read More
  18. ㆍ단수 일주일째, 못 먹고 못 자고 못 씻고 “고사작전에 자살 충동”

    못 먹고 못 자고 못 씻고 “고사작전에 자살 충동” 평택 | 최인진기자 ijchoi@kyunghyang.comㅣ경향신문 ㆍ단수 일주일째… 참혹한 쌍용차 도장공장 내부 ㆍ“부상 60여명은 당장 수술·응급치료 필요” 쌍용차 평택공장 도장공장에서 농성 중인 노조원들이 물과 음...
    Date2009.07.29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624
    Read More
  19. No Image

    최루액 사용 OK하는 인권위원장?

    최루액 사용 OK하는 인권위원장? 인권단체, 현병철 위원장 규탄…"ICC 의장 선출반대 서한 전달" “경찰은 자칫 치명적인 상처를 가할 수 있는 봉지형태의 최루액과 전자 충격기 등 경찰장비 사용에 있어서, 관련 규정을 철저히 준수하고 최대한 신중을 기해주...
    Date2009.07.28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540
    Read More
  20. “해고는 살인이다! 기획해고 당한 비정규직은 현장으로 돌아가야 한다!”

    보건의료노조, 24일 국회 앞에서 비정규직 기자회견 진행 ⓒ 보건의료노조 교육선전실 ⓒ 보건의료노조 교육선전실 ⓒ 보건의료노조 교육선전실 ⓒ 보건의료노조 교육선전실 ⓒ 보건의료노조 교육선전실 ⓒ 보건의료노조 교육선전실 2009년 7월 1일 비정규직법 시행...
    Date2009.07.28 Category지부소식 By관리자 Views98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55 Next
/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