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돈보다생명

"의료민영화 부작용, 중소병원·개원가 몰락"

by 노안부장 posted Jul 06, 200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의료민영화 부작용, 중소병원·개원가 몰락"
신영전 교수, 의료계-국민에 미치는 영향 너무 커
▲ 4일 전현희 의원실 주최로 열린 '18대 국회 보건복지정책의 나아갈 방향' 토론회.
의료영리화가 진행될 경우, 국민의 건강권에 대한 위협은 물론 중소병원과 소규모 개원가의 몰락 등 의료계에도 심각한 폐해가 나타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준비가 덜 된 상황에서 의료영리화를 무리하게 추진하기 보다는 의료전달체계 확립, 공공부문 역할 강화, 지불보상제도 개편 등 기본적인 정책과제들을 먼저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양의대 신영전 교수는 4일 통합민주당 전현희 의원실 주최로 열린 '18대 국회 보건복지정책의 나아갈 방향'이라는 주제로 토론회에서 이 같이 밝혔다.

신 교수는 이날 토론회에서 의료민영화로 인해 부작용에서, 의료계도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고 경고했다.

그는 먼저 "이윤을 기초로 한 병원의 폐쇄와 합병이 활발해지면서 병원관련 노동자의 실업, 고용불안정, 노동강도의 강화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중소병원들의 파산과 개원가의 몰락도 예상된다"면서 "특히 대형자본 즉 보험회사 중심으로 의료체계가 수직적으로 개편되면서, 개원가가 보험회사 직원화될 가능성도 높다"고 밝혔다.

또 신 교수는 의료민영화에 따른 국민들의 피해도 생각보다 클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의료민영화가 추진될 경우 주주들이 병·의원들에 원가를 낮추고 이윤을 높이도록 독려할 것"이라면서 "이는 진료비의 증가와 서비스 질의 감소 등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진료비 증가에 따른 건강보험보장성의 축소도 예상된다"면서 "이 경우 비싼 보험료를 감당하지 못해 상당수 국민들이 건강보험에 가입하지 못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의료전달체계 확립, 지불보상체계의 개편, 비급여부문의 제도화 시급"

신 교수는 특히 보건의료부문에 대한 기본적인 합리성 확보없이는, 의료영리화를 위한 어떠한 시도도 성공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전국민의료보험 등을 통한 보편적 접근성 확보, 진료비의 낭비를 줄이기 위한 방안 마련 등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것.

그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의료전달체계의 확립, 지불보상체계의 개편, 비급여부문의 제도화 등을 제안했다.

신 교수는 "현재 우리나라 의료체계는 의원과 대형병원이 외래환자를 놓고 다투는, 혼란스러운 형국에 있다"면서 "국민주치의제도 등을 통해 일차의료를 강화하는 한편 3차는 3차답게 외래를 제한하는 등 전달체계를 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의 행위별 수가제 또한 밑빠진 독에 물 붓는 격"이라고 지적하면서 "총액예산제 등 국민이 건강할 수록 돈을 버는 방식, 낭비를 줄이는 방식으로 지불제도를 개편해야 수가의 합리화하는 등 진료비의 낭비를 줄이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신 교수는 경영의 투명성 확보를 위해 비급여부문을 제도화해 모든 의료서비스를 제도권내로 끌어들이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기반없는 정책은 실패…의료영리화 영향 평가 필요"

신영전 교수는 이 같은 논리를 바탕으로, 보건의료정책의 발전을 국회의 역할에 대해 몇가지 제언을 남겼다.

그는 먼저 여당인 한나라당측에 "복지혜택을 줄이는 정책은 민심의 이반으로 이어지며, 특히 기반이 없는 정책은 실패할 수 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특히 그는 "보건의료는 서민들의 마지막 안전망으로 현재의 정책을 강행할 경우 잔여적 보건복지 안전망도 붕괴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이 경우 친 시장 정책의 성공가능성도 낮아질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야당에는 "보건복지정책은 야당 정첵성을 확보하기 위한 가장 핵심적인 영역"이라면서 진정한 야당으로서의 역할을 해달라도 당부했다.

그는 "최근 광우병 쇠고기 정국을 통해 나타나고 있는 민심에 부응해야 한다"면서 "의료의 공공성을 지지하는 시민사회영역과의 연대는 물론 영리지향적 타 부분 정책들에 대해서도 올바른 관계설정을 위해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고신정기자 taijism00@mgnews.co.kr
기사등록수정 일시 : 2008-07-05 / 07:15:07
?

  1. 병원인력 부족 심각…노사정 함께 조속히 문제 해결 나서야"

    병원인력 부족 심각…노사정 함께 조속히 문제 해결 나서야" 보건의료노조,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병원인력 충원 방안 모색 국회 대토론회’ 열어 선전국 보건의료노조는 8일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병원인력 충원 방안 모색 국회 대토론회'를 열었다...
    Date2008.07.10 Category지부소식 By관리자 Views780
    Read More
  2. No Image

    간호사 부족, 5만 시대 열리나

    간호사 부족, 5만 시대 열리나 이용균 연구실장, 노령화·공급병상 증가 등 문제점 산적 향후 연 10% 정원증대방안 모색해야 앞으로 4만 5000여 명의 간호사가 부족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용균 한국병원경영연구원 연구실장은 8일 ‘간호사 인력난 해결을...
    Date2008.07.09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898
    Read More
  3. No Image

    병원인력 공급 대책 마련 촉구

    병원인력 공급 대책 마련 촉구 보건의료노조, 국회 토론회에서 강조…노사 및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 촉구 보건의료노조가 부족한 국내 병원인력의 충원을 위한 종합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 보건의료노조는 '병원 인력 충원 방안 모색 국회 대토론회'를 ...
    Date2008.07.09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1109
    Read More
  4. No Image

    간호인력부족 원인·해법에 이견

    간호인력부족 원인·해법에 이견 '신자유주의적 보건의료정책' vs '절대적 공급 부족' 병원의 간호인력부족 문제에 대한 원인·해법을 놓고 상충된 의견이 나와 눈길을 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 8일 개최한 국회 토론회에서 인하대 경제학부 윤진호 교...
    Date2008.07.09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1133
    Read More
  5. No Image

    "외국간호사 도입 등 현실적 대책 마련하라"

    "외국간호사 도입 등 현실적 대책 마련하라" 병원계, 간호사 인력난 근본적 해결책 요구…복지부, 원론적 대책 되풀이 등록 : 2008-07-08 12:43 민주당 김춘진 의원과 대한병원협회가 8일 오전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간호사 인력난 해결을 위한 대토론회’를 열...
    Date2008.07.09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981
    Read More
  6. No Image

    제주도, 영리병원 허용 물꼬 틔우나

    제주도, 영리병원 허용 물꼬 틔우나 ‘3단계 제도개선안' 9월 정기국회 제출될 듯…정부·여당 우호적 분위기 등록 : 2008-07-09 06:53 의료영리화 논란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지역이 제주특별자치도다. 제주도는 시민사회단체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도내 영리의...
    Date2008.07.09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835
    Read More
  7. No Image

    보건노조·병협, 각각 따로 ‘병원 인력난 토론회’ 개최

    “중소병원 간호사 구인난, 낮은 임금 탓?" 보건노조·병협, 각각 따로 ‘병원 인력난 토론회’ 개최 "병원마다 수가 동일한데 월급은 반토막" ↔ "인력공급 절대적 부족" 등록 : 2008-07-09 07:34 중소병원의 간호사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공공성 확대’와 ‘...
    Date2008.07.09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821
    Read More
  8. No Image

    [병원인력 토론회]"월급 100만원 받고 일하겠나" "5천명 증원"

    "월급 100만원 받고 일하겠나" "5천명 증원" 간호 인력난 해결 견해차 뚜렷…복지부도 해법 없이 고심만 ▲ 대한병원협회와 김춘진 의원실 주최로 열린 '간호인력난 해결을 위한 정책토론회'.범 의료계가 간호인력난 해결을 위해 다시한번 한자리에 모였으나, ...
    Date2008.07.09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808
    Read More
  9. No Image

    병원인력 토론회 "하루 10시간 근무 기본…밥도 못 먹고 일해"

    "하루 10시간 근무 기본…밥도 못 먹고 일해" 보건노조 설문조사, 경영진 투자미흡 인력부족으로 이어져 "1일 기본 10시간 이상 근로하며, 식사를 하지 못하고 일하는 경우가 더 많다" function view_report(issue_no) { var link_page = 'http://www.medigate...
    Date2008.07.09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872
    Read More
  10. No Image

    두산 인수 중대의료원, 구조조정 신호탄?

    두산 인수 중대의료원, 구조조정 신호탄? 새 이사진, '통신운영팀' 통합 언급…내부적 우려감 팽배 두산 그룹에 인수된 후 끊임없이 구조조정에 대해 우려하던 중대의료원이 새로운 이사진들의 움직임에 다시금 불안감을 표출하고 있다. 두산 인사들로 구성된 ...
    Date2008.07.09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1055
    Read More
  11. No Image

    보건의료뉴스 7/7[건강세상네트워크]

    <7월 8일 보건의료뉴스>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에 전재희 의원 이명박 대통령, 7일 3개부처 개각 단행 새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에 3선의 한나라당 전재희 의원(59)이 내정됐다. 이명박 대통령은 7일 오후 2시경 복지부 등 3개 부처에 대한 개각을 단행했다. 이 대...
    Date2008.07.09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916
    Read More
  12. 4일 2차 축조교섭, 사측 개악안 공방으로 진전 없이 끝나

    4일 2차 축조교섭, 사측 개악안 공방으로 진전 없이 끝나 선전국 산별교섭의 파국을 막기 위해 노조의 전격적인 제안으로 열린 4일 2차 축조교섭에서 사측이 또 한번 개악안을 들고 나와 노조의 분노를 샀다. ⓒ 보건의료노조 교육선전실 사측 또 개악안 다뤄야...
    Date2008.07.09 Category지부소식 By관리자 Views861
    Read More
  13. No Image

    "보건의료는 국민들 최후의 안전망"

    "보건의료는 국민들 최후의 안전망" 신영전 한양대의대 교수, 국회 심포지엄서 조언 이성호 기자 lee@medifonews.com 등록일: 2008-07-07 오전 5:32:44 의대교수가 여-야당에게 앞으로의 보건의료정책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해 관심을 끌었다. 신영전 한양대 의...
    Date2008.07.07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766
    Read More
  14. No Image

    서비스직 여성노동자 근골격질환 74%에 달하는 등 건강상태 심각

    서비스직 여성노동자 근골격질환 74%에 달하는 등 건강상태 심각[메디컬투데이 조세훈 기자] #사례1. 대형마트의 캐셔(계산원)으로 일하는 A씨. 화장실을 가고 싶어도 눈치가 보여 가지를 못한다. 점포에 인원도 적어서 고객이 밀리면 생리적인 현상도 참아...
    Date2008.07.07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1097
    Read More
  15. No Image

    제주대 교수들 "내국인 영리병원 허용 반대"

    제주대 교수들 "내국인 영리병원 허용 반대" 집단으로 공동성명서 발표…"건보제도 부유층·서민층으로 이원화돼" 등록 : 2008-07-07 12:11 제주특별자치도가 내국인 영리법인 병원을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제주대 교수들이 집단적으로 이에 반...
    Date2008.07.07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835
    Read More
  16. No Image

    "의료민영화 부작용, 중소병원·개원가 몰락"

    "의료민영화 부작용, 중소병원·개원가 몰락" 신영전 교수, 의료계-국민에 미치는 영향 너무 커 ▲ 4일 전현희 의원실 주최로 열린 '18대 국회 보건복지정책의 나아갈 방향' 토론회.의료영리화가 진행될 경우, 국민의 건강권에 대한 위협은 물론 중소병원과 소...
    Date2008.07.06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874
    Read More
  17. No Image

    민영화 반대를 넘어 사회권 확보를![인권오름]

    민영화 반대를 넘어 사회권 확보를! [벼리 1] 생존에 필요한 모든 걸 시장에 맡기라고? 기사인쇄 명숙 촛불의 또 다른 주제 민영화 광우병 발생위험이 있는 쇠고기 수입 협상으로 촉발된 촛불집회가 40여일 넘게 이어지면서 ‘민영화 반대’라는 새로운 투쟁 의...
    Date2008.07.06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993
    Read More
  18. No Image

    필수업무 100% 유지하면서 파업해라?

    필수업무 100% 유지하면서 파업해라? 노동위원회, 가스·발전 필수유지업무 100% 결정 “파업 무력화 수단” 이꽃맘 기자 iliberty@jinbo.net / 2008년07월03일 13시13분 지방노동위원회가 필수공익사업장에 대한 필수유지업무 조정에서 필수유지업무 범위 100% ...
    Date2008.07.06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736
    Read More
  19. No Image

    조중동은 쓰레기 PD수첩 탄압반대!

    50만 명(주최측 추산)의 시민들은 '촛불이 승리한다! 국민이 승리한다!'는 59차 촛불문화제를 마치고 5일 밤 9시부터 행진을 시작했다. 서울 숭례문-명동-을지로를 거쳐 밤 10시20분께 종각 네거리에 도착한 시민들은 조계사를 지나 안국동 삼거리로 향하는 ...
    Date2008.07.06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1025
    Read More
  20. No Image

    대한민국 경찰국가 968명 연행, 부상 1천5백명, 그래도 촛불은 탄다

    대한민국 경찰국가 968명 연행 부상 1천5백명, 그래도 촛불은 탄다 [현장] 진보신당 천막당사 시민 격려… 사제단 행진 불참 2일 7시 시청에서 3번째 열린 ‘국민 존엄을 선언하고 이명박 대통령의 회개를 촉구하는 시국 미사’는 비가 오는 가운데 열렸다. 서울...
    Date2008.07.06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89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5 Next
/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