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enu

돈보다생명

구인광고로 해고 통보?

by 노안부장 posted Sep 01, 2008
?

Shortcut

Prev上一页 文章

Next下一页 文章

Larger Font Smaller Font 向上 向下 Go comment 打印
?

Shortcut

Prev上一页 文章

Next下一页 文章

Larger Font Smaller Font 向上 向下 Go comment 打印

구인광고로 해고 통보?

성신여대 청소용역직 65명, 해고 4일 전 새 직원 뽑는 광고 발견

이꽃맘 기자 iliberty@jinbo.net / 2008년08월28일 11시49분

신문 구석에서 발견한 구인광고

20년 동안 성신여대에서 청소를 했던 나종례 씨는 어제(27일) 알았다. 자신이 4일 후면 더 이상 성신여대에서 일할 수 없다는 사실을.

1989년에 아는 사람의 소개로 성신여대에서 청소용역직으로 일을 시작한 나종례 씨는 그간 용역업체가 많이 바뀌었지만 그 때마다 별 문제 없이 일을 해왔다. 새벽 6시가 조금 넘은 시각부터 학교에 나왔다. “화장실부터 깨끗해야 학생들이 열심히 공부하잖아” 이런 맘으로 나종례 씨는 학교 곳곳을 쓸고 닦았다. 그런데 어제, 구인광고가 실리는 신문 구석에 광고가 하나 실렸다.

▲  신문에 실린 구인광고

“남녀 미화원 급구, 대학교청소, 60세 미만, 남 5명 월 100, 여 60명 월 84, 06:30~15:30, 주 5일, 벧엘 엄실장”

이상한 느낌이 들었다. “이 동네에 대학교?” 그리고 전화를 걸었다. “광고보고 전화했는데요. 대학교에서 청소할 사람 구한다면서요? 어느 학교죠?” 돌아온 답변은 “성신여대요”. 그게 그녀에게는 해고 통보였다. “사람 다 차 가니까 내일 아침 일찍 오세요” 이미 그녀를 대신할 사람들이 있었다. 그녀는 20년을, 청춘을 다 바쳐서 최선을 다해서 일했다고 생각했다. 70만 원 조금 넘는 돈을 받고 일했지만 자식들에게 손 벌리지 않고 살겠다는 자존심으로 열심히 일했다. 이렇게 열심히 일했으니 잘릴 일은 없을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이대로면 그녀는 9월 1일이면 직장을 잃는다.

성신여대 측, “용역업체에서 알아서 할 일”

그녀와 같은 상황에 처한 노동자들이 65명이다. 그녀들은 민주노총 공공노조 서울경인공공서비스지부 성신여대분회 조합원들이다. 그녀들은 이게 무슨 일인지, 정말 내가 해고가 된 것인지, 정말 내가 더 이상 성신여대에서 일할 수 없는지 확인하고 싶었다. 물어보고 싶었다. 그래서 오늘(28일) 아침 8시, 학교 앞에 모였다. 그녀들은 “대화를 하자”는 것이었다. 그러나 성신여대 측은 건물 문을 꼭 꼭 잠궜다.

▲  성신여대 행정관 앞에 성신여대분회 조합원들이 모였다.

성신여대 총무팀 관계자는 기자와의 전화 통화에서 “용역업체에서 알아서 할 일이라 우리가 고용을 승계해라 마라 할 수 없다”라며 “그 전에 그 아줌마들이 계속 일할 수 있었던 것은 용역업체에서 사람 구하기도 어렵고 하니까 알아서 한 것이지 우리가 관여할 바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녀들도 이런 일이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재계약을 앞두고 지난 7월부터 노조를 통해 성신여대에 공문도 넣고, 찾아가기도 하고, 전화도 하면서 “대화를 하자”고 요구했다. 그녀들은 용역업체를 선정하는 것이 성신여대이기 때문에 성신여대가 용역업체에 그녀들의 고용을 보장하라고 요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아니 고용 보장을 전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원청’의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내가 살려고 만든 노조” 그러나 돌아온 건 해고

그녀들은 그간 별 문제없이 계속되어 왔던 고용이 어렵게 된 것이 노동조합을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나종례 씨는 “내가 살려고 노조를 만들었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녀는 지금 분회장이라는 큰 역할을 맡고 있다.

▲  나종례 성신여대분회 분회장의 얼굴에 시름이 깊다.

“성신여대 직원들은 우리 인사도 안 받았어요. 그리고 나선 인사 안한다고 뭐라 하더라구요. 그래서 직원들 지나가면 뒷통수에 대고 열심히 인사 했죠. 우리는 인간도 아니었어요. 우리가 청소를 해도 인간이고, 사람이에요”

성신여대분회는 작년 9월 14일 만들어졌다. 노조를 만들고 나서야 그녀들은 최저임금을 받을 수 있었다. 그녀들의 임금은 노조를 만든 이후 월급이 71만 원에서 79만 원으로 올랐다. 2007년 법정 최저임금은 한 달에 78만 6천 480원이었다. 이에 대해 성신여대 총무팀 관계자는 “용역회사한테 아줌마들 너무 조금 받는 것 같으니까 줄일 거 줄이고 경영합리화 해서 최저임금 보장해 주라고 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청소용역직 아줌마들의 임금이 원청인 성신여대 측의 요구로 바뀔 수 있었다는 것이다.

아줌마들이 노동조합 활동을 했던 것이 용역업체 선정과정에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한 기자의 질문에 대해 이 관계자는 “용역회사에 불만이 있으면 용역회사 앞에 가서 데모를 해야 하는 것 아닌가. 외부행사도 있고 학생들이 공부도 하고 그런데 민주노총이 와서 선동을 하고 시끄럽게 해 학교의 이미지를 실추시키면 안 되는 것 아닌가. 합법적인 노조 활동이야 우리가 막을 수 있는 부분은 없는데, 이런 부분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할 순 없고 복합적으로 판단해 용역업체를 선정한 것”이라고 답했다.

“이런 곳에서 아이들이 무엇을 배우겠는가”

갑작스런 소식에 아침부터 성신여대 행정관 앞에 모인 성신여대분회 조합원들은 “청춘을 다 바쳤는데, 해고가 웬 말이냐”라며 분노했다. 그녀들은 오늘 오전까지 청소를 하고 나오는 길이었다. 소속 용역업체 관계자의 “일 안하면 퇴직금도 없고 월급도 안 준다”는 말 때문이었다. 어제는 갑작스런 대청소까지 했다. 화가 난 한 조합원은 “우리 일 하지 말자. 우리가 일 안 하면 어떻게 되는 지 저 사람들한테 보여줘야 한다. 여기서 죽는 한이 있어도 움직여서는 안 된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  그녀들은 오늘 오전까지도 청소를 하고 내려왔다.

하지만 시간이 얼마 없다. 내일이 지나면 주말. 월요일이면 새로 뽑은 용역업체 직원들이 학교로 들어올 것이다. 조합원들이 집회를 여는 중에도 옆에서는 이전 용역업체 관계자가 사직서 양식을 자기 메일로 보내달라는 전화 통화를 하고 있었다. 이 용역업체 관계자는 “한 달 전에 이미 성신여대 측과 계약 만료를 결정했고, 노조에도 알렸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노종례 분회장은 “거짓말 하지 말아라. 언제 우리에게 알려 줬는가”라고 분노했다.

집회에서는 조합원들의 분노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우리가 뭐 어려운 것 바라냐. 대화 하자는 거다. 자초지종을 들어보자는 거다. 근데 문 꼭 꼭 잠그고 뭐하는 거냐. 이런 곳에서 아이들이 뭘 배우겠는가. 가슴이 너무 떨린다. 이럴 순 없다. 너무 비겁한 행동이다. 이럴 거였냐. 월요일이면 새 사람들이 오는데...”

진보넷 아이디가 있으면 누구나 참세상 편집국이 생산한 모든 콘텐츠에 태그를 달 수 있습니다. 이 기사의 내용을 잘 드러내줄 수 있는 단어, 또는 내용중 중요한 단어들을 골라서 붙여주세요.
태그: 원청 / 성신여대 / 성신여대분회 / 청소용역직 / 재계약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

  1. 구인광고로 해고 통보?

    구인광고로 해고 통보? 성신여대 청소용역직 65명, 해고 4일 전 새 직원 뽑는 광고 발견 이꽃맘 기자 iliberty@jinbo.net / 2008년08월28일 11시49분 신문 구석에서 발견한 구인광고 20년 동안 성신여대에서 청소를 했던 나종례 씨는 어제(27일) 알았다. 자신...
    Date2008.09.01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764
    Read More
  2. No Image

    [기고] 한 미등록 이주노동자의 이야기(3)

    16년간 머물렀던 한국을 떠나며 : 이주 동지들에게 [기고] 한 미등록 이주노동자의 이야기(3) 섀켈 아흐메드 샤킬(이주노조) / 2008년08월29일 10시18분 서울경인 이주노조(MTU) 전 위원장 직무대행을 맡았던 이주노동자 샤킬 씨가 16년 간의 한국생활을 마감...
    Date2008.09.01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570
    Read More
  3. No Image

    [기고] 한 미등록 이주노동자의 이야기(2)

    16년간 머물렀던 한국을 떠나며 : 이주노동자운동에 나서다 [기고] 한 미등록 이주노동자의 이야기(2) 섀켈 아흐메드 샤킬 (이주노조) / 2008년08월28일 10시35분 서울경인 이주노조(MTU) 전 위원장 직무대행을 맡았던 이주노동자 샤킬 씨가 16년 간의 한국생...
    Date2008.09.01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547
    Read More
  4. [기고] 한 미등록 이주노동자의 이야기(1)

    16년간 머물렀던 한국을 떠나며 : 한국에 왔다 [기고] 한 미등록 이주노동자의 이야기(1) 섀켈 아흐메드 샤킬(이주노조) / 2008년08월27일 10시47분 서울경인 이주노조(MTU) 전 위원장 직무대행을 맡았던 이주노동자 샤킬 씨가 16년 간의 한국생활을 마감하고...
    Date2008.09.01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936
    Read More
  5. No Image

    가스산업 사실상 민영화되나

    정부, 천연가스 도입·판매 완전경쟁 허용…지역난방공사는 주식매각 한국가스공사에만 허용됐던 천연가스의 도입과 판매가 완전 경쟁체제로 바뀌거나, 혹은 직도입이 확대된다. 상수도 민간위탁처럼 사실상 가스 민영화나 다름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국...
    Date2008.09.01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605
    Read More
  6. No Image

    뉴코아 노조의 굴복… 보수·경제지들 승자의 오만?

    뉴코아 노조의 굴복… 보수·경제지들 승자의 오만? [경제뉴스 톺아읽기] 주주들의 이익을 위해 노동자들은 얼마나 더 양보해야 하나 계산업무 외주화와 비정규직 해고에 항의해 400일 넘게 파업을 벌여 온 이랜드그룹 뉴코아백화점 노동조합이 지난달 29일 계...
    Date2008.09.01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570
    Read More
  7. No Image

    삼성서울병원, 글로벌 초일류 아시아 의료허브로 발전

    삼성서울병원, 글로벌 초일류 아시아 의료허브로 발전 최한용 신임 원장, 종합병원과 암센터 공동발전 비전제시 “제2의 도약, 글로벌 초일류, 아시아 최고병원을 만들어 아시아 의료허브로 발전시키고, 해외로 나가는 환자들을 적극 수용 할수 있는 의료서비...
    Date2008.09.01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786
    Read More
  8. No Image

    3차병원- 지역 병상총량제를 도입해서 중소병원 살리자

    민주노총 정책워크숍에서 서울대 이진석 교수 주장3차병원의 확장으로 병원간 격차가 커지고 그로 인해 국민들도 손해를 보고 있다며 3차병원에 대해 지역 병상총량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끈다. 민주노총은 지난 29일 주최한 정책 워크숍 '...
    Date2008.09.01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1228
    Read More
  9. No Image

    이름만 바꾼 '수돗물 민영화'... 논란 속 국민들 속만 탄다

    이름만 바꾼 '수돗물 민영화'... 논란 속 국민들 속만 탄다 상수도 민간위탁, 공공개혁인가 민영화 수순인가 2008-08-27 ㅣ 김일영 손우정/새사연 연구원 환경부와 한나라당은 지난 8월 24일 ’물산업 지원법’에 ’상하수도 서비스 개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
    Date2008.08.29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986
    Read More
  10. No Image

    5년간 5배로 뛴 유가... 원인은 실수요의 15배가 넘는 투기수요

    최근 유가의 무서운 상승세는 한국을 포함한 세계 경제에 큰 짐으로 다가오고 있다. 고유가는 ‘석유경제체제’에서 필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게 되고 경기침체의 근원적 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과연 유가는 얼마나 오른 것일까? 본론에 앞서 그 ...
    Date2008.08.29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774
    Read More
  11. No Image

    오세철교수 부인 “5명이 갑자기 들이닥쳐 연행해갔다”

    오세철교수 부인 “5명이 갑자기 들이닥쳐 연행해갔다” 입력: 2008년 08월 27일 13:58:58 “이명박 대통령의 하나님과 나의 하나님은 다른 것 같다.” 26일 반국가단체 구성 혐의로 체포된 진보학자 오세철 연세대 명예교수(경영학) 부인 유승희씨는 27일 오교수...
    Date2008.08.29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887
    Read More
  12. No Image

    0828 보건의료뉴스[건강세상네트워크]

    <8월 28일 보건의료뉴스> '행위별수가' 집중 타깃…그럼 대안은 29일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워크숍, 공단‧시민단체 등 논의 예정 건강보험공단(사회보험노조)과 가입자 대표측이 향후 추진해야 할 건강보험 개혁과제 중 하나로 현행 행위별수가제를 지목했다. ...
    Date2008.08.29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601
    Read More
  13. "민간의료보험은 국민건강권 보장 대안 아니다"

    "민간의료보험은 국민건강권 보장 代案 아니다" '건강보장성 강화 정책 워크숍'서 서울대 이진석 교수 주장   현재 논의가 활발한 민간의료보험이 국민건강권 보장을 위한 대안이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29일 민주노총 9층 교육관에서 개최되는 ‘건강보...
    Date2008.08.29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733
    Read More
  14. No Image

    ‘보훈병원’ 타결로 올해 산별교섭 ‘완전 타결’

    ‘보훈병원’ 타결로 올해 산별교섭 ‘완전 타결’ 임금총액 1.7% 인상 합의…보건노조 “이제 현장교섭 집중” 등록 : 2008-08-27 11:53 지난 26일 보건의료노사 양 측이 올해 산별교섭에 대해 잠정적인 ‘실무 합의’를 이끌어낸 와중에도 타결이 불투명했던 ‘보훈병...
    Date2008.08.29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770
    Read More
  15. No Image

    산별교섭 극적 타결···임금 4~5% 인상 합의

    산별교섭 극적 타결···임금 4~5% 인상 합의 총파업 하루 앞두고 합의점 찾아···사립대병원 4.2% 인상 전국보건의료산업노조와 병원 사용자간의 산별교섭이 총파업을 하루 앞둔 오늘 오후 극적으로 타결됐다. 노사 양측은 26일 낮부터 서울지방노동청 남부지청...
    Date2008.08.27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755
    Read More
  16. 26일 산별 잠정합의 이은 타결행진, 보훈병원도 극적 타결

    26일 산별 잠정합의 이은 타결행진, 보훈병원도 극적 타결 26일 연속 타결행진: 산별실무합의, 원자력의학원․보훈병원 합의, 산재의료원․광주기독병원 합의 선전국 조회수: 122 / 추천: 0 산별총파업을 하루 앞둔 26일, 전국 12개 거점에서 파업 전야제를 개최...
    Date2008.08.27 Category지부소식 By관리자 Views980
    Read More
  17. [26일 17:00 현재] 산별교섭 극적 실무합의

    [26일 17:00 현재] 산별교섭 극적 실무합의 특성교섭 진행 중인 보훈병원 미타결…26일 총파업 전야제, 27일 총파업 예고 교육선전실 조회수: 704 / 추천: 1 산별총파업을 하루 앞둔 26일 오후 5시 2008년 산별중앙교섭이 극적으로 실무합의를 이뤘다. 노사 양...
    Date2008.08.27 Category지부소식 By노안부장 Views858
    Read More
  18. No Image

    주요 사립대병원 부분 넘어 총파업 임박

    주요 사립대병원 부분 넘어 총파업 임박 오늘 전야제후 돌입…대각선 교섭 난항 일부 대형병원 불가피 사립대병원을 중심으로 한 보건의료노조의 파업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파업 예정 사업장이 대부분 대규모 사립대병원이어서 파장이 예상된다. 보건노조...
    Date2008.08.26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672
    Read More
  19. No Image

    물 민영화? 운하에 물대려고?

    물 민영화? 운하에 물대려고? 외국 실패 증명돼, 물값↑ 단수가정↑… 장사꾼 MB의 속셈 그가 말했다. ‘수도, 전기, 가스, 의보’ 4대 공공부문은 ‘민영화’하지 않겠다고. 두 달 만에 그는 스스로의 말을 뒤집었다. 붕어인가? 아니면 단기기억상실증인가? 기억을 ...
    Date2008.08.25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715
    Read More
  20. No Image

    기륭전자 직원들을 살려주세요.

    Date2008.08.25 Category영상뉴스 By노안부장 Views175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 155 Next
/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