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enu

돈보다생명

처참한 우리 아줌마노동자들

by 노안부장 posted Oct 23, 2008
?

Shortcut

Prev上一页 文章

Next下一页 文章

Larger Font Smaller Font 向上 向下 Go comment 打印
?

Shortcut

Prev上一页 文章

Next下一页 文章

Larger Font Smaller Font 向上 向下 Go comment 打印
처참한 우리 아줌마노동자들
[칼럼] 백만 원에 인간을 팔고, 누군가는 부동산으로 배불리고

최근 기륭전자 노조원들에게 폭력사태가 잇따랐다. 94일 간 단식농성으로 몸이 이미 상할 대로 상한 김소연 금속노조 기륭전자분회 분회장이 농성에 들어갔다가 경찰에게 끌려 나와 병원으로 후송됐다. ‘비정규직은 사람도 아니냐!’는 절규가 현장을 울렸다고 한다. 이것이 우리의 21세기다.

국민들은 기륭전자에서 노사분규가 일어나고 있다는 기사제목이야 간간이 봤겠지만, 노동자들(놀랍게도, 그들은 외계인이 아니라 우리 국민이다!)이 그동안 어떤 참담한 일을 당했는지에 대해선 모른다.

이것을 모르면 우리 노동자들이 왜 이렇게 처절하게 나서는지를 절대로 이해할 수도, 그 심정에 공감할 수도 없다. 국민이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심정에 공감하지 못하면 비정규직 문제는 절대로 풀릴 수 없다. 이것은 개별 사업장이나 일부 정치인이 아니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국민적 합의를 통해서만 풀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PD수첩> 785회엔 기륭전자 노동자들의 사연이 방영됐었다. 그것을 통해 이 분들의 그 기막힌 사연을 들어보자.

   
 
 

기륭전자 공장의 생산직 노동자 중 정규직은 15명, 계약직은 40명, 파견직은 223명이었다고 한다. 정확히 나뉘어진 신분이다. 정규직은 양민, 계약직은 천민, 파견직은 노비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같은 공장의 같은 노동자였다. 같이 일하는 사람들 사이에 존재하는 차별, 전형적인 봉건사회의 모습이다. 상여금도 정확히 이 신분순서에 따라 차등지급됐다.

차에 실려 간 곳, 기륭

서북부유럽은 비정규직이 우리처럼 많지도 않거니와 비정규직 차별을 금지하는 제도적 장치가 있어, 비정규직이 된다 해도 우리처럼 처절해지지 않을 수 있다. 결국 국가제도의 문제다. 그러므로 개별 사업장 차원이 아니라 국민적 합의의 차원에서 풀어야 할 사안이라고 한 것이다.

“처음에 파견업체인지도 모르고 들어갔고, 차에 실어서 다른 회사로 옮기더라고요. 나중에 보니까 기륭이더만. 이게 무슨 인신매매도 아니고 사람을 이런 식으로 파는구나.” - 한 해고 노동자

파견이 좋은 이유는 이 노동자들을 책임지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직접 고용하면 책임질 것이 많아진다. 파견으로 온 사람은 인간이 아니라 부품과 같다. 달면 삼키고 쓰면 뱉으면 그만이다.

노동자를 인간으로서 책임지지 않으려 하는 경향은 사회 도처에서 나타난다. 최근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위탁’이 그것이다. 위탁하면 돈만 지불하고 관리책임은 지지 않아도 된다. 이명박 정부가 추진하는 것은 대대적인 위탁이다. 민영화는 소유권을 팔아넘기는 것이고 위탁은 경영책임을 떠넘기는 것이다.

이 두 가지가 병행 추진된다. 교육부문으로 말하자면 학교자율화, 대학자율화 등은 거대한 공교육 위탁 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가 더 이상 교육을 책임지지 않고 각 개별단위에게 떠넘기겠다는. 기업단위에서 이런 무책임이 인간에 대해 적용된 것이 파견직 선호, 비정규직 선호 경향이다.

“파견직은 항상 그러니까 고개도 못 들고, 저 들어갈 때만 해도 별로 파견직들하고 얘기도 안 했어요, 정규직들이. 금방 나갈 텐데 그러면서.” - 노동자 강화숙

   
 
 

“회식을 가도 관리자 분들이 정규직 친구들하고만 얘기해요. 파견 따로 한 구석에 모여 있어요. 와서 술 한 잔 권하는 것도 없고 그랬어요.” - 김소연 분회장

피가 흘려내려도, 아이가 아파도…

철저한 차별이고 분리다. 이런 제도에 놀아나서 노동자들이 지금 정규직 노조와 비정규직이 분리돼 상호불신의 벽을 쌓고 있다. 제국주의 지배세력이 했던 분할지배 전략과 너무나 비슷한 구도다.

언제 잘릴지 모르는 불안한 상황이기 때문에 이 파견직 노동자들은 결사적으로 일에 매달려야 했다. 한 번은 몸이 아픈 노동자가 참고 일하다가 쇼크로 쓰러져 집에 일찍 들어갔는데, 그 다음 날 출근을 하니 자리가 사라져 있었다고 한다. 해고 통보가 전화메시지로 온 적도 있었다.

“(해고 메시지를 받으면) 매장당하는 기분이에요. 사회로부터요.” - 노동자 오석순

“‘내일부터 나오지 마세요’라는 전화 한 통 받고 해고가 되어버렸어요. 남편하고 아들이 옆에 있었는데 너무너무 어처구니가 없으니까 계속 울었어요.” - 한 해고 노동자

청바지가 젖을 정도로 하혈이 있는 상황에서도 잘리는 것이 두려워 옷 갈아입고 잔업까지 다 마쳐야 했다고 한다. 부상으로 피가 나는데도 아무 말도 안 하고 일을 끝마쳤는데, 그 이유가 ‘아프다고 말을 하면 관리자에게 밉보일까봐’였다고 한다.

   
 
 
“딸내미가 중3이었는데 사고가 났어요. 횡단보도에 서있는데 차가 박았나 봐요. 애가 날아갔어요. 그때 달려가지 못했어요. 간호도 못해줬어요. 아침에 출근하고 저녁에 퇴근하면, 잔업을 뺄 수가 없으니까. 나는 머슴처럼 하인처럼 열심히 일했어요. 안 잘리려고.” - 한 해고 노동자

아이가 교통사고가 났는데도 잘리는 것이 무서워 병원에 못 갔다는 얘기다. 뿐인가?

“문 잠가놓고 (출근했는데) 일을 하고 오니까, 큰 애가 변기통에다 대변을 보고, 저도 더러웠나봐요, 엉덩이를 들고 고개를 이렇게 박고 자고 있더라구요. 그때가 굉장히 힘들었죠.” - 노동자 박행란

일할 동안 어린 아이를 티비가 나오는 방에 가둬놨어야 했다는 얘기다. 이런 상황에서 불이 나 아이가 타죽는 사고도 과거부터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렇게 억척스럽게 일을 해서 도대체 얼마나 벌었을까?

“쉬는 날도 없이 한 달 꼬박 일하니까 백만 원 손에 쥐더라고.” “일요일도 안 쉬고 한 달 내내?” “네, 한 달 꼬박 일하니까. 잔업까지 하고. 백만 원 손에 쥐더라고.”

백만 원이다. 그것 때문에 한 달 내내 아이가 교통사고가 나도, 본인이 아파도, 집안에 일이 생겨도, 아기를 돌봐줄 사람이 없어도 일을 해야 했다. 작업 중에 받는 인격적인 모멸에 눈물을 흘리면서도 충성을 바쳐야 했다. 백만 원 때문에.

그들의 백만 원, 누군가의 ‘절세’

이런 식으로 쌓인 한이, 이 ‘아줌마’들로 하여금 투쟁을 하도록 만든 것이다. 이것이 좌익세력, 강성노조의 탓인가? 아줌마들이 배후조종을 받고 있나?

돈이 넘쳐나 집을 몇 채씩 샀다가, 세금폭탄 맞는다고 볼멘소리를 하고, 그 집값 떨어질까봐 부동산 경기 부양을 요구하고, 지방에 사놓은 땅 팔 때 세금 안 내려고 소작농이 받을 알량한 지원금까지 가로채는 번영의 세상 그림자 속엔 ‘우린 사람도 아니냐!’는 음울한 절규가 묻혀있다.

인간을 인간으로 여기지 않는 한국사회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한국사회가 인간을 인간으로 생각했다면 전체 노동자의 반 이상을 비정규직으로 만들고, 그들이 심정적으로 경제적으로 인간 이하의 삶을 살도록 하는 최근의 변화는 가능할 수 없었다. 어떤 식으로든 해결방안을 도출해냈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사회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그저 노동유연화를 해야 국가경쟁력이 향상된다고, 노동자 임금이 줄어들어야 기업경쟁력이 향상된다고만 떠들어댔을 뿐이다.

기륭전자 측의 노무관리엔 문제가 있었던 걸로 보인다. 그러나 이것이 기륭전자만의 책임일까? 애초에 차별적 비정규직이라는 제도를 만든 국가의 책임이 더 크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민주국가다. 왕국이 아니다.

국민의 책임, 노조의 문제

그러므로 국정은 국민의 책임이다. 노동자의 비정규직화처럼 국가구조 자체를 뒤바꾸는 대대적인 구조조정은 국민의 동의가 없었다면 가능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정권, 기업, 국민 등 한국사회 모두의 책임이다.

이것을 뒤집는 것도 국민이 결단해야 한다. 스웨덴 같으면 아이가 감기만 걸려도 직장을 쉬고 아이 간호를 할 수 있다. 사업주가 착해서일까? 아니다. 국가제도가 그런 것이다. 국민의 정치적 결단으로 그런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

한 사회에서 그런 결단이 정치적으로 힘을 발휘하려면 노조의 힘이 강해져야 한다. 인류역사를 보면 강한 노조를 가진 나라가 좋은 복지제도를 향유하는 경향이 있다. 노조도 기업별 노조가 아니라 국가단위의 연대노조가 그렇다. 바로 북유럽이다. 국민이 노조를 적대시하는 한 이런 사회는 오지 않는다.

노동자끼리 분열하고, 국민이 노조를 적대시하고, 전 사회가 노동자의 절규를 외면하는 지금의 상황에선 한국사회는 변할 수 없다. 국민 다수의 고통도 계속된다. 구성원 다수의 삶이 저렇게 무너지는데 나라인들 온전할까? 이대로라면 한국사회는 미구에 썩어문드러질 것이다.

2008년 10월 22일 (수) 17:24:36
?

  1. 선택진료제, ‘大수술’ 불가피

    선택진료제, ‘大수술’ 불가피 권익위, 개선권고 예정…병원 ‘수익 창출원’으로 변질 이성호 기자 lee@medifonews.com 등록일: 2008-10-29 오전 6:58:57 ▲ 28일 권익위 주최로 열린 '선택진료제의 개선과 국민권익 증진을 위한 방안' 공청회에서 강민아 이화여...
    Date2008.10.29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590
    Read More
  2. No Image

    건강보험 저보장-저부담 → 적정보장-적정부담

    저보장-저부담 → 적정보장-적정부담 정부,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위한 의견수렴 나서 27일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열고 논의 시작, 전국 7개 도시 공청회 현행 건강보험이 저보장-저부담-저수가에서 적정보장-적정부담-적정수가 체계로 개편될 전망이다. MRI...
    Date2008.10.28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339
    Read More
  3. No Image

    제주, ‘동북아 의료허브’ 투자유치 팔걷어

    제주, ‘동북아 의료허브’ 투자유치 팔걷어 잇단 투자설명회 개최…헬스케어타운 조성사업도 박차 등록 : 2008-10-28 07:47 제주특별자치도가 국내 영리법인 병원 설립 무산으로 주춤했던 ‘동북아 의료허브’의 꿈을 실현시키기 위해 외국인 투자유치와 함께 의료...
    Date2008.10.28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333
    Read More
  4. ‘3차’ 위주 ‘경증’ 본인부담 인상?

    ‘3차’ 위주 ‘경증’ 본인부담 인상? 27일 ‘건보 보장성 확대’ 조치 따른 재정확충안에 촉각 이철영 기자 paris177@medifonews.com 등록일: 2008-10-28 오전 6:41:36 복지부가 보장성 강화와 건강보험 재정 확보를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요양기관종별에 대한 경...
    Date2008.10.28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368
    Read More
  5. No Image

    나도 주치의를 갖고싶다

    건강세상네트워크에서 제작한 '나도 주치의를 갖고 싶다' 동영상입니다. 동영상 감상하시고 와우 한표 꼭 부탁드립니다 ^^
    Date2008.10.24 Category영상뉴스 By노안부장 Views2040
    Read More
  6. No Image

    노조원들은 시민들의 다양성을 가질 수 있을까?

    어느 노조간부의 고백에 대한 코멘트 노조원들은 시민들의 다양성을 가질 수 있을까? 채진원 / 2008년10월22일 11시49분 <차례> 1. 어느 노조 간부의 고백 2. 시민의 다양성과 노조원들의 획일성 3. 노조원들은 시민들의 다양성을 가질 수 있을까? 4. 어떻게 ...
    Date2008.10.23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616
    Read More
  7. No Image

    처참한 우리 아줌마노동자들

    처참한 우리 아줌마노동자들 [칼럼] 백만 원에 인간을 팔고, 누군가는 부동산으로 배불리고 최근 기륭전자 노조원들에게 폭력사태가 잇따랐다. 94일 간 단식농성으로 몸이 이미 상할 대로 상한 김소연 금속노조 기륭전자분회 분회장이 농성에 들어갔다가 경찰...
    Date2008.10.23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619
    Read More
  8. No Image

    "대형병원 들어오면 지역 병·의원 다 망한다"

    "대형병원 들어오면 지역 병·의원 다 망한다" 경기도 대형병원 진출에 지역 의료계 우려 쏟아내 ▲ 경기도의사회는 22일 의료기관 적정화 방안을 주제로 토론회를 진행했다.최근 종합병원들의 경기도 진출을 놓고 기존 경기도 내 의료기관들이 우려와 불만을 ...
    Date2008.10.23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390
    Read More
  9. No Image

    서울아산병원과 건국대병원 손 잡아

    서울아산병원과 건국대병원 손 잡아 공동 연구 등 제휴…대학병원급 의료기관 12곳 협약 서울아산병원(병원장 박건춘)이 대학병원급 의료기관과의 협약을 통해 전국적인 공동연구 진료기관 네트워크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은 건국대학교병원...
    Date2008.10.23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420
    Read More
  10. No Image

    병원 수가 '2%' 확정…의협 '패널티' 받을듯

    병원 수가 '2%' 확정…의협 '패널티' 받을듯 23일 재정운영委, 의원급은 2.5%보다 낮아질 전망…약사회 '보류' 병원급의 내년도 수가인상률이 2%로 최종 확정됐다. 또한 본협상 타결에 실패한 대한의사협회의 경우 건정심에서 강력한 패널티를 받을 것으로 전망...
    Date2008.10.23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338
    Read More
  11. No Image

    서울대·삼성서울병원 '전문의' 확보 경쟁

    서울대·삼성서울병원 '전문의' 확보 경쟁 주요병원들 공채 활발…분당서울대·중앙대 등 간호사 모집   보건의료계의 전문인력 확보 경쟁이 치열하다. 21일 의료취업포털 메디컬잡(www.medicaljob.co.kr 대표 유종현)에 따르면 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
    Date2008.10.2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559
    Read More
  12. No Image

    서울아산병원 '과잉진료' 최다

    서울아산병원 '과잉진료' 최다 지난해 8만6천건 적발 44억원 조정, 이어 세브란스·서울대 순   순위 과잉진료요양기관 건수 조정금액 1 서울아산병원 86,975 4,493,026 2 연대세브란스병원 63,401 2,524,298 3 서울대학교병원 51,353 2,226,153 4 삼성서울병...
    Date2008.10.2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1029
    Read More
  13. No Image

    대학병원간 첨단의료장비 도입 '과열'

    대학병원간 첨단의료장비 도입 '과열' 불필요한 검사 유도 의혹도…다빈치·사이버나이프 도입도 증가   최근 의료기관이 대형화되면서 특수의료장비인 컴퓨터단층촬영장치(CT)뿐만 아니라 자기공명장치(MRI), 유방촬영장치(Mommo) 등의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
    Date2008.10.22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802
    Read More
  14. 살아 있는 ‘촛불’… 두달만에 거리로

    살아 있는 ‘촛불’… 두달만에 거리로 입력: 2008년 10월 19일 18:12:27 ㆍ“민생·민주를 위해” 주말 수천명 집회 18일 밤 서울 청계광장에서 1500명의 시민들이 참가한 가운데 ‘민생·민주주의를 위한 촛불문화제’가 열리고 있다. 남호진기자오후 8시30분쯤 경찰...
    Date2008.10.20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430
    Read More
  15. No Image

    규제 풀린 금융, 명동 한복판에 고속도로

    규제 풀린 금융, 명동 한복판에 고속도로 [새사연-오마이뉴스 공동기획 ③] 구제금융법 통과 이후 미국 경제와 한국 2008-10-14 ㅣ 새사연 연구센터 망가진 미국 금융과 ‘금산분리 완화’ 발표한 정부 도표가 포함된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PDF 아이콘을 눌러 ...
    Date2008.10.17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754
    Read More
  16. No Image

    금융자본에 볼모로 잡힌 미국 시민들

    금융자본에 볼모로 잡힌 미국 시민들 [새사연-오마이뉴스 공동기획 ②] 구제금융법 통과 이후 미국 경제와 한국 2008-10-10 ㅣ 새사연 연구센터 금융자본에 볼모로 잡힌 미국 시민들 도표가 포함된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PDF 아이콘을 눌러 파일을 다운로드 ...
    Date2008.10.17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532
    Read More
  17. No Image

    산소호흡기 단 미국 경제, 7천억 응급치료로 살아날까?

    산소호흡기 단 미국 경제, 7천억 응급치료로 살아날까? [새사연-오마이뉴스 공동기획 ①] 구제금융법 통과 이후 미국 경제와 한국 2008-10-06 ㅣ 새사연 연구센터 미국 경제, 7천억 응급치료로 살아날까? 도표가 포함된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PDF 아이콘을 ...
    Date2008.10.17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952
    Read More
  18. No Image

    "생산 않는 기생자본이 공황 불러"

    "생산 않는 기생자본이 공황 불러" 김수행 교수 금융위기 특별강연…"서민살리는 국내시장 확보가 해결책" “외국의 빚으로 소비와 투자를 유지하던 미국의 ‘깡패자본주의’가 우리의 미래가 될 수는 없다” 서울대학교에서 마르크스 경제학을 마지막으로 가르쳤...
    Date2008.10.17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656
    Read More
  19. No Image

    공황 뒤에는 무엇이 기다리나?

    // 공황 뒤에는 무엇이 기다리나? [Column of Column] 신자유주의 퇴조해도 다른 자본이데올로기 득세 보통 사람들에게 공황은 끔찍한 생활상의 고통이지만, 사회운동집단이나 정치세력에게는 고통으로만 멈추지는 않는다. 이번 공황이 유럽이나 미국에서 금...
    Date2008.10.17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313
    Read More
  20. 20대 37.3%가 ‘백수’…경제활동참가율 62.7% 사상 최저

    20대 37.3%가 ‘백수’…경제활동참가율 62.7% 사상 최저 입력: 2008년 10월 16일 18:19:05 경기 부진에 따른 취업난이 가중되면서 20대 경제활동참가율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16일 통계청의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20대 경제활동참가율은 62.7%로 ...
    Date2008.10.17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35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 155 Next
/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