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돈보다생명

환자-의사에게 끔찍한 '(주) 2MB병원'[오마이뉴스]

by 노안부장 posted Jun 18, 200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의료소비자 입장에서 본다면 우리나라는 적은 건강보험료로 상당한 수준의 건강보험 보장을 받는 저비용 고효율 구조를 갖고 있는 셈이다. 사진은 서울 구로건강복지센터에서 장애인 무료치과진료를 하고 있는 이 지역 치과의사들(자료사진)

ⓒ 오마이뉴스 남소연
큰일났다. 병원이 회사로 변신한단다. 몸 아프면 건강보험증 들고 가볍게 다니던 동네병원이 정부의 의료산업화 정책으로 '영리법인'으로 변신할 가능성이 열렸다. 병원도 이제는 잘 따져보고 일일이 골라가며 다녀야 하는가?

지난 3일 한승수 총리가 주관하는
제주특별자치도 지원위원회에서 '도지사가 지정하는 특정지역에 대해 국내 영리의료법인을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서귀포 지역에 조성될 예정인 제주국제자유도시 안에 헬스케어타운을 만들고, 이를 위한 영리의료법인을 설립하겠다는 의미이다. 제주가 열리면 송도, 광양 등 국제도시에 만들어지는 병원들 역시 영리법인을 지향하게 될 것이고, 이는 곧 사회보험인 건강보험체계의 붕괴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그럼 우리 삶은 어떤 영향을 받게 될까?

현행 의료법에서 의료기관을 설립할 수 있는 자격은 의료인이거나 비영리 법인체여야 한다. 이는 병원이 돈벌이를 위한 활동을 전혀 할 수 없다는 의미는 아니다. 단지 '병원으로 번 돈은 병원에서 다 써야 한다'는 뜻이다. 즉 병원에서 진료를 통해 번 수익을 병원 밖으로 유출할 수 없는 것이다.

게다가 '건강보험법'에 의해 모든 의료인은 의료기관 개설신고를 할 때 '건강보험 요양기관'으로 등록해야 한다. 전국민이 가입된 건강보험 환자를 거부하면 '진료거부'로 의료인 면허를 취소당할 수도 있고, 건강보험에서 지급받는 진료수가는 대개의 경우 시장수가에 한참 못 미치는 경우가 태반이다. 그래서 의사단체들은 틈만 나면 '요양기관 강제지정제'를 폐지해 달라든지, '건강보험 수가 현실화'를 요구한다.

의료소비자 입장에서 본다면 우리나라는 적은 건강보험료로 상당한 수준의 건강보험 보장을 받는 저비용 고효율 구조를 갖고 있는 셈이다.

[질문①] 영리의료법인이 허용되면 어떤 일이 발생하게 될까?

우선 의료기관 설립 자격 제한이 없어진다. '주식회사 병원'이 출현할 수 있다. '회사'란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조직'이므로 병원의 설립 및 운영에 있어서 매출을 늘리고, 원가를 절감하려는 노력을 하게 된다. 돈 안 되는 건강보험 환자를 기피하게 되고, 의사를 비롯한 고용인력의 인건비, 재료, 약재 등에서 지출을 줄여야 한다.

불행히도 의료인력 질관리, 약의 효능 등은 일반 국민들에게는 정보가 제한되어 평가하기 어려운 영역이다. 결국 회사는 건물, 고급스런 인테리어, 친절서비스 등 의료 외적 경쟁력으로 매출증진을 꾀하게 되고, 이 피해는 고스란히 의료 소비자인 국민의 몫이 된다.

미국에서 로즈나우라는 연구자가 1980년부터 2001년까지 영리의료법인과 비영리 의료법인의 의료성취도를 평가한 논문 149개를 분석한 결과, 영리법인의 성취도가 높다고 평가한 논문은 12.1%에 불과했고, 오히려 비영리법인의 의료성취도가 높다는 논문이 59.1%였다. 특히 영리법인의 경우 수익성이 낮은 응급실, 중환자실의 운영을 기피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국민 모두가 '잠재적 환자'라는 입장에서 꼼꼼히 살펴보면 가슴이 서늘할 일이다.



영리법인의 경우 수익성이 낮은 응급실, 중환자실의 운영을 기피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사진은 전북지역의 한 대형병원 응급실(자료사진)

ⓒ 안현주
[질문②] 의사들에게는 영리법인이 유리할까?

아니다. 미국과 캐나다의 영리병원의 경우 환자에게서 받는 진료비는 비영리병원보다 약 20%가량 높은데도 (가정의학과)의사의 평균연봉은 약 20만 달러(2억) 가량으로 비슷하다. 병원 경영진에 대한 지나친 급여, 셀 수 없이 많은 민간의료보험회사들과 일일이 환자 심사를 해야 하는 데 따른 과다한 관리운영비 때문이다. 동일한 질병, 같은 의료행위에 대해서도 의료비를 지급하는 보험회사에 따라 요구하는 서식과 심사결과가 천차만별이라서 서류작업은 머리 터지게 복잡하고, 진료에 대한 보수는 별 거 없다는 이야기다.

오히려 '게으른 공무원'의 전형처럼 비난 받는 영국의 GP(일반의사)도 '널널하게' 일하면서 연 10만 파운드(2억)는 받는다. 현재 이미 부자인 선배 의사들 입장에서는 영리의료법인의 주주가 되는 게 좋은 기회이겠으나, 후배의사들에게는 하나도 반가울 게 없는 게 바로 영리의료법인인 것이다.

[질문③] 영리의료법인은 결국 누구에게 이익인가?

최근 필자에게 개원 컨설팅을 의뢰한 어느 분은 상속-증여의 방편으로 비상장 주식회사 병원을 만들고 싶다고 솔직히 말씀하셨다. 병원이야말로 가장 수익성 있고 안전한 사업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각종 암보험 같은 보충형 의료보험 상품을 파는 민간의료보험회사들의 경우 현재 건강보험 체계에서도 연 10조 원가량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영리의료법인의 허용은 곧 민영의료보험 상품이 건강보험을 제치고 전면화될 가능성을 예고한다. 실손형 보험이 전면화되면 까다로운 심사를 통해 보험에 편입될 수 없는 사람들이 반드시 생긴다. 가난한 사람들, 그리고 질병에 취약한 인자가 많은 사람들, 실제 의료보장이 가장 필요한 사람들이 의료에서 소외되는 '의료양극화'가 바로 이런 것이다. 미국에 약 4500만 명이나 존재하는, 아무런 형태의 건강보험도 갖지 못한 사람들처럼…. 그럼에도 ㈜2MB 병원을 허용하려 하는가?

[☞ 오마이 블로그|안중근]
[☞ 오마이뉴스E]
[☞ 특집|대운하를 멈춰라]
- Copyrights ⓒ 오마이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No Image

    필수업무 100% 유지하면서 파업해라?

    필수업무 100% 유지하면서 파업해라? 노동위원회, 가스·발전 필수유지업무 100% 결정 “파업 무력화 수단” 이꽃맘 기자 iliberty@jinbo.net / 2008년07월03일 13시13분 지방노동위원회가 필수공익사업장에 대한 필수유지업무 조정에서 필수유지업무 범위 100% ...
    Date2008.07.06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736
    Read More
  2. No Image

    조중동은 쓰레기 PD수첩 탄압반대!

    50만 명(주최측 추산)의 시민들은 '촛불이 승리한다! 국민이 승리한다!'는 59차 촛불문화제를 마치고 5일 밤 9시부터 행진을 시작했다. 서울 숭례문-명동-을지로를 거쳐 밤 10시20분께 종각 네거리에 도착한 시민들은 조계사를 지나 안국동 삼거리로 향하는 ...
    Date2008.07.06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1025
    Read More
  3. No Image

    대한민국 경찰국가 968명 연행, 부상 1천5백명, 그래도 촛불은 탄다

    대한민국 경찰국가 968명 연행 부상 1천5백명, 그래도 촛불은 탄다 [현장] 진보신당 천막당사 시민 격려… 사제단 행진 불참 2일 7시 시청에서 3번째 열린 ‘국민 존엄을 선언하고 이명박 대통령의 회개를 촉구하는 시국 미사’는 비가 오는 가운데 열렸다. 서울...
    Date2008.07.06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890
    Read More
  4. No Image

    I LO "사내하청 노동자 기본권 보장을"

    I LO "사내하청 노동자 기본권 보장을" 기구 관계자 "한국 다시 노동감시국으로 돌아갈 수도" 민주노총은 3일 기자회견을 갖고 국제노동기구(ILO)가 기륭전자 비정규직 노동자, 현대자동차 하청 노동자 등의 탄압을 중단하고 사내하청 노동자들의 노동권을 보...
    Date2008.07.06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805
    Read More
  5. No Image

    민노-진보신당 지지율 동반↑ 이명박-한나라 동반하락, 민주 폭락

    민노-진보신당 지지율 동반↑ [여론조사] 3, 4위 기록…이명박-한나라 동반하락, 민주 폭락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지지율이 동반상승했다. 두 당은 3일 <리얼미터>가 발표한 주간 정례여론조사에서 8.5%와 5.9%로 나란히 3, 4위를 차지했다. 민주노동당은 지난...
    Date2008.07.06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744
    Read More
  6. 6.10 이후 최대, 30만명 행진

    6.10 이후 최대, 30만명 행진 [7.5 촛불대행진] “2mb 없는 대한민국 상상할 것"…현장 모금 5천만원 서울시청 앞 광장에 쏟아진 것은 폭우뿐이 아니었다. 나이와 성별과 직업과 성격과 생긴 것들이 다른 수십만 명이 모여 연출해낸 장관이 감동이 돼 광장을 휘...
    Date2008.07.06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763
    Read More
  7. 보건의료노조, 국민건강권 사수 위해 7월 23일 총파업 돌입

    보건의료노조, 국민건강권 사수 위해 7월 23일 총파업 돌입 [현장] '광우병 쇠고기 수입 반대, 의료영리화 정책 폐기' 보건의료노조 기자회견 선전국 조회수: 65 / 추천: 0 보건의료노조는 오후 5시, 보건복지가족부 앞에서 '광우병 쇠고기 수입 반대, 의료영...
    Date2008.07.03 Category지부소식 By노안부장 Views838
    Read More
  8. No Image

    10차 교섭, 노사대화보다 노무사지침이 우선?

    10차 교섭, 노사대화보다 노무사지침이 우선? 조정신청 전 마지막 본 교섭, 노조 요구 수용여부는 아직도 검토 중, 사측 개악안만 고집 교육선전실 7월 7일 산별쟁의조정신청을 앞두고 마지막 본교섭이 2일 여의도 CCMM빌딩에서 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Date2008.07.03 Category지부소식 By노안부장 Views797
    Read More
  9. No Image

    보건의료뉴스 27일 [건강세상네트워크]

    국민의 뜻을 무시하고 광우병 쇠고기 수입 고시를 강행한 이명박 정부에 대한 항의로 6월 28일(토) 오후 7시 서울광장에서 촛불문화제가 개최됩니다. 국민의 건강할 권리를 지키기 위하여 우리 모두 함께 촛불을 듭시다. <6월 27일 보건의료뉴스> 정부 ‘의료민...
    Date2008.06.27 Category돈보다생명 By관리자 Views971
    Read More
  10. 9차교섭, 임금 안은 있지만 말 못한다?

    9차교섭, 임금 안은 있지만 말 못한다? 사측, 2008년 요구안 여전히 수용불가 …개악안 논의까지 요구해 노조 강력 항의 교육선전실 조회수: 138 / 추천: 1 9차 산별교섭이 25일 여의도 CCMM 빌딩에서 노사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먼저, 노사 양측은 ...
    Date2008.06.27 Category지부소식 By관리자 Views919
    Read More
  11. "총파업 투쟁만이 2008년 산별교섭, 산별투쟁 승리의 길"

    "총파업 투쟁만이 2008년 산별교섭, 산별투쟁 승리의 길" [현장] 보건의료노조 간부․대의원 총력투쟁 결의대회 선전국 26일, 보건의료노조 간부.대의원 총력투쟁 결의대회는 깃발입장으로 힘차게 시작됐다. ⓒ 보건의료노조 교육선전실 보건의료노조 2008년 총...
    Date2008.06.27 Category지부소식 By관리자 Views897
    Read More
  12. No Image

    의료영리화반대 동영상 - 민주노총

    Date2008.06.23 Category영상뉴스 By로자 Views1731
    Read More
  13. 환자-의사에게 끔찍한 '(주) 2MB병원'[오마이뉴스]

    ▲ 의료소비자 입장에서 본다면 우리나라는 적은 건강보험료로 상당한 수준의 건강보험 보장을 받는 저비용 고효율 구조를 갖고 있는 셈이다. 사진은 서울 구로건강복지센터에서 장애인 무료치과진료를 하고 있는 이 지역 치과의사들(자료사진) ⓒ 오마이뉴스 ...
    Date2008.06.18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1008
    Read More
  14. No Image

    치료비 못내는 미국인들, 한국으로 의료관광 온다

    <8뉴스> <앵커> 한국에 와서 관광도 하고 값싸고 질 좋은 병원 치료도 받아라. 30여 개 한국 병원들이 치료비가 비싼 미국 병원 공략에 나섰습니다.로스앤젤레스에서 김도식 특파원입니다. <기자> 돈이 없으면 의료보험을 들 수 없고 그래서 치료도 제대로 못...
    Date2008.06.18 Category영상뉴스 By노안부장 Views2195
    Read More
  15. No Image

    의료관광 위해 영리병원 허용? 거꾸로 가는 정책[sbs]

    <앵커> 현재 국내에선 영리 목적의 환자 유인이나 알선행위가 금지돼 있는데요. 정부가 규제 완화 차원에서 외국인 환자에 대해선 이런 행위를 허용하기로 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조성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정부가 입법 예고한 의료법 개정안...
    Date2008.06.18 Category영상뉴스 By노안부장 Views2035
    Read More
  16. No Image

    건강연대 '의료민영화 밀실추진 중단하라!"

    서울=연합뉴스) 조동옥 기자 = ‘건강권 보장과 의료 공공성 강화를 위한 희망연대’(이하 건강연대)는 12일 서울 종로구 통인동 참여연대 느티나무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현 정부가 추진 중인 의료산업화 정책은 사실상의 의료민영화 정책이라며 중단을 촉구...
    Date2008.06.18 Category영상뉴스 By노안부장 Views1495
    Read More
  17. No Image

    의료민영화 시동?

    [뉴스투데이] ◀ANC▶ 정부가 제주도에 영리병원설립을 허용했는데 이를 두고 정부가 의료민영화에 시동을 걸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제주도를 시발점으로 삼아서 영리병원을 전국으로 확대하는 것 아니냐는 건데 정부는 일단 부인하고 있습니다. 임...
    Date2008.06.18 Category영상뉴스 By노안부장 Views1600
    Read More
  18. No Image

    의료민영화를 아십니까?

    Date2008.06.18 Category영상뉴스 By노안부장 Views1451
    Read More
  19. No Image

    의료민영화의 그림자

    Date2008.06.18 Category영상뉴스 By노안부장 Views1457
    Read More
  20. No Image

    의료법 일부개정법률 법예고에 대한 '인의협' [참고]

    의료법 일부개정법률안(보건복지가족부공고 제 2008-161호) 입법예고에 대한 의견서 2008년 6월 17일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우리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는 이번 의료법 일부개정안은 의료민영화 차원에서 추진되는 안이라 판단하므로 일부개정 전체를 반대...
    Date2008.06.18 Category돈보다생명 By노안부장 Views101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155 Next
/ 155